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운동
저항운동(抵抗運動, resistance movement)이란 어떤 국가의 시민 인구 일부가 그 국가의 정권 또는 현재 권력을 잡은 세력에게 저항하고 사회질서와 안정성을 무너뜨리기 위해 행하는 조직적 행위이다. 비폭력 저항을 할 수도 있고, 무력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무력이 사용될 때 무기도 사용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많은 경우 저항운동은 한 국가 안의 서로 다른 층위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조직들에 의해 폭력적인 방법과 비폭력적인 방법을 모두 사용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웨이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1] "저항"이라는 말은 대개 그 행위가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정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을 내포한다. 그리고 그 저항운동에 폭력이 사용된다면 "자유투사(freedom fighter)"라고도 자칭한다.
무장저항운동의 국제법상 합법성 여부는 오랫동안 논쟁의 주제가 되어 왔으며, 그 역사는 최소 189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99년 마르텐즈 클라우스는 〈육전에 관한 제2차 헤이그 협약〉 전문(前文)에서 프랑티뢰르는 불법 교전단체이며 포로로 잡힐 시 사형시켜야 한다는 강대국들의 입장과 그들은 합법적 교전단체라는 약소국들의 입장을 절충시켰다.[2][3] 보다 최근에는 1977년 〈제네바 협약 제1추가의정서〉의 1조 4항에서 “식민지배 및 외세의 점령 및 인종차별적 정권에 대항하여 투쟁하는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을 무장분쟁으로 일컬어 주고 있다. 그러나 이 구절은 누가 또는 무엇이 합법적 교전단체가 맞고 아닌지 가리는 기준에 대해서는 얼버무리고 있다.[4] 하여, 저항운동의 가담자들이 합법적이라고 평가받든 불법적이라고 평가받든, 그들에게 지배에 저항할 권리가 있다고 인정되든 그런 것과는 무관하게 순전히 국가 정부의 의지에 따라 저항운동 및 저항운동가는 테러리즘 및 테러리스트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5] 말인즉슨 저항운동과 테러리즘을 구분하는 것은 결국 정치적 판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저항운동의 예
편집20세기 이전
편집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편집- 카리알라 삼림유격대 (1921–1922)
- 아우구스토 세사르 산디노
- 아일랜드 공화국군 (1918–1922)
제2차 세계 대전
편집- 자유 인도 임시 정부
- 체코 저항 운동
- 동북항일연군
- 홍콩 저항 운동
- 레지스탕스
- 나치즘에 대한 저항
- 레시스텐자
- 한국의 독립운동
- 폴란드 지하국가와 폴란드 저항 조직
- 유고슬라비아 저항 운동:
- 비엣민
- 베어볼프
계획된 저항 운동
- 국민의용대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편집- 반파시즘 운동 (진행 중)
아프리카
편집- 나이저강 삼각주 분쟁 (진행 중)
- 알샤바브 (소말리아) (진행 중)
- 신의 저항군 (진행 중)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 Umkhonto we Sizwe/아프리카 국민회의
-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연맹 - 애국 전선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편집- 튀르키스탄 이슬람당 (진행 중)
- 자유 파푸아 운동 (진행 중)
- 신인민군 (진행 중)
- 파테트라오
- 중국 인민해방군/중국 공산당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 비엣민
유럽
편집- 이마라트 캅카스 (진행 중)
- 아일랜드 공화국군 연속파
- 헝가리 혁명
- 아일랜드 국민해방군
- 아일랜드 인민해방기구
- 아일랜드 공화국군
- 북캅카스 반란 (진행 중)
- 프라하의 봄
-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1969–1997)
- 아일랜드 공화국군 진정파 (진행 중)
중동
편집- 자유애국운동 (1988-2005)
- 자유 시리아군 (진행 중)
- 마그레브 반란 (2002년~현재) (진행 중)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쿠르디스탄 노동자당 (진행 중)
- 터키와 이란의 쿠르디스탄 충돌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진행 중)
- 폴리사리오 전선 (진행 중)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 로자바
- 남예멘 운동 (진행 중)
- 탈레반 (진행 중)
인도아대륙
편집-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1)
- 인도 독립운동과 파키스탄 운동
- 잠무 카슈미르 분란 (진행 중)
- 타밀호랑이
서반구
편집- 흑표당
- 니카라과의 콘트라 반군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 콜롬비아 무장혁명군 (진행 중)
- 산디니스타
- 투파마로스
- 웨더 지하기구
- 사파티스타 (진행 중)
저항 운동의 저명한 인물
편집제2차 세계 대전 (반나치, 반파시스트 등)
편집그 밖의 저항 운동 및 관련 인물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O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y and civil resistance in occupied Norway 1940–45, see Magne Skodvin, "Norwegian Non-violent Resistance during the German Occupation", in Adam Roberts (ed.), The Strategy of Civilian Defence: Non-violent Resistance to Aggression, Faber, London, 1967, pp. 136–53. (Also published as Civilian Resistance as a National Defense, Harrisburg, USA: Stackpole Books, 1968; and, with a new Introduction on "Czechoslovakia and Civilian Defence", as Civilian Resistance as a National Defence, Harmondsworth, UK/Baltimore, USA: Penguin Books, 1969. ISBN 0-14-021080-6.)
- ↑ Rupert Ticehurst (1997) in his footnote 1 cites The life and works of Martens as detailed by V. Pustogarov, "Fyodor Fyodorovich Martens (1845–1909) – A Humanist of Modern Times", International Review of the Red Cross (IRRC), No. 312, May–June 1996, pp. 300–314.
- ↑ Ticehurst (1997) in his footnote 2 cites F. Kalshoven, Constraints on the Waging of War, Dordrecht: Martinus Nijhoff, 1987, p. 14.
- ↑ Gardam (1993), p. 91.
- ↑ Khan, Ali (Washburn University – School of Law). "A Theory of International Terrorism", Connecticut Law Review, Vol. 19, p. 945,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