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

(모호면에서 넘어옴)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Mohorovičić 不連續面, 문화어: 모호로비치츠 불련속면), 줄여서 모호면(Moho 面)은 지구지각맨틀의 경계면이다. 지진파의 속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한다.[1]

모호로비치치

해령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암석권 내에 위치하며,[2] 해령에서만 암석권과 연약권의 경계로 정의된다. 해양지각 표면에서 5~10 km 밑에, 대륙지각 표면에서 20~90 km 밑에 위치하여 평균적으로 지표에서 35 km 밑에 위치한다.

1909년에 P파를 위시한 지진파의 속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지점을 처음으로 관찰한 크로아티아지진학자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3]

발견

편집

크로아티아의 지진학자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가 최초로 정의했다.[4] 1909년, 그는 자그레브에서 발생한 지진의 데이터를 관측하다가 P파S파가 두 번 도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호로비치치는 파동의 속력이 매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두 번째 지진파들이 지구 지각의 밀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에서 반사된 것이라고 유추하였다. 지진파의 속도로 계산한 결과 그는 이 지점의 깊이를 지하 54 km로 계산하였다.[5]

모호면은 지질학지구과학 분야에서 1세기 넘게 큰 역할을 해왔다. 과학자들은 모호면의 굴절 성질과 그것이 P파의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함으로써 지구의 구성에 대한 이론을 세울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들 밑에서 현대 지진학이 태동했다.[6]

1960년대 초,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실행위원회에서 심해에서 모호면까지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는 계획인 모홀 프로젝트가 발의되었다.[7] 실제로 구멍을 뚫기 위한 해양심층기구의 건설까지는 초기에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후 정치적, 과학적 반대와 잘못된 관리, 비용 초과로 인해 결국 1966년에 취소되었다.[8]

탐사

편집

시추를 통해 모호면에 도달하는 것은 아직까지도 중요한 과학적 과제로 남아 있다. 소련의 과학자들은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콜라 시추공에서 이러한 목표로 연구를 계속해왔다. 이들은 지하 12,260m까지 도달했는데 이 기록은 현대까지도 깨지지 않았다.[9]

모호면까지 도달하기 위해 텅스텐 막대를 방사성 물질로 감싸서 바위를 녹이자는 의견이 2005년에 제안되었다.[10] 일본에서는 국제공동해양시추사업의 일환으로 지큐라는 시추선을 사용해 해양지각을 뚫자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1]

2015년 말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시추선 조이데스 레절루션호JOIDES Resolution가 지하 1.5 km까지 구멍을 뚫는 것을 목표로 출항하였다.[12]

각주

편집
  1. Rudnick, R. L.; Gao, S. (2003년 1월 1일), Holland, Heinrich D.; Turekian, Karl K., 편집., “3.01 – Composi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Treatise on Geochemistry》 (Pergamon) 3: 659, Bibcode:2003TrGeo...3....1R, doi:10.1016/b0-08-043751-6/03016-4, ISBN 978-0-08-043751-4, 2019년 11월 21일에 확인함 
  2. James Stewart Monroe; Reed Wicander (2008). 《The changing Earth: exploring geology and evolution》 5판. Cengage Learning. 216쪽. ISBN 978-0-495-55480-6. 
  3. Andrew McLeish (1992). 《Geological science》 2판. Thomas Nelson & Sons. 122쪽. ISBN 978-0-17-448221-5. 
  4. Braile, L. W.; Chiangl, C. S. (1986), Barazangi, Muawia; Brown, Larry, 편집., “The continental Mohorovičič Discontinuity: Results from near-vertical and wide-angle seismic reflection studies”, 《Geodynamics Series》 (영어) (American Geophysical Union) 13, 257–272쪽, doi:10.1029/gd013p0257, ISBN 978-0-87590-513-6 
  5. Prodehl, Claus; Mooney, Walter D. (2012). 《Exploring the Earth's Crust – History and Results of Controlled-Source Seismology》 (영어). doi:10.1130/mem208. ISBN 9780813712086. 
  6. Prodehl, Claus; Mooney, Walter D. (2012). 《Exploring the Earth's Crust – History and Results of Controlled-Source Seismology》 (영어). doi:10.1130/mem208. ISBN 9780813712086. 
  7. Winterer, Edward L. (2000). 〈Scientific Ocean Drilling, from AMSOC to COMPOST〉. 《50 Years of Ocean Discovery: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950–2000》.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8. Mohole, LOCO, CORE, and JOIDES: A brief chronology Archived 2020년 11월 25일 - 웨이백 머신 Betty Shor, The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ugust 1978, 7 pp. Access date 25 June 2019.
  9. “How the Soviets Drilled the Deepest Hole in the World”. 《Wired》. 2008년 8월 25일. 2008년 8월 26일에 확인함. 
  10. Ozhovan, M.; F. Gibb; P. Poluektov; E. Emets (August 2005). “Probing of the Interior Layers of the Earth with Self-Sinking Capsules”. 《Atomic Energy》 99 (2): 556–562. doi:10.1007/s10512-005-0246-y. S2CID 918850. 
  11. “세계 최초 맨틀까지 뚫는 시추선, 지큐호”. 2007년 11월 12일. 2021년 3월 19일에 확인함. 
  12. Witze, Alexandra (December 2015). “Quest to drill into Earth's mantle restarts”. 《Nature News》 528 (7580): 16–17. Bibcode:2015Natur.528...16W. doi:10.1038/528016a. PMID 26632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