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삼합점
러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국 삼합점은 조중 국경, 조러 국경, 중러 국경이 교차하는 삼합점이다. 이곳에서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로부터 약 500미터 상류에 있는 두만강과 러시아 하산 마을에서 약 2,000미터 아래에 있다.



지점
편집1985년 조약에는 세 개의 화강암 비석[1]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러시아-중국 국가 국경의 국경 표지판 423번부터 강 양쪽 제방 사이의 두만강 주요 수로 중앙의 선까지 수직으로 이어지는 직선"으로 정의되어 있다.[2]
- 경계선 지점 423번, 중-러 국경 (제1조약 1; 강둑 좌안) - 북위 42° 25′ 10.2″ 동경 130° 38′ 17.7″ / 북위 42.419500° 동경 130.638250° (평양 기준) 북위 42° 25′ 11″ 동경 130° 38′ 21″ / 북위 42.419787° 동경 130.639275° (WGS-84)
- 북한 국경선 비석 (제2조약; 강둑 우안) - 북위 42° 24′ 59.5″ 동경 130° 38′ 06.5″ / 북위 42.416528° 동경 130.635139°
- 러시아 국경선 비석 (제3조약 3; 강둑 좌안) - 확인이 필요함
상세
편집러시아와 북한의 지상 경계는 두만강과 두만강 하구의 항행 수로의 중앙선을 따라 뻗어 있으며, 해상 경계는 동해에서 양국의 영해를 구분하고 있다.[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와 소련 간 국경 조약은 1985년 4월 17일에 체결됐다.[4] 별도의 3국 조약은 북한, 중국, 러시아의 국경의 삼합점 위치를 명시한다.[5][6][7] 북한-러시아 및 중국-북한 국경은 두만강 중앙을 따라 위치하고, 중국-러시아 국경은 북쪽에서 육로를 통해 교차점에 이른다. 이론적으로 삼합점은 두만강 한가운데에 있기 때문에 국경 기념물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협정은 대신 각국이 강둑에 국경 기념물을 설치하고 해당 기념물에 대해 삼합점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규정한다.[8]
러시아 국경의 행정 구역은 연해주 하산스키군, 북한의 라선시, 중국의 팡촨시이다. 이 지역의 주 러시아 국경 경비대 기지는 페샤나야에 위치한다.
국경선 vs 국경 지대
편집다양한 조약들을 해석하면 강에 중국-북한 국경 지대(또는 공동통치령)가 존재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 경우 삼각지대는 엄밀히 말하면 세 나라의 주권 영토가 만나는 지점이 아닐 것이다.[9][10]
각주
편집- ↑ Video of one of the markers at 9:28
- ↑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agreements") 보관됨 7월 8, 2015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 ↑ Северная Корея ("North Korea") 보관됨 7월 7, 2015 - 웨이백 머신, at the Russia's border agency's (Rosgranitsa) official site (러시아어)
- ↑ Информация о международных соглашениях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agreements") 보관됨 7월 8, 2015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 ↑ Соглашение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б определении линии разграничения пограничных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трех государств на реке Туманная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determining the line of delimitation of the water spaces of the three states on the Tumen River] (러시아어). Federal Agency for the Development of State Border Infrastructure. 2015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박아름 (2017년 8월). “1985년 ‘조-소 국경조약’ 분석”. 《동아연구》 36 (2): 107–137. doi:10.33334/sieas.2017.36.2.107. ISSN 1225-3308.
- ↑ 李鉉祚 (2007년 12월). “조중국경조약체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52 (3): 177–202. ISSN 1226-2994.
- ↑ Соглашение между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итайской Народной Республики и Правительством Корейской Народно-Дем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об определении линии разграничения пограничных водных пространств трех государств на реке Туманная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determining the line of delimitation of the water spaces of the three states on the Tumen River] (러시아어). Federal Agency for the Development of State Border Infrastructure. 2015년 7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Lee & Shin 2013, 111쪽.
- ↑ Rolf Palmberg (2013), 《China - North Korea - Russia tripoint》, International Border Research Group
자료
편집- Lee, Seok-Woo; Shin, Chang-Hoon (2013), 〈Implications of the border regime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Paek, C.; Paik, J.H.; Yi, S.; Lee, S.W.; Tan, K., 《Asian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and the Legacy of Colonialism: The Law of the Sea, Territorial Disputes and International Dispute Settlement》, Routledge research in international law, Routledge, 109–118쪽, ISBN 978-0-415-67978-7
추가 자료
편집- Frank Jacobs (2012년 2월 21일), “Manchurian Trivia”, 《The New York Times》
- Gomà Pinilla, Daniel (March–April 2004), 번역 Peter Brown from the French original, “Border Dispute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e Yalu and Tumen Rivers, and control of the seas”, 《China Perspectives》 2004 (52), doi:10.4000/chinaperspectives.806 – Open Edition 경유
- China's Territorial and Boundary Affairs – Protocol on Tri-jun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and among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in the Tumen River on June 20, 2002 - 웨이백 머신 (보관됨 2011-07-23) at PRC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Rongxing Guo (2009), 《Land and maritime boundary disputes of Asia》, Nova Science, ISBN 9781607416296, item China-Korea (North)-Russia tri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