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의 역사
역사편집
초기의 역사편집
라오스 땅에서는 석기시대부터 인류가 살았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남쪽에는 공룡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북쪽에는 선사시대의 돌도끼, 항아리, 매장지 등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라오스를 이루고 있는 라오족의 대부분은 8세기 경 북쪽에서 내려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오족에 의한 통일국가의 출현은 1353년의 란쌍 왕국이지만, 그 이전부터 민족으로서의 활동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었다. 라오족의 기원은 알타이 산맥 근처로 추측되며, 점차 남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5000년경에는 벌써 황허 강이나 양쯔 강의 중간까지 남하를 진행하고 있었고, 고비사막에 강력한 세력을 떨친 한족에게 밀려 현재의 쓰촨성 부근까지 이주해, 그곳에 무앙(도시 국가)을 건국했다.
기원전 1000년경에는 시안의 북서로 무앙 룬, 현재의 주우케이의 위치에 무앙 파, 창샤 부근에 무앙 개오라고 하는 도시 국가를 만들었고 주나라 황제가 무앙 파에 사절을 파견한 것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 후 기원전 853년에는 타타르족이 북방에서 침공해 오자 라오족은 무앙 룬을 버리고, 무앙 파로 이주하였다. 그 후 주나라에 의해 무앙 파도 공격을 받아 무앙 개오로 옮겼다.
중국의 운남 지역에 남조를 세웠던 라오족은 1253년, 몽골족에 의해 남조가 멸망하자 지금의 라오스 지역으로 이동한다. 라오족은 카족을 몰아내고 이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다.
이곳에 정착한 라오족들은 특정 농산물을 재배하며 바깥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나라가 비교적 고립되어 있고, 해안으로의 접근로도 막혀 있었던 까닭인데, 란쌍 왕국이 건국되는 시기의 중국 사서인 《명사》의 〈외국열전〉에도 라오스의 기록은 없다.
란쌍 왕국편집
라오스의 공식적인 역사는 란쌍 왕국에서부터 시작된다. 13세기 무옹스와 공국(지금의 루앙프라방)이 세워졌으며, 14세기 파응움 왕이 크메르 앙코르 왕의 도움으로 최초의 라오족 국가인 란쌍 왕국을 세웠다. 버마의 통치기간(1574∼1637)을 빼고 란상 왕국이 1713년까지 라오스를 다스렸다.
그 뒤 란상은 3개 왕국(비엔티안·참파싹·루앙프라방)으로 나뉘었다. 18세기중에 3개 라오스 왕국의 통치자들은 시암의 통치자들에게 공물을 바치는 시암의 제후가 되었다.
19세기에 비엔티안의 왕이었던 차오 아누가 자기 왕국을 베트남과 합쳐 시암의 지배에서 벗어나려 했으나 실패했다. 아누는 패배했으며 비엔티안은 시암의 주(州)가 되었다.
외세 침략기편집
19세기말 프랑스가 메콩강 동쪽에 있는 모든 시암 영토를 통치하게 되었으며 20세기초 라오스는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1945년 3월 일본이 프랑스를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몰아내고 라오스 독립을 선언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프랑스가 다시 지배하기 시작했지만 1946년 프랑스는 루앙프라방 왕의 통치 아래 통일된 라오스를 승인하였다.
1949년 헌법이 공포되고 라오스는 프랑스 연방 안에서 제한된 자치권을 얻었다. 1950년대초 좌파인 파테트라오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베트남의 베트민과 힘을 합쳐 프랑스와 싸웠다. 전쟁이 끝날 무렵 파테트라오는 2개의 주를 통치하게 되었다.
제네바 협정(1945년)에서 공산주의자와 연합한 북베트남과 친서방주의 노선을 걷는 타이 사이에서 완충국가로 통일, 독립한 라오스가 세워졌다. 1950년대 파테트라오는 라오스의 통치권을 놓고 우파 및 중도파와 투쟁했다. 제2차 제네바 협정(1962년)으로 파테트라오를 포함한 중립 연립 정부가 생겨났으며, 그 후 60년대가 끝날 때까지 라오스는 베트남 전쟁에 점점 더 깊이 빠져들게 되었다. 파테트라오 군대는 북베트남과 연합하여 라오스의 지배권을 쟁취하기 위해 라오스 정부군과 싸웠다.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편집
1973년 휴전협정이 체결되었으며 다음해 파테트라오와 우파가 함께 전라오스 통일 임시 정부를 형성했다. 사이공과 프놈펜에서 반공산주의 정권이 무너진 1975년 파테트라오가 정권을 잡았고 지하에 숨어 있던 라오스 공산당이 모습을 드러내어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을 세웠다. 라오스는 베트남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1980년대 베트남이 이끄는 인도차이나 동맹(라오스·베트남·캄보디아)의 일원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부터 베트남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1989년 최초의 총선이 있었으며, 1991년 새 헌법이 공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