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패자리
방패자리(Scutum [ˈskjuːtəm])는 작은 별자리이며, 현대 88개 별자리 중의 하나이다. 동아시아의 별자리로는 두수의 천변 별자리에 해당된다.
방패자리 Scutum | |
방패자리의 항성 목록 | |
학명 | Scutum |
---|---|
약자 | Sct |
소유격 | Scuti |
상징 | 방패 |
적경 | 18h 39m |
적위 | −10°53′ |
남중 | 8월 15일 오후 9시 (지방시) |
관측 가능 | 위도 +80°에서 −90° 사이 |
넓이 | 109 평방도 (84위) |
별의 수 (등급<3.00m) |
?? |
가장 밝은 별 | ??? ((α/β Sct) (??? 등성) |
유성우 |
|
이웃 별자리 | |
특징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별과 천체편집
방패자리는 88개 별자리 중에서 5번째로 작은 별자리로, 밝은 별은 많지 않다. 가장 밝은 별은 방패자리 알파성(α Scuti)으로, 3.85 등급이다. 방패자리 UY는 2015년 기준으로 발견된 항성들 중 반지름이 가장 컸다(태양반경의 1708배). 하지만 2020년에 같은 방패자리에 스티븐슨 2-18이 발견되며 이 항성이 가장 큰 별로 등재되게 되었다(태양의 2,150배).
은하수가 이 별자리를 가로지르며, 북동쪽 구석에 은하수가 진한 부분(Scutum star cloud)이 있다.
어두운 천체들편집
방패자리는 여러 개의 산개성단과 구상성단, 행성상성운을 갖고 있다. 그 중 잘 알려진 것들은 다음과 같다.
- M11 (NGC 6705, 야생오리성단: Wild Duck Cluster)은 밀집된 산개성단이다.
- M26 (NGC 6694): 산개성단이다.
- NGC 6712: 구상성단이다. 별자리의 동쪽에 위치하며, 24분 떨어진 곳에 행성상성운 IC 1295 가 있다.
역사편집
방패자리는 머리털자리와 함께 역사에 기원을 둔 별자리 중 하나이다.
원래의 명칭은 '소비스키의 방패(Scutum Sobiescianum)'로, 헤벨리우스(Hevelius)에 의해 폴란드 왕이 이끄는 군대의 승리와 비엔나의 영웅 'John III Sobieski'에 대한 기념으로 1683년에 처음 소개되었다. 이 별자리는 폴란드 왕의 문장과 십자가를 나타내도록 만들어졌다.
신화편집
17 세기 후반 헤벨리우스가 만든 별자리로 이 별자리는 폴란드의 왕 존 3세 소비에스키를 기리기 위해서였다. 비엔나에서 투르크족을 무찔러 서구 문명의 수호자로 숭배되었던 소비에스키의 방패를 나타낸다.
읽어보기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