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후치경 파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無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무성 후치경 폐찰음(無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무성음이다.
국제 음성 기호편집
국제 음성 기호로는 t͡ʃ로 표기한다.
발음의 예편집
- 이탈리아어 및 루마니아어-C 뒤에 E 또는 I가 올 때의 C
- 영어-CH (대부분, 자세한 내용은 문서 보기)
- 독일어-TSCH
- 스페인어-CH (항상)
- 터키어-Ç
- 에스페란토-Ĉ
- 체코어-Č
- 우크라이나어 및 마케도니아어-ч
- 한국어-뒤에 ㅑ,ㅕ,ㅛ,ㅠ 등 경구개 접근음이 올때의 어두 ㅈ, ㅉ, ㅊ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