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표
문장을 마칠 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


마침표(마침標)는 문장을 마칠 때 사용하는 [[문장 부호]ㄷ]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 언어에서 마침표를 온점(.)으로 쓴다. 중국어, 일본어 등에서는 고리점(。)을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가로쓰기에는 온점(.)을 쓰고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썼으나, 최근에는 가로쓰기가 대부분이라, 결국 2015년 1월 1일 한글 맞춤법 부록: 문장부호 규정에서 모점(、)과 함께 삭제되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가로쓰기, 세로쓰기에 관계없이 모두 온점을 쓴다.
- 고리점(。)과 모점(、)을 한국어 키보드에서 특수 문자로 사용하려면 ㄱ+漢字를 누른 다음에 기호를 선택할 수 있다.
. | |
---|---|
마침표 | |
유니코드 | U+002E . full stop HTML . |
문장 부호 | ||||||||||||||||||||||||||||||||||||||||||||||||||||||||||||||||||||||||||||||||||||||||||||||||||||||||||||||||||||||||||||||||||||||||||||||||||||||||||||||||||||||||||||||||||||||||||||||||||||||||||||||||||||||||||||||||||||||||||||||||||||||||||||||||||||||||||||||||||||||||||||||||||||||||||||||||||||||
---|---|---|---|---|---|---|---|---|---|---|---|---|---|---|---|---|---|---|---|---|---|---|---|---|---|---|---|---|---|---|---|---|---|---|---|---|---|---|---|---|---|---|---|---|---|---|---|---|---|---|---|---|---|---|---|---|---|---|---|---|---|---|---|---|---|---|---|---|---|---|---|---|---|---|---|---|---|---|---|---|---|---|---|---|---|---|---|---|---|---|---|---|---|---|---|---|---|---|---|---|---|---|---|---|---|---|---|---|---|---|---|---|---|---|---|---|---|---|---|---|---|---|---|---|---|---|---|---|---|---|---|---|---|---|---|---|---|---|---|---|---|---|---|---|---|---|---|---|---|---|---|---|---|---|---|---|---|---|---|---|---|---|---|---|---|---|---|---|---|---|---|---|---|---|---|---|---|---|---|---|---|---|---|---|---|---|---|---|---|---|---|---|---|---|---|---|---|---|---|---|---|---|---|---|---|---|---|---|---|---|---|---|---|---|---|---|---|---|---|---|---|---|---|---|---|---|---|---|---|---|---|---|---|---|---|---|---|---|---|---|---|---|---|---|---|---|---|---|---|---|---|---|---|---|---|---|---|---|---|---|---|---|---|---|---|---|---|---|---|---|---|---|---|---|---|---|---|---|---|---|---|---|---|---|---|---|---|---|---|---|---|---|---|---|---|---|---|---|---|---|---|---|---|---|---|---|---|---|---|---|
| ||||||||||||||||||||||||||||||||||||||||||||||||||||||||||||||||||||||||||||||||||||||||||||||||||||||||||||||||||||||||||||||||||||||||||||||||||||||||||||||||||||||||||||||||||||||||||||||||||||||||||||||||||||||||||||||||||||||||||||||||||||||||||||||||||||||||||||||||||||||||||||||||||||||||||||||||||||||
역사 편집
마침표 기호는 기원전 3세기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가 선보인 그리스어 구두점에서 기원한다. 이 시스템에서 위치가 자신만의 의미를 결정했던 일련의 점들이 있었다.
용례 편집
한국어 편집
한국어에서 마침표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2]
-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쓴다.
- 1919. 3. 1.
-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항목 부호 다음에 쓴다.
- 가. 인명
- I. 서론
- 1. 연구 목적
- 준말을 나타내는 데 쓴다.
- 서. 1987. 3. 5. (서기)
수학 편집
수학에서 점(.)은 소수점을 의미하며 10진 부분에서 시각적으로 온전한 숫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 1.007 (일 점 영영칠)
- 1,002.007 (천이 점 영영칠)
인코딩 편집
문자는 유니코드에서 U+002E . full stop으로 인코딩된다.
여러 속기 시스템에서는 U+2E3C ⸼ stenographic full stop도 사용된다.
이 문자의 전각 형태는 U+FF0E . fullwidth full stop이다. 이 형태는 CJK 문자와 함께 사용된다.[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문장 부호 해설》 (PDF). 국립국어원. 2014년 12월 30일. 4쪽.
- ↑ 양명희. “마침표”. 국립국어연구원. 2021년 4월 4일에 확인함.
- ↑ Lunde, Ken (2009). 《CJKV Information Processing》. O'Reilly. 502–505쪽. ISBN 9780596514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