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대수
자연수


무량대수(無量大數)란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이다. 한자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수의 단위 중 가장 그 값이 큰 단위이기도 하다.[1]
무량대수는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가리키는 값이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0의 68제곱(1068)을 가리키지만, 10의 88제곱(1088), 10의 128제곱(10128)을 가리키기도 한다. 일본의 진겁기(塵劫記)의 판을 거듭하면서 무량과 대수 사이의 흠집이 난 것을 무량과 대수로 나누고, 대수는 이 수보다 10000배 더 큰 10의 72제곱(1072)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되었으나 원래 같은 숫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래 한국에서는 무량수(無量數)로 나타내었으나 일본식 명수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 아래의 표에서 이만체진(以萬遞進), 이억체진(以億遞進)은 단위가 얼마마다 바뀌는지 나타낸 것으로 만 단위로 바뀌면 이만체진, 억 단위로 바뀌면 이억체진이다.
대수일람표 편집
표기법 | 만진 | 항하사 이후 만만진 | (산학 계몽식) | ||||||||||||||||||||||||||||||||||||||||||||||||||||||||||
---|---|---|---|---|---|---|---|---|---|---|---|---|---|---|---|---|---|---|---|---|---|---|---|---|---|---|---|---|---|---|---|---|---|---|---|---|---|---|---|---|---|---|---|---|---|---|---|---|---|---|---|---|---|---|---|---|---|---|---|---|---|
정의 |
|
|
|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참고 문헌 편집
- ↑ 무량대수, 《글로벌 세계 대백과》
- ↑ “김병덕: 우리나라의 명수법”. 2016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