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루스티쿠스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루스티쿠스 (Lucius Antistius Rusticus, 48년경[1] – 93년)는 서기 1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로마의 원로원 의원이다. 그는 90년 3월부터 4월 기간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를 동료 집정관으로 둔 보좌 집정관이었다.[2]
생애편집
루스티쿠스는 코르두바 출신이었다. 로널드 사임은 그곳에서 발견되었고 동일한 이름을 가진 정무관의 존재를 나타내는 한 비문을 언급하였다.[3] 그는 이탈리아족 정착민들인 안티스티우스 일족의 후손일 수 있다.[4]
기록으로 남은 그의 첫 보직은 하위직 정무관이었던 비긴티비리의 한 명인 '데켐비리 스틀리티부스 유칸디스'(decemviri stlitibus iudicandis)로, 이에 대해 사임은 루스티쿠스가 원로원 의원 아들이거나 원로원 신분 (dignitas senatoria)을 받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믿었다.[1] 네 명의 황제의 해 (서기69년) 당시 그는 아우구스타 제2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복무했는데, 앤서니 벌리는 법무관 지위로 원로원에 선출된 것과 지금까지 받은 훈장들을 바탕으로 그가 브리타니아에 있던 군단들이 베스파시아누스의 편에 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믿었다.[5] 이는 아우렐리아 가도와 코르넬리아 가도의 감독관 임명으로 이어졌고, 이후에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아르겐토라테에서 주둔하던 아우구스타 제8군단을 지휘했다.[6]
83/84년에 루스티쿠스는 바이티카의 프로콘술직 총독으로 임명되었다.[7] 사임은 이 보직을 "존중의 태도"로 간주하였다.[8] 그렇지만, 이 보직과 승진에 유리함 간의 관계는 의문이 제시되는데, 이 현상에 관한 연구에서, Paul Leunissen는 "확인된 케이스들의 수가 적고 각 속주들끼리의 차이 역시도 속주들 간 계급 차이와의 방향성에 있어 어떠한 결과를 판단하기에는 너무나 미미하며 ... 얼마 안 되는 증언들만이 상당한 변화에 대해서 언급했을 뿐이다"라고 보았다.[9] 프로콘술로서 그의 임기 동안 기록된 행동 중 하나는 키심브리움 (오늘날 잠브라)라는 도시의 지역 경계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그가 영역을 정한 것이었다.[10] 이 총독직이 끝나고 87년에서 89년까지 기간 '아이라리룸 사투르니' 감독관으로 이어졌다.[11]
집정관 기간을 마친 뒤 루스티쿠스는 92/93년에 카파도키아-갈라티아라는 중대한 속주의 총독이었다.[12] 카파도키아 총독 시절, 안티오키아의 데쿠리온들은 혹독한 겨울로 인해 생긴 기근에 대하여 도움을 청했다. 그의 반응은 안티오키아에서 회수한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13] 그는 총독 시절에 사망했고, 93년경으로 추정하며 그의 후임자 티투스 폼포니우스 바수스가 94년에 그의 보좌 집정관직을 공석으로 둔 채 같은 해에 총독이 되었음이 확인되었다.[14]
혼인편집
루스티쿠스는 뭄미아 니그리나(Mummia Nigrina)와 혼인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마르티알리스는 그녀가 부유한 가문 출신임을 나타내며 그녀가 상속분을 그와 나누었다고 말하였다 (IV.75). 마르티알리스에 의하면, 그녀는 그가 죽었을 때 카파도키아에 있었고, 그녀가 그곳에서 그의 유골을 로마로 가져왔다고 한다 (IX.30). 뭄미아는 발레리우스 베게티우스 일족과 어느 정도 연간되어 있으나, 이들과의 관계나 다른 뭄미우스 일족을 설명하는 문서들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15] 이들 사이에 자녀가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각주편집
- ↑ 가 나 Ronald Syme, "Antistius Rusticus. A Consular from Corduba", Historia: Zeitschrift für Alte Geschichte, 32 (1983), p. 361
- ↑ Paul Gallivan, "The Fasti for A. D. 70-96", Classical Quarterly, 31 (1981), pp. 191, 217
- ↑ Syme, "Antistius Rusticus", p. 360
- ↑ 《CIL》 II, 2242; Syme, "Antistius Rusticus", p. 372
- ↑ Birley, The Fasti of Roman Britain (Oxford: Clarendon Press, 1981), pp. 269f
- ↑ Syme, "Antistius Rusticus", p. 363
- ↑ Werner Eck,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Chiron, 12 (1982), pp. 307f
- ↑ Syme, "Antistius Rusticus", p. 365
- ↑ Leunissen, "Direct Promotions from Proconsul to Consul under the Principate", Zeitschrift für Papyrologie und Epigraphik, 89 (1991), pp. 217–260
- ↑ Thomas Elliott (2004). 《Epigraphic Evidence for Boundary Disputes in the Roman Empire》 (PhD).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05f쪽.
- ↑ Syme, "Antistius Rusticus", pp. 365f
- ↑ Eck, "Jahres- und Provinzialfasten", p. 320
- ↑ AE 1925, 126 탄원과 반응은 Robert K. Sherk의 The Roman Empire: Augustus to Hadr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 149f에 적혀 있다.
- ↑ Syme, "Antistius Rusticus", p. 371
- ↑ Syme, "Antistius Rusticus", pp. 372-4
공직 | ||
---|---|---|
이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푸시오 안니우스 메살라 마르쿠스 코케이우스 네르바 II |
집정관 90년 (보좌) with 세르비우스 율리우스 세르비아누스 |
이후 퀸투스 아카이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카리스타니우스 프론토 as 보좌 집정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