따옴표

말이나 글의 앞뒤에 쓰는 문장 부호

따옴표대화나 인용하는 글이나 말, 또는 강조하는 말이나 글의 앞뒤에 쓰는 문장 부호이다. 인용 부호 또는 인용부라고도 한다.

“ ”   " "
‘ ’   ' '
따옴표
« » 「 」
기메 CJK 괄호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같음표)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번호 기호 ( # )
숫자 기호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프라임 기호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애스터리즘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왜냐하면 기호 ( )
물음느낌표 ( )
아이러니 기호 ( )
마름모 ( )
참고표 ( )
붙임줄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성별 기호 ( , )
오전/오후 기호 ( ㏂, ㏘ )
한글 부호
오전/오후 기호 ( ㈝, ㈞ )
참고 기호 ( )
주식회사 기호 ( )
우편번호 기호 ( )

v  d  e  h

세계에서 통용하는 따옴표의 종류는 큰따옴표(“ ”)와 작은따옴표(‘ ’)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겹화살괄호(《》)와 홑화살괄호도 따옴표로 사용가능하다. 주로 세로 쓰기나 보수적 글 쓰기에서 겹낫표(『 』)와 낫표(「 」)도 따옴표에 속한다 한다. 겹낫표와 낫표에 관하여는 괄호 문서를 참고하라.

역사

편집

작은 따옴표를 사용한 일은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며 수도승의 사본 담당자에게 채택되었다. 7세기 백과사전에서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그리스어 diplé(꺽쇠 괄호)를 사용한 일을 기술하였다.

큰 따옴표는 꼭 인용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특정한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7세기 사본에 사용되었다. 이 표기는 문서 여백의 바깥에 위치했으며 각 줄마다 반복되었다.[1]

언어별 쓰임새

편집

한국어

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가 주로 사용된다. 2014년 12월 5일에 개정된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 부록편 (문장 부호에 관한 것)에서는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쓰임새를 정해놓고 있다. 큰따옴표의 경우 글 가운데에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 말이나 글을 직접 인용할 때 사용하며,[2] 작은따옴표의 경우 인용한 말 안에 있는 인용한 말을 나타낼 때,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 쓴다고 규정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대한민국과는 달리 인용 부호로 큰따옴표(“”)가 아닌 겹화살괄호(《》)를, 작은따옴표(‘’)가 아닌 홑화살괄호(〈〉)만을 사용하며, 대한민국에서 세로쓰기에 사용되는 겹낫표(『』)나 낫표(「」)와 가운데점(·)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4]

인용 방법은 학문 분야나 학술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다른 저자의 논문에서 직접 인용할 때는 반드시 이중 인용부호(큰 따옴표 ” “)를 사용하고 출처를 밝혀야 한다.* 새로 나온 용어를 표기할 때는 처음에만 이중 인용부호를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현대언어학회(Modern Language Association)에서 제안하는 MLA 스타일과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제안하는 APA 스타일 등이 있다.[5]

영어

편집

영어에서 따옴표는 단어나 구 주변에 쌍으로 배치되며 다음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 인용 또는 직접 화법: Carol said "Go ahead" when I asked her if the launcher was ready.
  • 장이나 에피소드 등 다른 작품에서의 언급: "Encounter at Farpoint" was the pilot episode of Star Trek: The Next Generation.
  • 주의 환기용 인용부호(Scare quotes): 반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 The "fresh" bread was all dried up.

유니코드

편집
유니코드의 인용 부호 (문자 속성 "Quotation_Mark"=Yes)
문자 코드 유니코드 이름 HTML
" U+0022 quotation mark &quot;
' U+0027 apostrophe &apos;
« U+00AB left-pointing double angle quotation mark &laquo;
» U+00BB right-pointing double angle quotation mark &raquo;
U+2018 left single quotation mark &lsquo;
U+2019 right single quotation mark &rsquo;
U+201A single low-9 quotation mark &sbquo;
U+201B single high-reversed-9 quotation mark &#8219;
U+201C left double quotation mark &ldquo;
U+201D right double quotation mark &rdquo;
U+201E double low-9 quotation mark &bdquo;
U+201F double high-reversed-9 quotation mark &#8223;
U+2039 single lef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lsaquo;
U+203A single right-pointing angle quotation mark &rsaquo;
U+2E42 double low-reversed-9 quotation mark &#11842;
딩뱃의 인용 부호
U+275B heavy single turned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0075;
U+275C heavy single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0076;
U+275D heavy double turned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0077;
U+275E heavy double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0078;
🙶 U+1F676 sans-serif heavy double turned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28630;
🙷 U+1F677 sans-serif heavy double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28631;
🙸 U+1F678 sans-serif heavy low double comma quotation mark ornament &#128632;
점자 패턴의 인용 부호
U+2826 braille pattern dots-236 &#10292;
U+2834 braille pattern dots-356 &#10278;
한중일(CJK)의 인용 부호
U+300C left corner bracket &#12300;
U+300D right corner bracket &#12301;
U+300E left white corner bracket &#12302;
U+300F right white corner bracket &#12303;
U+301D reversed double prime quotation mark &#12317;
U+301E double prime quotation mark &#12318;
U+301F low double prime quotation mark &#12319;
기타 인코딩
U+FE41 presentation form for vertical left corner bracket &#65089;
U+FE42 presentation form for vertical right corner bracket &#65090;
U+FE43 presentation form for vertical left white corner bracket &#65091;
U+FE44 presentation form for vertical right white corner bracket &#65092;
U+FF02 fullwidth quotation mark &#65282;
U+FF07 fullwidth apostrophe &#65287;
U+FF62 halfwidth left corner bracket &#65378;
U+FF63 halfwidth right corner bracket &#6537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onseils de typographie: Les guillemets” [Typography Tips: Quotation marks]. 《cuy.be》. 
  2. “한글 맞춤법 > 문장부호 - 8. 큰따옴표”. 국립국어원. 201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3. “한글 맞춤법 > 문장부호 - 9. 작은따옴표”. 국립국어원. 201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12일에 확인함. 
  4. “[북한 엿보기] 남북한 언어차이”. 통일신문. 2014년 5월 7일.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5. “논문에서 인용부호 제대로 쓰기”. 2017년 8월 2일. 2021년 12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