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싱가
바라싱가 또는 늪사슴(barasingha, Rucervus duvaucelii)은 인도 아대륙에 분포하는 사슴의 일종이다. 인도 북부와 중부 지역에 개체군이 파편적으로 존재하며, 네팔 남서부 지역에서도 2곳의 개체군이 있다.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에서는 멸종 상태이다.[2] 바라싱가속(Rucervus)의 유일종이다.
![]() | ||||||||||||||||||
![]() 바라싱가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2]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Rucervus duvaucelii (G. Cuvier, 1823) | ||||||||||||||||||
![]() 역사상 분포 지역(노랑), 유존종 개체군: duvaucelii (적색); branderi (녹색); ranjitsinhi (청색) | ||||||||||||||||||
이명 | ||||||||||||||||||
Cervus duvaucelii |
학명은 프랑스 박물학자 두바우셀(Alfred Duvaucel)의 이름에서 유래했다.[3]
늪사슴은 다른 인도 사슴 종들과는 달리 가지뿔에 3개 이상의 가지가 나뉘어 자란다. 바라싱가라는 의미도 "12개 가지"라는 뜻이다.[4] 성숙한 수사슴은 10~14개의 가지로 나뉘며, 일부는 20개에 달하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아삼어로 바라싱가를 "돌호리나"(dolhorina)라고 부르며, "돌"(dol)은 "늪"을 의미한다.
아종편집
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
- 서부늪사슴 (R. d. duvauceli) (Cuvier, 1823)
- 남부늪사슴 (R. d. branderi) (Pocock 1943)
- 동부늪사슴 (R. d. ranjitsinhi) (Grooves 1982)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2년 핫사닌(Hassani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6]
사슴과 |
| ||||||||||||||||||||||||||||||||||||||||||||||||||||||||||||||||||||||||||||||||||||||||||||||||||||||||||||||||||||||||||||||
각주편집
- ↑ Grubb, P. (2005). 〈Order Artiodactyla〉 [우제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68–66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Duckworth, J. W., Samba Kumar, N., Chiranjibi, P. Pokheral, Baral, H. S., Timmins, R. J. (2008). “Rucervus duvaucel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 ↑ Cuvier, G. (1823). Recherches sur les ossemens fossiles de quadrupèdes. Nouvelle édition, Tome Quatrième. Dufour & d'Ocagne, Paris, Amsterdam.
- ↑ Lydekker, R. (1888–1890). The new natural history Volume 2.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 ↑ Prater, S. H. (1948). The book of Indian animals. Oxford University Press. (10th ed.)
- ↑ Alexandre Hassanin, Frédéric Delsuc, Anne Ropiquet, Catrin Hammer, Bettine Jansen van Vuuren, Conrad Matthee, Manuel Ruiz-Garcia, François Catzeflis, Veronika Areskoug, Trung Thanh Nguyen und Arnaud Couloux: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Comptes Rendus Palevol 335, 2012, S. 32–50
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