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어

류트, 기타, 바이올린족 등의 현악기를 제작, 수리하는 사람

루시어(luthier /ˈltiər/ LOO-ti-ər)[1]는 넥과 울림통이 있는 현악기를 제작, 수리하는 장인이다. 단어 "luthier"는 류트(lute)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단어 "luth"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원래 류트 제작가를 지칭하는 데 쓰였지만,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등의 바이올린족 악기, 기타류 따위의 대부분의 찰현악기발현악기 제작가를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하프, 피아노는 현이 악기의 틀 안에 담겨있기 때문에 다른 방식의 제작 기법을 요구하므로 제작가들이 루시어라고 불리지는 않는다.

루시어의 공예는 루시에리(lutherie, 드물게, 주로 바이올린족 외의 경우 luthiery)라고 불리는데, 크게 활로 연주하는 현악기 제작가(:en:Violin making and maintenance), 뜯거나 튕기는 현악기 제작가의 두 부류로 나뉜다.[2] 찰현악기는 활이 필요하기 때문에, 활 제작가(:en:bow maker) 혹은 아키티어(archetier)라 불리는 하위 직군이 존재한다. 루시어는 도제 방식, 강의 방식으로 현악기 제작을 교육하기도 한다.

발현악기 편집

류트 편집

 
이집트 카이로 무하마드알리로(Muhamad Ali Street)의 우드 루시어

주요 류트족 (류트, 테오르보(en:theorbo), 비우엘라(en:Vihuela) 등등) 루시어는 다음과 같다:

기타 편집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클래식 기타를 제작 중인 루시어
 
미국의 기타 루시어 로버트 베네데토(:en:Robert Benedetto). 1976년에 본인의 작업실에서 촬영.

19세기 초의 두 명의 주요 루시어 루이스 파노르모(:en:Louis Panormo), 게오르그 스타우퍼(:en:Georg Staufer)의 기타는 현대 클래식 기타의 개발로 이어졌다.[3] 안토니오 토레스 후라도(:en:Antonio Torres Jurado)는 오늘날에 사용되는 형태의 클래식 기타를 개발하였다.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마르틴(:en:Christian Frederick Martin)은 초기 형태의 통기타를 개발했다.

미국의 주요 루시어 오빌 깁슨(:en:Orville Gibson)은 만돌린 제작에 능했으며, 아치탑 기타(:en:archtop guitar)를 발명하였다. 20세기의 미국의 주요 루시어 존 단젤리코(:en:John D'Angelico)와 지미 다퀴스토(:en:Jimmy D'Aquisto) 또한 아치탑 기타를 만들었다. 로이드 로어(:en:Lloyd Loar)는 잠시 동안 깁슨 기타 코퍼레이션에서 만돌린, 기타를 만들었다. 그의 아치탑 악기(만돌린, 만돌라, 기타 등등) 설계는 오늘날 그의 소리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루시어들에게 존경받는다. 폴 빅스비(:en:Paul Bigsby)는 아치탑, 일렉트릭 기타에 사용되는 트레몰로 암(:en:Vibrato systems for guitar)을 발명하였고, 레오 펜더(:en:Clarence Leonidas Fender)의 울림통 없는 일렉트릭 기타 스트라토캐스터, 재규어, 재즈마스터(:en:Fender Jazzmaster)의 설계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기타리스트 레스폴은 펜더와 비슷한 시기에 개별적으로 바디가 꽉 찬 일렉트릭 기타를 개발했다. 이것들은 최초로 프렛이 박힌, 울림통 없는 일렉트릭 기타였지만, 이전에 알루미늄을 주조해 제작하는 울림통 없는 일렉트릭 랩 스틸 기타(:en:lap steel guitar)인 프라잉 팬(:en:Frying pan (guitar))이 있었는데, 조지 뷰챔프(:en:George Beauchamp)가 설계하고 특허를 출원했으며, 아돌프 리켄베커(:en:Adolph Rickenbacker)가 제작하였다.[4] 루시어 프리드리히 그레치가 설립하고 그의 아들과 손자, 프레드와 프레드 주니어가 운영해나간 회사 그레치는 원래 밴조를 만들었지만, 오늘날엔 일렉트릭 기타를 만들기로 유명하다. 오늘날 빈티지 기타를 노리는 수집가들이 존재한다.

찰현악기 편집

 
악기를 점검하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의 판화식 인물화
 
바이올린에 칠을 올리는 현대의 루시어

찰현악기에는 콘트라베이스, 첼로, 바이올린, 비올라, 비올(비올라 다감바), 비올라 다모레, 비올라 다브라치오(:en:viola da braccio (instrument)), 허디거디, 피들, 이호, 크루스(en:Crwth), 구도크(en:Gudok), 마두금, 니켈하르파, 라바브, 레벡(en:rebec), 사랑기 따위가 있다.

안드레아 아마티(:en:Andrea Amati)는 바이올린의 "발명가"라고 여겨진다. 아마티는 원래 류트 제작가였지만, 16세기 중반에 바이올린 형태의 새로운 악기를 제작하게 되었다. 그는 이탈리아 크레모나에서 18세기까지 활동한 유명 제작가 가문 아마티 가의 창시자였다. 안드레아 아마티는 두 명의 아들을 두었다. 첫째는 안토니오 아마티(:en:Antonio Amati)(약 1537-1607), 둘째는 지롤라모 아마티(:en:Girolamo Amati)(약 1561-1630)였다. 지롤라모는 대개 히에로니무스(Hieronymus)라 불렸는데, 형과 함께 바이올린을 제작하면서 울림통 안에 "A&H"라 쓰여진 라벨을 붙였다. 안토니오는 자식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히에로니무스의 아들 니콜로 아마티(Nicolò Amati, 1596–1684)는 본인도 큰 영향을 끼친 마스터 루시어였으며 그의 제자들 중에는 안드레아 과르네리, 바르톨로메오 파스타(Bartolomeo Pasta), 야코브 라일리치(Jacob Railich), 지오반니 바티스타 로제리(Giovanni Battista Rogeri), 마티아스 클로츠(:en:Klotz (violin makers))(Matthias Klotz)가 있고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5], 야콥 스타이너(:en:Jacob Stainer), 프란체스코 루게리(:en:Francesco Rugeri)도 아마 제자였을 것이다. 훗날 피아노를 발명한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 또한 제자였을지 모른다는 말이 있지만, 인구조사 데이터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며, 어쩌면 그저 소문에 불과할지도 모른다.[6]

독일 퓌센가스파로 두이포프루거(:en:Gasparo Duiffopruggar)는 한때 바이올린을 발명한 사람으로 잘못 알려졌다. 그는 아마 큰 영향을 끼친 제작가로 보이지만, 관련된 기록도 제작한 악기도 남아있지 않아서 그가 알려진 대로 명백한 전문가임을 증거할만한 게 없다.

이탈리아 브레시아가스파로 다 살로(:en:Gasparo da Salò) 또한 바이올린족의 초기 주요 제작가였다. 80 여 개의 악기, 그의 작업에 관련된 100 여 건의 문서가 남아있다. 그는 더블 베이스 연주자이기도 했으며 사촌 프란체스코(Francesco), 아고스티(Agosti)는 바이올린 연주자였다.

다 살로는 많은 악기를 제작하여 독일, 스페인, 아마도 영국에 수출했다. 그는 다섯 명 이상의 제자를 두었는데, 그의 아들 프란체스코, 바티스타, 마르세유의 알렉산더, 쟈코모 라프란치니(Giacomo Lafranchini), 이 중 제일 유명한 지오반니 파올로 마지니(:en:Giovanni Paolo Maggini) 등이 있다. 마지니는 브레치아에서 다 살로의 사업을 계승했다. 발렌티노 시아니(:en:Valentino Siani)는 마지니와 함께 악기를 제작했다. 마지니는 1620년에 플로렌스로 공방을 옮겼다.

17세기 중반에 태어난 루시어로는 밀란 출신의 지오반니 그란치노(:en:Giovanni Grancino), 빈첸초 루게리(:en:Vincenzo Rugeri), 카를로 주세페 테스토레(:en:Carlo Giuseppe Testore), 그의 아들 카를로 안토니오 테스토레(:en:Carlo Antonio Testore)과 파올로 안토니오 테스토레(:en:Paolo Antonio Testore)가 있으며, 베니스[7] 출신의 마테오 고프릴러(:en:Matteo Goffriller), 도메니코 몬타냐나(:en:Domenico Montagnana), 산투스 세라핀(:en:Sanctus Seraphin), 카를로 안니발 토노니(:en:Carlo Annibale Tononi)는 베니스의 바이올린 제작 학교의 교장들이었다(후자는 볼로냐에서 커리어를 시작하기는 했지만).[8] 카를로 베르곤치(:en:Carlo Bergonzi (luthier))는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 사후 몇 년 뒤에 그의 가게를 인수했다. 다비드 테클러(:en:David Tecchler)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났는데 베니스, 로마에서 악기를 제작했다.

18세기 초의 주요 루시어로는 이탈리아 나폴리니콜로 갈리아노(:en:Nicolò Gagliano), 밀라노카를로 페르디난도 란돌피(:en:Carlo Ferdinando Landolfi), 평생을 이탈리아를 방랑한 지오반니 바티스타 과다니니(:en:Giovanni Battista Guadagnini) 등이 있다. 레오폴드 위드할름(:en:Leopold Widhalm)은 오스트리아 출생인데, 독일 뉘른베르크에 정착했다.

19세기 초 프랑스의 미르쿠르(en:mirecourt) 바이올린 제작 학교 출신 루시어로는 비욤(en:Vuillaume) 가문, 샤를 장 바티스트 콜랑-메장(:en:Charles Jean Baptiste Collin-Mezin), 콜랑-메장의 아들, 샤를 콜랑-메장 주니어(:en:Charles Collin-Mezin, Jr.), 오노레 데라지(Honore Derazey), 니콜라스 루포(:en:Nicolas Lupot), 샤를 마쿠텔(Charles Macoutel), 샤를 메네간(:en:Charles Mennégand), 피에르 실베스트르(Pierre Silvestre)등이 있다. 니콜라 우틸리(Nicola Utili)(이탈리아 라벤나, 1888년 3월 - 1962년 5월)는 니콜라 다 카스텔 볼로네즈(Nicola da Castel Bolognese)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통적인 류트 뿐만 아니라 " 모양" 바이올린을 실험적으로 제작했다.

제롬-티부빌-라미 사(The Jérôme-Thibouville-Lamy firm)는 1730년 경에 라 쿠튜어-부세(:en:La Couture-Boussey)에서 관악기를 제작하기 시작했으며, 1760년 경에 미르쿠르로 옮겨가 바이올린, 기타, 만돌린, 악기 악세사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참고 문서 편집

각주 편집

  1. “Oxford Dictionaries”. 2012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월 28일에 확인함. 
  2. “Arts, Music, Instruments, Stringed”. DMOZ. 2006년 11월 3일에 확인함. 
  3. The Guita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by Harvey Turnbull (Third Impression 1978) – Publisher: Batsford. p. 68 (Ponormo) and p. 70 (Georg Staufer) – Chapter 4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4. Gruhn, George. “Rickenbacker Electro Spanish Guitar”. 2006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4일에 확인함. 
  5. Hill, W. Henry Hill, Arthur F. Hill and Alfred E. (1963). 《Antonio Stradivari: His Life and Work, 1664–1737》 New Dover판. New York: Dover. 27쪽. ISBN 0-486-20425-1. 
  6. Pollens, Stewart (1995) The Early Pianofort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Pio, Stefano (2004). 《Violin and Lute Makers of Venice 1640–1760》. venezia, Italy: Venice research. 383쪽. ISBN 978-88-907252-2-7. 2018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0일에 확인함. 
  8. Bartruff, William. “The History of the Violin”. 2016년 4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3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 Historical Lute Construction by Robert Lundberg, Guild of American Luthiers (2002) ISBN 0-9626447-4-9
  • The Complete Luthier's Library. A Useful International Critical Bibliography for the Maker and the Connoisseur of Stringed and Plucked Instruments. Bologna, Florenus Edizioni 1990. ISBN 88-85250-01-7
  • Mottola's Cyclopedic Dictionary of Lutherie Terms. R.M. Mottola 2020. ISBN 978-1-7341256-0-3
  • Guild of American Luthiers
  • Guitar Museum Classical Guitar Museum, (UK)
  • Luthier Interviews Archived 2010년 2월 8일 - 웨이백 머신 Guitarbench.com archive of Luthier Interviews.
  • The Consortium of Violinmakers "Antonio Stradivari" CREMONA
  • Luthiers Forum A large online lutherie community. Educational.
  • Contemporary violin makers from China and Taiwan
  • Il Liutaio – Origine e costruzione del violino e degli strumenti ad arco moderni, by Angeloni Domenico, legatura tela edit. fig., pp. XXVI-558 con 176 figure e 33 tavole, Milano, HOEPLI, 1923
  • The secrets of Stradivari by Simone F. Sacconi, Libreria del Convegno in Cremona, Cremona, 1972 Simone Fernando Sacco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