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

미래에 부처로 환생한다고 예언된 보살
(미륵신앙에서 넘어옴)

미륵(彌勒菩薩, 산스크리트어: मैत्रेय Maitreya 마이트레야, 팔리어: Metteyya, 음역 音譯미륵彌勒, 의역 意譯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는 미래 부처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 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석가모니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구원한다는 신앙이다.

미륵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산스크리트어 मैत्रेय Maitreya 매트레야
팔리어 मेत्तेय्य Metteyya 메테야
버마어 အရိမေတ္တယျ 어리메댜
중국어 중국어: 彌勒, 병음: Mílè
일본어 弥勒 (みろく) 미로쿠[*]
한국어 미륵
몽골어 ᠮᠠᠶᠢᠳᠠᠷᠢ 마이다리
샨어 ဢရီႉမိတ်ႈတေႇယႃႉ
싱할라어 මෛත්‍රී 마이트리
태국어 พระศรีอริยเมตไตรย 프라 시 아리야 메트라이[*]
티베트어 བྱམས་པ་
베트남어 Di-lặc
숭배 정보
종파 대승불교, 상좌부불교, 밀교
속성 대자대비
선후불
선불 석가모니

미륵불과 미륵 신앙

편집

석가모니는 현세에서 진리에 눈뜬 현재불(現在佛)인데, 진리는 영원한 과거에서 미래영겁(未來永劫)에 이르기까지 결코 변하지 않는 불멸의 것이므로 과거세(過去世)에서도 석가모니와 같이 진리에 눈을 뜬 사람이 있었음에 틀림없다고 하여 부파불교 시대에 과거불에 관한 설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석가모니 이전 6불(六佛)을 포함하여 과거7불(過去七佛)이라는 생각과 나아가 연등불(燃燈佛)이라는 최초 부처에 관한 생각도 일어나게 되었다.[1]

한편 미래에서도 진리에 눈을 떠 부처가 되는 이른바 미래불이 존재한다는 생각도 일어났는데 이 미래불이 미륵(Maitreya)이다.[1]

미륵은 현재는 보살인 채, 그 정토도솔천에서 천인(天人)을 위해 설법하고 있지만, 석가모니 예언에 따르면, 그 목숨이 4천세(인간 나이로 56억 7천만년)가 되었을 때 이 인간계(人間界)로 하생(下生)하여 용화수(龍華樹) 밑에서 성불하고, 그때 비로소 불격(佛格)을 얻어 미륵불(彌勒佛)이 되며 석가모니를 대신하게 된다고 해서 보처(補處)의 보살로 지칭한다.[1] 따라서 미륵에 관해서는 미륵보살(彌勒菩薩)과 미륵불(彌勒佛)의 두 상이 만들어지고 있다.[1]

미륵경》에는 《미륵상생경》과 《미륵하생경》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미륵하생경》은 미륵이 이 세상에 나와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을 담고 있으며, 혁명 사상을 내포하여 중국한국에서는 민중의 지지를 얻었다.

미륵신앙은 한국에서 웬만한 마을에는 미륵이라 불리는 돌부처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민중 속에 깊이 파고 든 신앙인데, 그 이유는 새로운 세상을 약속한 미륵신앙이 고통스러운 현실을 살아가던 민중에게 위로가 되었기 때문이다.

서사무가》에서는 미륵보살이 석가모니 계략으로 세상을 빼앗기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러한 견해는 현세를 대표한 석가모니와 다음 세상, 새로운 세상을 대표하는 미륵이 대립한다고 이해한 것이다.

세상을 구원한다는 같은 의미로 기독교의 메시아(Messiah)를 들 수 있는데 메시아히브리어로 '기름 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이며 또한, '구원자'를 의미한다. 기독교에서 메시아는 예수다.

한편 '메시아 어원이 미륵'이라는 설이 있는데[2] 이 두 단어 의미상 어원 차이가 그 설득력을 떨어뜨린다. 한자 미륵(彌勒)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Maitreya인데 이는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의 산스크리트어 maitrī에서 비롯했다. 반면에 메시아(Messiah) 어원 의미는 "the anointed"(of the Lord)이다.[3] 그럼에도 이런 주장은 근동과 인도 지방에서 유래한 미트라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기독교, 힌두교, 유대교 등에 모두 창시된 지역의 현세 종말을 이끄는 주역 이름이 당대 언어로 미트라, 메흐르, 미트라, 미쓰라, 미쓰레야 등으로 형태나 발음 및 그 역할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 영향 및 선후관계는 계속 진행 중이다.[출처 필요]

동북아시아의 미륵신앙

편집

한국의 미륵신앙

편집

삼국시대의 미륵신앙

편집

미륵 신앙은 불교의 원시경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소승 · 대승을 막론하고 널리 보편화되었는데, 미륵신앙은 6세기경부터 이미 삼국에 들어와 여러 가지 설화를 형성하였다.[4] 다음과 같은 설화들이 있다.[4] (1) 백제 무왕(武王)이 사자사(獅子寺)에 가고자 용화산(龍華山) 밑 큰 못가에 이르렀을 때 미륵 3존을 보고 경례한 다음 그 자리에 미륵사를 지었다. (2) 신라 진지왕(眞智王) 때 흥륜사중진자가 미륵상 앞에 나가 미륵대성(彌勒大聖)이 화랑(花郞)으로 화현(化現)하기를 비니 미륵이 작은 낭자로 나타나 7년간 세상을 빛냈다. (3) 선덕여왕 때의 승려인 생의(生義)가 도중사(道中寺)에서 꿈을 꾸고 깨어나 돌미륵을 찾아냈다. 이 사상은 삼국통일 이후에 더욱 발전하여 신라 말기에는 자칭 미륵까지 나오기에 이르렀다.[4]

고려시대의 미륵신앙

편집

후삼국의 혼란기를 겪으면서 수많은 미륵불이 조성되었다. 대표적인 불상으로는 논산 관촉사의 은진 미륵, 경산 선본사의 팔공산 갓바위(원래 아미타불 또는 석가모니불 고려시대에 8각 보관을 씌어 미륵불로 만듦) 등이 있다.

중국의 미륵신앙

편집

미륵 신앙에는 와부 신앙과 함께 하생 신앙도 존재해, 중국에서는 이쪽의 신앙이 유행했다. 하생 신앙은 미륵보살의 두율 하늘에 와부를 바라는 와부 신앙에 비해, 미륵 여래하생이 56억 7천만년의 미래가 아닌 지금이기 때문에 거기에 갖추지 않으면 안 된다는 신앙이다.

정토교에 비슷한 와부 신앙에 비해, 하생 신앙은 미륵하생에 맞추어 현세를 변혁해야 한다는 종말론, 구세주 대망론적인 요소가 강하다. 그 때문에 반체제의 집단에 이용되거나, 혹은, 하생 신앙의 집단이 반체제화한다는 예를 각 시대에 많이 볼 수 있다. 북위대승의 난이나, 북송·남송···백련교가 그 대표이다.

일본의 미륵신앙

편집

전국시대의 미륵신앙

편집

미륵불이 이 세계에 출현한다는 신앙이 유행해, 유토피아인 '미륵불의 세상'의 현세로의 출현이 기대되었다. 일종의 구세주의지만 미륵을 고령으로 해, 미륵의 세상을 벼가 풍숙한 평화로운 세계라고 하는 농경 민족적 관념이 강하다. 이 관념을 축으로, 동방 해상에서 미륵선이 도래한다는 신앙이 미륵춤 등의 형태로 태평양 연안부에 전개했다. 에도기에는 후지 신앙과도 융합해, 겐로쿠 연간에 후지강의 수호자, 지키교 미로쿠가 활동했다. 또 잇키, 특히 사회개혁 일치 단결속에 미륵 사상의 강한 영향이 지적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