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황제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로마 황제 연대표에서 넘어옴)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로마 제국의 첫 번째 황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아니라 아우구스투스인데,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45년부터 암살당한 기원전 44년까지 독재관으로 있었으나 로마 황제(Princeps)가 되지는 않았다.
목차
- 1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황조
- 2 네 명의 황제의 해 ~ 플라비우스 황조
- 3 네르바-안토니누스 황조
- 4 난립기
- 5 세베루스 황조
- 6 군인 황제 시대 중의 황제들
- 7 테트라키아
- 8 콘스탄티누스 황조
- 9 발렌티니아누스 황조
- 10 테오도시우스 황조
- 10.1 서로마 제국
- 10.2 동로마 제국
- 10.2.1 테오도시우스 황조(379~457)
- 10.2.2 레오 왕조(457~518)
- 10.2.3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518-602)
- 10.2.4 특정 왕조 없음(602-610)
- 10.2.5 이라클리오스 왕조 (610-711)
- 10.2.6 특정 왕조 없음(711-717)
- 10.2.7 이사브론 왕조 (717-802)
- 10.2.8 니케포루스 왕조 (802-813)
- 10.2.9 특정 왕조 없음(813-820)
- 10.2.10 아모리아 왕조 (820-867)
- 10.2.11 마케도니아 왕조 (867-1056)
- 10.2.12 특정 왕조 없음(1056-1059)
- 10.2.13 두카스 왕조 (1059-1081)
- 10.2.14 콤니노스 왕조 (1081-1185)
- 10.2.15 앙겔로스 왕조 (1185-1204)
- 10.2.16 라스카리스 왕조 (니카이아 제국, 1204-1261)
- 10.2.17 팔레올로고스 왕조 (콘스탄티노폴리스 회복, 1259-1453)
- 10.2.18 팔레올로고스 왕조 (망명)
- 10.2.19 동로마계 국가
- 11 같이 보기
- 12 관련 페이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황조편집
사진 | 이름 | 출생 | 재위 | 계승 | 사망 |
---|---|---|---|---|---|
아우구스투스 CAESAR DIVI FILIVS AVGVSTVS |
기원전 63년 9월 23일, 놀라 | 기원전 27년 1월 16일 ~ 14년 8월 19일 | 로마 원로원과의 ‘첫 번째 합의’의 결과로 사실상의 황제가 되다. | 14년 8월 19일 자연사. | |
티베리우스 TIBERIVS CAESAR AVGVSTVS |
기원전 42년 11월 16일, 로마 | 14년 9월 18일 ~ 37년 3월 16일 | 아우구스투스의 부인 리비아 드루실라의 친아들이자, 아우구스투스의 양자. | 37년 3월 16일 자연사. | |
칼리굴라 GAIVS CAESAR AVGVSTVS GERMANICVS |
12년 8월 31일, 이탈리아 안티움 | 37년 3월 18일 ~ 41년 1월 24일 | 티베리우스의 조카 게르마니쿠스의 아들. | 41년 1월 24일 가장 신임하는 장군에게 암살. | |
클라우디우스 TIBERIVS CLAVDIVS CAESAR AVGVSTVS GERMANICVS |
기원전 10년 8월 1일,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루그두눔 | 41년 1월 25일(26일) ~ 54년 10월 13일 | 티베리우스의 조카, 게르마니쿠스의 동생이자 칼리굴라의 삼촌. 근위대에 의해 황제로 지명되다. | 54년 10월 13일 부인인 소 아그리피나에 의한 독살 가능성 있음. | |
네로 NERO CLAVDIVS CAESAR AVGVSTVS GERMANICVS |
37년 12월 15일, 이탈리아 안티움 | 54년 10월 13일 ~ 68년 6월 9일 | 클라우디우스의 의붓아들이자 양아들. | 68년 6월 9일 원로원에 의해 국가의 적으로 선언된 이후 자살. |
네 명의 황제의 해 ~ 플라비우스 황조편집
초상 | 이름 | 출생 | 재위 | 계승 | 사망 |
---|---|---|---|---|---|
갈바 SERVIVS GALBA IMPERATOR CAESAR AVGVSTVS |
기원전 3년 12월 24일, 이탈리아 테라치나 인근 | 68년 6월 8일 ~ 69년 1월 15일 | 네로 사망 후 스페인 지역의 지원으로 권력을 장악. | 69년 1월 15일 친위대에 의해 암살. | |
오토 MARCVS OTHO CAESAR AVGVSTVS |
32년 4월 25일, 이탈리아 페렌티움 | 69년 1월 15일 ~ 69년 4월 16일 | 친위대에 의해 선출. | 69년 4월 16일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한 후 자살. | |
비텔리우스 AVLVS VITELLIVS GERMANICVS AVGVSTVS |
15년 9월 24일, 로마 | 69년 4월 17일 ~ 69년 12월 20일 | 게르마니아군의 지지로 권력을 장악. | 69년 12월 20일 베스파시아누스의 군대에게 살해. | |
베스파시아누스 TITVS FLAVIVS CAESAR VESPASIANVS AVGVSTVS |
9년 11월 17일, 이탈리아 팔라크리네 | 69년 7월 1일 ~ 79년 6월 24일 | 동방 지역의 지지로 권력을 장악. | 79년 6월 24일 자연사. | |
티투스 TITVS FLAVIVS CAESAR VESPASIANVS AVGVSTVS |
39년 12월 30일, 로마 | 79년 6월 24일 ~ 81년 9월 13일 | 베스파시아누스의 첫째 아들. | 81년 9월 13일 전염병으로 인한 자연사. | |
도미티아누스 TITVS FLAVIVS CAESAR DOMITIANVS AVGVSTVS |
51년 10월 24일, 로마 | 81년 9월 14일 ~ 96년 9월 18일 | 베스파시아누스의 둘째 아들. | 96년 9월 18일 암살. |
네르바-안토니누스 황조편집
- 네르바 (Marcus Cocceius Nerva) (95년 - 98년)
- 트라이아누스 (Marcus Ulpius Nerva Traianus) (98년 - 117년)
- 하드리아누스 (Publius Aelius Traianus Hadrianus) (117년 - 138년)
- 안토니누스 피우스 (Titus Aurelius Fulvius Boionius Arrius Antoninus Pius) (138년 - 161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Marcus Aurelius Antoninus) (161년 - 180년)
- 콤모두스 (Marcus Aurelius Commodus Antoninus) (180년 - 193년)
난립기편집
- 페르티낙스 (Publicus Helvius Pertinax) (193년)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Didius Iulianus) (193년)
세베루스 황조편집
군인 황제 시대 중의 황제들편집
- 막시미누스 트락스 (Gaius Iulius Verus Maximinus Thrax) (235년 - 238년)
- 고르디아누스 1세 (Marcus Antonius Gordianus Sempronianus Romanus Africanus)(238년)
- 고르디아누스 2세 (Marcus Antonius Gordianus) (238년)
- 푸피에누스 (Marcus Clodius Pupienus Maximus) (238년)
- 발비누스 (Decius Caelius Calvinus Balbinus) (238년)
- 고르디아누스 3세 (Marcus Antonius Gordianus Pius) (238년-244년)
- 필리푸스 아라부스 (Marcus Iulius Philippus) (244년-249년)
- 데키우스 (Gaius Messius Quintus Traianus Decius) (249년-251년)
- 공동 황제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Quintus Herennius Etruscus Messius Decius) (251년)
-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Gaius Vibius Trebonianus Gallus) (251년-253년)
- 아이밀리아누스 (Marcus Aemilius Aemilianus) (253년)
- 발레리아누스 (Publius Aurelius Licinius Valerianus) (253년-260년)
- 갈리에누스 (Publius Licinius Egnatius Gallienus) (260년-268년)
-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 (Marcus Aurelius Claudius Gothicus) (268년-270년)
- 퀸틸루스 (Marcus Aurelius Claudius Quintillus) (270년)
- 아우렐리아누스 (Lucius Domitius Aurelianus) (270년-275년)
-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타키투스 (Marcus Claudius Tacitus) (275년-276년)
- 플로리아누스 (Marcus Annius Florianus) (276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프로부스(Marcus Aurelius Probus) (276년-282년)
- 카루스 (Marcus Aurelius Carus) (282년-283년)
- 카리누스 (Marcus Aurelius Carinus) (283년-284년)
테트라키아편집
콘스탄티누스 황조편집
- 콘스탄티누스 1세 (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306년 - 337년)
- 콘스탄티우스 2세 (Flavius Iulius Constantius) (337년 - 361년) (공동 황제 콘스탄티누스 2세 (Flavius Claudius Constantinus (337년 - 340년), 콘스탄스 (Flavius Iulius Constans) 337년 - 350년)
- 율리아누스 (Flavius Claudius Iulianus) (361년 - 363년)
- 요비아누스 (Flavius Claudius Iovianus) (363년 - 364년)
발렌티니아누스 황조편집
테오도시우스 황조편집
서로마 제국편집
- 플라비우스 아우구스투스 호노리우스 (Flavius Augustus Honorius) (395년 - 423년) (공동 황제 콘스탄티우스 3세 Flavius Constantius, 421년)
- 발렌티니아누스 3세 (Placidus Valentinianus) (425년 - 455년)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Petronius Maximus) (455년)
- 아비투스 (Eparchius Avitus) (456년 - 457년)
- 마요리아누스 (Iulius Valerius Maiorianus) (457년 - 461년)
- 리비우스 세베루스 (Libius Severus) (461년) - 465년)
- 안테미우스 (Anthemius) (467년 - 472년)
- 올리브리우스 (Anicius Olybrius) (472년)
- 글리케리우스 (Glycerius) (473년 - 474년)
- 율리우스 네포스 (Iulius Nepos) - (474년 - 475년/480년) 서로마 제국의 합법적인 최후의 황제
-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 (Romulus Augustus, 혹은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Romulus Augustulus)),(475년 - 476년) 비공식 최후의 황제
동로마 제국편집
테오도시우스 황조(379~457)편집
- 테오도시우스 2세(Flavius Theodosius, 408년 ~ 450년)
- 마르키아누스(Flavius Marcianus, 450년 - 457년)
레오 왕조(457~518)편집
- 레오 1세 트라키아인 (Flavius Valerius Leo; 401-474, 재위 : 457 - 474) – 군인
- 레오 2세 (Flavius Leo; 467 - 474, 재위 : 474) – 레오 1세의 손자, 제논의 아들
- 제논 (Flavius Zeno; 425 - 491, 재위 : 474 - 475) – 레오 1세의 사위; 원래 이사우리아 출신
- 바실리스쿠스 (Flavius Basiliscus; ? - c. 477, 재위 : 475 - 476) – 제위 찬탈자 ; 레오 1세의 매형
- 제논 (Flavius Zeno; 재위 : 476 - 491) – 복위됨
- 아나스타시우스 1세 (Flavius Anastasius;430 - 518, 재위 : 491 - 518) – 황실 시종장 출신; 레오 1세의 사위, 제논의 미망인인 아리아드네 황후에 의해 황제로 승격함
유스티니아누스 왕조 (518-602)편집
- 유스티누스 1세 (Flavius Iustinius; 450 - 527, 재위 : 518 - 527) – 황실 경비대장
- 유스티니아누스 1세 (Flavius Petrus Sabbatius Iustinianus; 482 - 565, 재위 : 527 - 565) – 유스티누스 1세의 조카이자 양자; 하기아 소피아를 건설하다; 로마법을 집대성함; 수많은 서방 영토를 회복하다; 동방정교회의 발전에 힘쓰다.
- 유스티누스 2세 (Flavius Iustinius Iunior; 520 - 578, 재위 : 565 - 578) – 유스티니아누스의 조카
- 티베리우스 2세 콘스탄티누스 (Flavius Tiberius Constantinus; 540 - 582, 재위 : 574, 578 - 582) – 콤메스 에스큐비트리스(Comes Excubitris); 유스티누스 2세의 양자
- 마우리키우스 (Flavius Mauricius Tiberius; 539 - 602, 재위 : 582 - 602) – 티베리우스 2세의 사위
특정 왕조 없음(602-610)편집
- 포카스 (Flavius Phocas; ? - 610, 재위 : 602 - 610) – 발칸 군대의 지휘관으로 마우리키우스에 반기를 들어 제위를 찬탈함
이라클리오스 왕조 (610-711)편집
- 헤라클리우스 (Ηράκλειος) (575 - 641, 재위 : 610 - 641) – 제위 찬탈; 아르메니아 혈통인 카르타고 총독의 아들.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했으나 이슬람의 팽창으로 팔레스타인과 이집트를 잃음; 그리스어를 공용어로 결정함.
- 콘스탄티누스 3세 (헤라클리우스 콘스탄티누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Γ') (612 - 641, 재위 : 641) – 헤라클리우스의 아들; 헤라클로나스와 공동통치
- 헤라클로나스 (콘스탄티누스 헤라클리우스) (Ηρακλωνάς) (626 - 641?, 재위 : 641) – 헤라클리우스의 아들; 신체 절단 후 폐위됨
- 콘스탄스 2세 포고나투스 (Πωγωνάτος, 털복숭이) (Κώνστας Β') (630 - 668, 재위 : 641 - 668) – 콘스탄티누스 3세의 아들; 궁정에서 암살됨
- 콘스탄티누스 4세 (Κωνσταντίνος Δ') (649 - 685, 재위 : 668 - 685) – 콘스탄스 2세의 아들
- 유스티니아누스 2세 리노트메투스 (Ιουστινιανός Β' ο Ρινότμητος) (668 - 711, 재위 : 685 - 695) – 콘스탄티누스 4세의 아들; 코와 혀가 잘리고 폐위당해 추방됨
- 레온티우스 (Λεόντιος) (재위 : 695 - 698) – 제위 찬탈; 스트라테고스; 코가 잘린 후 폐위, 투옥되었다가 나중에 처형됨
- 티베리우스 3세 (Τιβέριος Γ' ο Αψίμαρος) (재위 : 698 - 705) – 제위찬탈; 아프시마르(Apsimar)라는 이름의 게르만족; 폐위, 처형됨
- 유스티니아누스 2세 리노트메투스 (Ιουστινιανός Β' ο Ρινότμητος) (재위 : 705 - 711) – 복위되었다가 폐위, 처형됨
특정 왕조 없음(711-717)편집
- 필리피쿠스 바르다네스 (Φιλιππικός Βαρδάνης) (재위 : 711 - 713) – 아르메니아 출신; 눈이 뽑힌 후, 폐위
- 아나스타시우스 2세 (Αναστάσιος Β') ( ? - 721, 재위 : 713 - 715) – 필리피쿠스의 궁정비서 출신; 폐위되어 수도원이 들어감; 나중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처형당함
- 테오도시우스 3세 (Θεοδόσιος Γ') (재위 : 715 - 717) – 징세관; 제위에서 물러나 수도원에 들어감
이사브론 왕조 (717-802)편집
- 레오 3세 이사우리아인 (Λέων Γ' ο Ίσαυρος) (675 - 741, 재위 : 717 - 741) – 스트라테고스
- 콘스탄티누스 5세 코프로니무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Ε' ο Κοπρώνυμος ή Καβαλίνος) (718 - 775, 재위 : 741) – 레오 3세의 아들;폐위됨
- 아르타바스두스 (Αρτάβασδος ο Εικονόφιλος) (재위 : 741 - 743) – 레오 3세의 사위
- 콘스탄티누스 5세 코프로니무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Ε' ο Κοπρώνυμος ή Καβαλίνος) (재위 : 743 - 775) – 복위됨
- 레온 4세 (Λέων Δ' o Χαζάρος) (750 - 780, 재위 : 775 - 780) – 콘스탄티누스 5세의 아들
- 콘스탄티누스 6세 (Κωνσταντίνος ΣΤ') (771 - 797 or 805, 재위 : 780 - 797) – 레온 4세의 아들; 어머니 이레네에게 눈이 뽑힘
- 이레네 아테네이아 (Ειρήνη η Αθηναία) (755 - 803, 재위 : 797 - 802) – 레온 4세의 아내이자 콘스탄티누스 6세의 어머니; 폐위되어 레스보스 섬에 유배됨
니케포루스 왕조 (802-813)편집
- 니케포루스 1세 (Νικηφόρος Α') ( ? - 811, 재위 : 802 - 811) – 궁정 재무 대신; 불가르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함, 해골은 불가르족 칸 크룸의 술잔으로 사용되다
- 스타우라키우스 (Σταυράκιος Φωκάς) ( ? - 812, 재위 : 811) – 니케포루스 1세의 아들; 불가르족 크룸과의 전투에서 부상으로 결국 죽다.
- 미하일 1세 랑가베 (Μιχαήλ Α' Ραγκαβής) (재위 : 811 - 813) – 니케포루스 1세의 사위, 궁정의 장관; 스스로 제위에서 내려와 수도원에 들어감
특정 왕조 없음(813-820)편집
- 레오 5세 아르메니아인 (Λέων Ε' ο Αρμένιος) (775 - 820, 재위 : 813 - 820) – 스트라테고스(Strategos)출신; 암살됨
아모리아 왕조 (820-867)편집
- 미하일 2세 (Μιχαήλ Β' ο Τραυλός ή Ψελλός) (770 - 829, 재위 : 820 - 829) – 스트라테고스 출신, 콘스탄티누스 6세의 사위
- 테오필루스 (Θεόφιλος) (813 - 842, 재위 : 829 - 842) – 미카일 2세의 아들
- 테오도라 (Θεοδώρα) (재위 : 842 - 855) – 테오필루스의 황후; 여제이자 미카일 3세의 섭정; 폐위되어 수도원에 들어감
- 미하일 3세 (Μιχαήλ Γ' ο Μέθυσος) (840 - 867, 재위 : 842 - 867) – 테오필루스의 아들; 암살당함
마케도니아 왕조 (867-1056)편집
- 바실리오스 1세 (Βασίλειος Α') (811 - 886, 재위 : 867 - 886) - 미하일 3세의 궁정신하 출신; 사냥에서 사고로 죽다
- 레온 6세 (Λέων ΣΤ' ο Σοφός) (866 - 912, 재위 : 886 - 912) – 바실리오스 1세 또는 미하일 3세의 아들일 수도 있음
- 알렉산드로스 (Αλέξανδρος Γ' του Βυζαντίου) (870 - 913, 재위 : 912 - 913) – 바실리오스 1세의 아들; 조카의 섭정
- 콘스탄티노스 7세 (Κωνσταντίνος Ζ' ο Πορφυρογέννητος) (905-959, 재위 : 913 - 959) – 레오 6세의 아들
- 로마노스 1세 레카페누스 (Ρωμανός Α' ο Λεκαπηνός) (870 - 948, 재위 : 919 - 944) – 콘스탄티노스 7세의 장인이자 사위와 공동 황제; 아들에 의해 폐위되어 수도원에 들어감
- 로마노스 2세 포르피로옌니토스 (Ρωμανός Β' ο Πορφυρογέννητος) (939 - 963, 재위 : 959 - 963) – 콘스탄티노스 7세의 아들
- 니키포로스 2세 포카스 (Νικηφόρος Β' Φωκάς) (912 - 969, 재위 : 963 - 969) – 스트라테고스 (Strategos),; 로마노스 2세의 황후와 결혼; 바실리오스 2세의 섭정; 암살당함
-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 (Ιωάννης Α' Κουρκούας ο Τσιμισκής) (925 - 976, 재위 : 969 - 976) – 로마노스 2세의 매제; 니케포루스 황후의 연인이었으나 결혼이 금지당함; 바실리오스의 섭정
- 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누스 (Βασίλειος Β' ο Βουλγαροκτόνος) (958 - 1025, 재위 : 976 - 1025) – ‘불가르족의 학살자’; 로마노스 2세의 아들
- 콘스탄티누스 8세 (Κωνσταντίνος Η')(960-1028, 재위 : 1025 - 1028) – 로마노스 2세의 아들; 형 바실리우스 2세와 공동 황제
- 로마누스 3세 아르기루스 (Ρωμανός Γ' ο Αργυρός) (968 - 1034, 재위 : 1028 - 1034)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독; 조이의 첫 남편으로 콘스탄티누스 8세에 의해 발탁됨; 살해됨
- 미카일 4세 파플라고니아인 (Μιχαήλ Δ' ο Παφλαγών) (1010 - 1041, 재위 : 1034 - 1041) – 조이의 두 번째 남편
- 미카일 5세 칼라파테스(Μιχαήλ Ε' ο Καλαφάτης) (1015 - 1042, 재위 : 1041 - 1042) – 미카일 4세의 조카, 조이의 양자
- 콘스탄티누스 9세 모노마쿠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Θ' ο Μονομάχος) (1000 - 1055, 재위 : 1042 - 1055) – 조이의 세 번째 남편
- 테오도라 (Θεοδώρα) (재위 : 1055 - 1056) – 복위됨
특정 왕조 없음(1056-1059)편집
- 미하일 6세 브링가스 (Μιχαήλ ΣΤ' ο Στρατιωτικός) (? - ?, 재위기간:1056 - 1057) – 테오도라가 후계자로 낙점; 폐위됨
- 이사키오스 1세 콤니노스 (Ισαάκιος Α' ο Κομνηνός) (1007 경 - 1060, 재위 : 1057 - 1059) – 장군 출신, 반란으로 즉위; 병으로 제위를 사양하고 수도원에 들어감
두카스 왕조 (1059-1081)편집
- 콘스탄티노스 10세 두카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Ι' ο Δούκας) (1006 - 1067, 재위 : 1059 - 1067) – 미카일 프셀루스의 영향으로 황제로 선택됨
- 로마노스 4세 디오예니스 (Ρωμανός Δ' Διογένης) (1032 - 1072, 재위 : 1068 - 1071) – 콘스탄티노스 10세의 미망인과 결혼; 공동 황제, 폐위되어 맹인이 되어 죽음
- 미하일 7세 두카스 (Μιχαήλ Ζ' Δούκας Παραπινάκης) (1050 - 1090, 재위 : 1071 - 1078) – 콘스탄티노스 10세의 아들, 원래 두 형제와 로마노스와 공동 황제였음; 폐위되어 수도원에 들어감
- 니키포로스 3세 보타니아티스 (Νικηφόρος Γ' Βοτανειάτης) (1001 - 1081, 재위 : 1078 - 1081) – 스트라테고스(Strategos), 미하일 7세의 아내와 중혼; 폐위되어 강제로 수도원에 들어감
콤니노스 왕조 (1081-1185)편집
- 알렉시오스 1세 콤니노스 (Αλέξιος Α' Κομνηνός) (1057 - 1118, 재위 : 1081 - 1118) – 이사키오스 1세의 조카; 콘스탄티노스 10세의 손조카와 결혼
- 요안니스 2세 콤니노스 (Ιωάννης Β' Κομνηνός o Καλός) (1087 - 1143, 재위 : 1118 - 1143) – 알렉시오스 1세의 아들; 사냥에서 사고로 죽음
- 마누일 1세 콤니노스 (Μανουήλ Α' Κομνηνός ο Μέγας) (1118 - 1180, 재위 : 1143 - 1180) – 요안니스 2세의 아들
- 알렉시오스 2세 콤니노스 (Αλέξιος B' Κομνηνός) (1169 - 1183, 재위 : 1180 - 1183) – 마누일 1세의 아들
- 안드로니코스 1세 콤니노스 (Ανδρόνικος Α' Κομνηνός) (1118 - 1185, 재위 : 1183 - 1185) – 요안니스 2세의 조카; 알렉시오스 2세의 미망인과 결혼; 폐위되고 고문당한 후 처형됨; 트라페주스 제국의 콤니노스 가계의 원조
앙겔로스 왕조 (1185-1204)편집
-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 (Ισαάκιος Β' Άγγελος) (1156 - 1204, 재위 : 1185 - 1195) – 알렉시오스 1세의 증손자; 폐위되고 실명당함
-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 (Αλέξιος Γ' Άγγελος) (1153 - 1211, 재위 : 1195 - 1203) – 이사키오스 2세의 형; 제4차 십자군으로 폐위되어 강제로 수도원에 감
- 이사키오스 2세 앙겔로스 (Ισαάκιος Β' Άγγελος) (두 번째 재위: 1203 - 1204) – 제4차 십자군으로 복위; 알렉시오스 5세에 의해 폐위
- 알렉시오스 4세 앙겔로스 (Αλέξιος Δ' Άγγελος) (1182 - 1204, 재위 : 1203 - 1204) – 이사키오스 2세의 아들로 아버지와 공동 황제; 알렉시우스 5세에 의해 폐위되어 살해당함
- 알렉시오스 5세 두카스 (Αλέξιος Ε' Δούκας ο Μούρτζουφλος) (1140 - 1204, 재위 : 1204) – 제위 찬탈; 알렉시오스 3세의 사위
라스카리스 왕조 (니카이아 제국, 1204-1261)편집
- 콘스탄티노스 라스카리스 (1204년 통치) – 공식적인 즉위는 없었음
- 테오도로스 1세 라스카리스 (Θεόδωρος Α' Λάσκαρης) (1174 - 1222, 재위 : 1204 - 1222) – 알렉시오스 3세의 사위
- 요안니스 3세 두카스 바타치스 (Ιωάννης Γ' Δούκας Βατάτζης) (1192 - 1254, 재위 : 1222 - 1254) – 테오도로스 1세의 사위; 간질환자
- 테오도로스 2세 라스카리스 (Θεόδωρος Β' Δούκας Λάσκαρης) (1221 - 1258, 재위 : 1254 - 1258) – 요안니스 3세의 아들
- 요안니스 4세 라스카리스 (Ιωάννης Δ' Δούκας Λάσκαρης) (1250 - 1305, 재위 : 1258 - 1261) – 테오도로스 2세의 아들, 미하일 8세에 의해 폐위되어 실명당하고 감옥에 갇힘
팔레올로고스 왕조 (콘스탄티노폴리스 회복, 1259-1453)편집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Μιχαήλ Η' Παλαιολόγος) (1224 - 1282, 재위 : 1259 - 1282) – 스트라테고스(Strategos); 요한네스 4세의 섭정; 알렉시우스 3세의 증손자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Ανδρόνικος Β' ο Γέρος) (1258 - 1332, 재위 : 1282 - 1328) – 미하일 8세의 아들; 제위에서 물러남
- 미하일 9세 팔레올로고스(재위 1281 - 1320)-안드로니코스 2세의 아들.공동 황제.
-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 (Ανδρόνικος Γ' Παλαιολόγος ο Νέος) (1297 - 1341, 재위 : 1328 - 1341) – 안드로니코스 2세의 손자
-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1332 - 1391, 재위 : 1341 - 1347) – 안드로니코스 3세의 아들, 요안니스 6세에게 폐위 당함
-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 (Ιωάννης Στ' Καντακουζηνός) (1295 - 1383, 재위 : 1347 - 1354) – 요안니스 5세의 장인; 폐위되어 수도원에 들어감
-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재위 : 1354 - 1376) – 복위됨; 안드로니코스 4세에 의해 폐위
- 마쎄오스 칸타쿠지노스 (Ματθαίος Ασάνης Καντακουζηνός) (재위: 1353 – 1357) –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공동 황제; 이리니 팔레올로기나의 남편.
- 안드로니코스 4세 팔레올로고스 (Ανδρόνικος Δ' Παλαιολόγος) (1348 - 1385, 재위 : 1376 - 1379) – 요안니스 5세의 아들; 반란 끝에 한쪽 눈을 실명당함; 나중에 반란에 성공했다가 다시 폐위; 세 번째 반란을 일으킴
-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Ζ' Παλαιολόγος) (1370-1408, 공동 황제 1376-1379), deposed
-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재위 : 1379 - 1390) – 복위되었다가 다시 폐위
-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Ζ' Παλαιολόγος) (재위 : 1390)
-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Ε' Παλαιολόγος) (ruled 1390 - 1391) – 복위됨
- 마누일 2세 팔레올로고스 (Μανουήλ Β' Παλαιολόγος) (1350 - 1425, 재위 : 1391 - 1425) – 요안니스 5세의 아들
- 요안니스 7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Ζ' Παλαιολόγος) (섭정 1399 - 1402)
- 요안니스 8세 팔레올로고스 (Ιωάννης Η' Παλαιολόγος) (1392 - 1448, 재위 : 1425 - 1448) – 마누일 2세의 아들. 공동 황제(재위 ? - 1425년)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Κωνσταντίνος ΙΑ' Παλαιολόγος Δραγάσης) (1405 - 1453, 재위 : 1449 - 1453) – 마누일 2세의 아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제위에 오르지 않았음;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때 전사함.
팔레올로고스 왕조 (망명)편집
- 토마스 팔레올로고스 (Θωμάς Παλαιολόγος) (1409 or 10 - 1465) – 콘스탄티노스 11세의 동생; 로마에 망명 중 죽음
- 안드레아스 팔레올로고스 (Ανδρέας Παλαιολόγος) (1453 - 1502) – 토마스의 아들; 교황 비오 2세에 의해 단독 왕국을 부여받음, 1494년 프랑스의 샤를 8세에게 황제의 지위를 팔았고 또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에게 유언으로 남겼다.
동로마계 국가편집
트라페주스 제국편집
에페이로스 공국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