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센티넬

바이오 센티넬(BioSentinel)은 EM-1의 일환으로 다른 13개의 소형 위성과 함께 발사되는 저비용 큐브 위성이다.[2][1][3][4] 목적은 태양을 공전하면서 효모를 사용하여 DNA 수선을 연구하고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생명 탄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 주 목표이다.[1][3][4] 장기적인 목표로는 인간이 우주 방사선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는 것이다.[4][5] 발사는 2013년과 2020년 중 2020년 12월에 발사하기로 하였다.[5][1]

바이오 센티넬
BioSentinel
설계도
설계도
임무 정보
관리 기관 NASA
임무 유형 지구 저궤도, 태양 공전 궤도
발사일 2020년 12월[1]
발사체 SLS[1]
발사 장소 케네디 우주 센터 제39발사단지
임무 기간 18개월
임무 종료 2022년 여름
우주선 정보
제조 기관 ARC
승무원 무인
중량 14kg
크기 600cm³
전장 30cm
전폭 20cm
전고 10cm
전력 30 W
전력원 태양전지
궤도 정보
궤도 지구 저궤도, 태양 중심 궤도
궤도 진입일 2020년 12월
탑재체
탑재체 효모

역사 편집

 
바이오 센티넬의 궤도

2020년 처음 발사되는 SLS의 첫 번째 미션 EM-1의 일환으로 발사되는 탐사선 중 하나로 선출되었다.[5][6] 이후 효묘를 우주 방사선에 노출시키며 실시간으로 효모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해 우주방사선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탐사할 방법을 정했고 현재 개발 중에 있다. 이는 지구 밖에 지구 생명체를 실험, 보유하는 것은 아폴로 17호 이후 처음이다.[6]

효모 편집

실험 대상에는 Saccharomyces cerevisiae라는 효모의 DNA 수선을 감지한다.[1][3][4][5] 이는 효모의 DNA의 매커니즘이 잘 연구되어 있고, 인간의 세포와 유사하기 때문이다.[7]

궤도 편집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태양을 공전하는 식의 궤도이다.[8]

지원, 개발, 투자 편집

같이 발사되는 인공위성들 편집

각주 편집

  1. Clark, Stephen (2017년 4월 28일). “NASA confirms first flight of Space Launch System will slip to 2019”. 《Spaceflight Now.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2. 여러 국적의 위성이 섞여있다.
  3. Ricco, Tony (2014). “BioSentinel: DNA Damage-and-Repair Experiment Beyond Low Earth Orbit” (PDF). 《NASA Ames Research Center》. 2015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5일에 확인함. 
  4. “NASA TechPort -- BioSentinel Project”. 《NASA TechPort》.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5년 11월 19일에 확인함. 
  5. Caldwell, Sonja (2014년 8월 5일). “Home Page of BioSentinel”. 《NASA》. 2017년 6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5일에 확인함. 
  6. Clark, Stephen (2015년 4월 8일). “NASA adding to list of CubeSats flying on first SLS mission”. 《Spaceflight Now》. 2015년 5월 25일에 확인함. 
  7. BioSentinel: Mission Development of a Radiation Biosensor to Gauge DNA Damage and Repair Beyond Low Earth Orbit on a 6U NanosatelliteHugo (PDF). Hugo Sanchez, NASA. 20 April 2016.
  8.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 3D-printed attitude control thruster for an interplanetary 6U CubeSat (PDF). Terry Stevenson, et al.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