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

백제의 제25대 국왕 (?–523)
(백제 무령왕에서 넘어옴)

무령왕(武寧王, 461년 6월 25일(음력 6월 1일)[1] 혹은 462년 7월 14일(음력 6월 1일)[2] ~ 523년 6월 7일(음력 5월 7일), 재위: 501년 음력 11월 ~ 523년 음력 5월 7일)은 백제의 제25대 국왕이다. 무령왕릉 지석에 따르면 462년 태어났고 이름은 사마(斯麻) 또는 융(隆)이다.[3]백제신찬》에 따르면 무령왕의 아버지 개로왕은 근친상간을 했다고 기록되나, 이것은 왕위의 정통성을 위한 거짓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백제신찬》과 《일본서기》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이고, 동성왕은 이복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무령왕
武寧王
어라하
무령왕 표준영정
무령왕 표준영정
제25대 백제 국왕
재위 501년 11월 ~ 523년 5월 7일 (음력)
전임 동성왕
후임 성왕
이름
부여사마(扶餘斯麻)
이칭 부여융(扶餘隆)
묘호 없음
시호 무령(武寧)
연호 미상
신상정보
출생일 462년 7월 14일(0462-07-14) (양력) 혹은 461년 6월 25일(0461-06-25) (양력)
출생지 왜국 쓰쿠시국 가카라섬
사망일 523년 6월 7일(523-06-07) (60세 혹은 61세) (양력)
사망지 웅진성
부친 곤지(昆支)
모친 개로왕의 부인?
형제자매 동성왕
배우자 일본 여성, 왕대비(王大妃) 대부인(大夫人)
자녀 순타태자(純陀太子) 성왕(聖王) 사아군(斯我君)
종교 불교
능묘 무령왕릉(武寧王陵)

한편 《삼국사기[4]와 《삼국유사》에는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릴 때부터 키가 크고 잘생겼고, 성격이 관대하였다고 한다.[1] 501년 동성왕이 위사좌평 백가의 계략으로 살해되자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재위 23년, 나이 62세에 죽고 그의 아들 성왕이 즉위하였다. 후일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호령왕'(虎寧王)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것은 고려의 제2대 왕 혜종의 이름인 무(武)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생애 편집

탄생 편집

462년 혹은 461년 음력 6월 1일 일본 규슈 쓰쿠시(築紫) 북쪽 가카라시마(현, 일본 규슈 사가현 가라쓰시) 북쪽 야산의 동굴에서 태어났다. 혹은 해변에 정박 중 태어났다고도 한다. 아버지는 백제 동성왕인데, 일본측 기록에 의하면 무령왕의 아버지는 곤지왕자라 한다. 그의 출생에 대해 오랫동안 기록이 사라져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었으나, 무령왕릉 발굴 당시 발견된 무령왕릉 지석에 의해 그의 출생년월일과 사망당시 나이에 대한 기록이 있어 462년에 태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461년 음력 6월 1일에 태어났다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무령왕은 동성왕의 둘째 아들이고,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에 의하면 비유왕 또는 개로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는 본래 개로왕의 후궁이었다. 일본서기와 속일본기의 자료에 의하면 동성왕은 그의 이복형이 된다. 《일본서기》 16권 무열 4년조에 의하면, 개로왕이 임신한 후궁을 그의 동생 곤지에게 주어 로 보냈다고 한다. 461년 규슈 쓰쿠시(筑紫)의 각라도(各羅島 또는 加唐島)에 도달할 즈음 갑자기 사내 아이를 출산하였는데 이가 무령왕이라고 한다.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에 의하면 그가 태어났다 하여 백제인들은 가카라시마를 니리무세마(主島), 임금의 섬이라 불렀다 한다.[5]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이름을 사마라 지었다. 무령왕릉 지석에는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편 역시 그가 섬에서 태어났다 하여 '도군(嶋君)' 즉 '시마키시'로 지었다는 것과 일치한다.[6]

일본 규슈 쓰쿠시각라도에는 무령왕이 태어났다는 동굴이 있다.

일본서기의 백제신찬에서 무령왕이 개로왕의 아들로 되어 있고 송서에도 무령왕이 개로왕을 친부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사마왕이 동성왕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는데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지석에 따르면 동성왕과 무령왕의 나이가 거의 비슷하여 부자관계가 아니라, 무령왕이 동성왕의 이복 형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7][8]

무령왕의 초기 생애에 대한 것은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그의 외모에 대해 삼국사기에 의하면 그는 키가 8척(180cm~2m로 추정)이며, 이목구비가 수려했다 하여 눈, 코, 입, 귀 등이 잘생긴 편이었다 한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설 편집

동성왕
東城王
무령왕
武寧王
성왕
聖王

《일본서기》설[9] 편집

곤지
昆支
무령왕
武寧王
동성왕
東城王

자손 편집

무령왕
武寧王
순타태자
純陀太子
성왕
聖王

즉위와 전쟁 편집

무령왕의 이복동생인 동성왕은 전제화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가 귀족들의 반발을 사, 위사좌병 백가를 위시한 반대파에게 살해당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동성왕이 왜의 사신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귀족들이 이를 빌미로 동성왕을 암살하고 사마를 추대했다 한다. 그러나 동성왕의 반대파에 의해 추대된 무령왕은 한솔 해명과 함께 501년 정월 가림성에 근거를 두고 저항하던 백가를 토벌하고[10], 그 해 11월에 고구려의 변경을 침공했으나 실패하였다.[11] 503년 고목성에 쳐들어온 말갈족을 막아냈고.[12], 달솔 우영을 보내 고구려수곡성을 대신 습격하였다.[13] 507년 고구려의 지시를 받은 말갈족이 다시 고목성에 쳐들어오자, 남쪽에 2개의 책(柵)을 세우고 장령성(長嶺城)을 쌓았다. 512년고구려가 가불성과 원산성을 함락시키자 군사 3,000명을 이끌고 위천(葦川)의 북쪽으로 진출해 겨우 무찔렀다. 523년 좌평 인우와 달솔 사오로 하여금 쌍현성(雙峴城)을 쌓게 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통해 세력의 균형을 이룬 무령왕은 가야를 공략하여 임실, 남원 방면에서 내륙으로 동진하여 섬진강 일대를 확보하고 경남서해안으로 진출하였으며 새로 확보한 지역에 군령과 성주를 파견하였다.

즉위 이후 편집

왕권강화 편집

즉위 후 동성왕을 살해한 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권을 강화하였다. 《양서》의 백제전에 따르면 22개로 운영되던 담로(백제의 지방행정조직)를 왕족이 통치하도록 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였다. 무령왕은 통치에 왕족을 이용함으로써 토목공사에 필요한 노동력을 강제 동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 왕족들은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또한 좌평제 개편을 통해 귀족 세력을 서열화하고 국정을 분담시킴으로써 신·구세력을 통제하였다. 이로써 직책이 없는 신하도 등장하게 되었다.

인물화상경 편집

스다 하치만 신사(隅田八幡神社)에 소장된 일본의 국보 「인물화상경(人物畵像鏡)」의 명문에는 『계미년(503년) 8월 10일 (무령) 대왕이 다스리던 때에, 남제왕(男弟王:게이타이)이 意柴沙加宮에 있을 때, 사마(斯麻:무령왕)는 (게이타이의) 장수를 기원하며 開中費直, 예인(穢人) 금주리(今州利) 두 사람을 보내어 상질의 백동 2백 한을 가져다 이 거울을 만들었다. (癸未年八月日十 大王年 男弟王 在意柴沙加宮時 斯麻念長壽 遣開中費直 穢人今州利 二人等 取白上同二百旱 作此竟)』는 기록이 있다(명문의 판독과 해석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외교 정책 편집

무령왕은 512년, 521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를 시도했다. 521년 양 무제로부터 사지절도독 백제제군사 영동대장군(使持節都督百濟諸軍事寧東大將軍)의 작호를 받았다. 이는 문헌 기록 외에도 무령왕릉 지석에서도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嶺東大將軍 百濟 斯麻王)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그는 에 마나군을 파견했는데 왜에 그를 파견한 구체적 사유는 알려진 것이 없다. 즉위 5년에 왜에 보내어진 마나군이 왕족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아군과 교체를 하여 왕족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하였다. 한편, 일본의 게이타이 천황에게 동경[14]을 하사하였다. 513년 오경박사 단양이(段楊爾)[15]516년 고안무(高安茂)[16]를 왜에 보내어 백제의 문화를 왜에 전해주기도 하였다.

사망 편집

 
무령왕릉 입구

523년 음력 5월 7일 62세로 사망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등에는 그의 사망원인에 대한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왜에 파견되었던 아들 순타태자가 부왕보다 앞서 요절하였으므로 다른 아들인 명농이 보위에 올랐다.

그의 정확한 사망일자 역시 전하지 않다가 무령왕릉 지석에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은 나이가 62세인 계묘년 병술일이 초하루인 5월 7일 임진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 계유일이 초하루인 8월12일 갑신일에 등관에 있는 대묘에 안장하였다. 묘지는 이와 같이 기록한다. 끝.(寧東大將軍 百濟斯麻王 年六十二歲 癸卯年 五月 丙戌朔 七日 壬辰 崩. 到乙巳年 八月 癸酉朔 十二日 甲申, 安厝登冠大墓. 立志如左. 尓.)'라 쓴 것이 판독되어 음력 5월 7일에 62세로 사망하여 다른 곳에 임시로 안장했다가, 2년 뒤인 525년 음력 8월 12일에 현재의 위치(현,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이장되었다.

1971년 음력 7월 충청남도 공주군 공주읍 송산리에서 발견된 왕릉의 지석에는 능의 축조연대와 함께 무령왕 나이가 기록되어 있다. 무령왕릉에는 주인과 매장 연도가 기록되어 있으며, 금제관식, 금제심엽형이식(귀걸이), 금제뒤꽂이, 은제팔찌, 청동신수경, 석수 등을 포함하여 2,900여 점에 달하는 부장품들이 출토되었다.

대중 문화속에 나타난 무령왕 편집

읽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각주 편집

  1. 일본서기 14권, 웅략기 5년
  2. 「무령왕 지석(誌石)」
  3. 김부식 (1145). 〈본기 권26 무녕왕〉. 《삼국사기》. 武寧王 諱斯摩 (무령왕(武寧王)은 이름이 사마(斯摩)<혹은 융(隆)이라고도 하였다.>이고) 
  4. 김부식 (1145). 〈본기 권26 무녕왕〉. 《삼국사기》. 武寧王 ... 牟大王之第二子也 (무령왕(武寧王)은 ... 모대왕(牟大王)의 둘째 아들이다. ) 
  5. 『일본서기(日本書紀)』 권14 「大泊瀨幼武天皇 雄略天皇」웅략5년(461) 6월 1일 조, "百濟人呼此島曰主島也."
  6. 『일본서기(日本書紀)』 권14 「大泊瀨幼武天皇 雄略天皇」웅략5년(461) 6월 1일 조, "六月丙戌朔, 孕婦果如加須利君言, 於筑紫 各羅島産兒. 仍名此兒曰嶋君."
  7. 일본 다시보기-사가현 III 보스톤코리아
  8. 인민을 위한 백제의 역사와 문화, 2006년,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9. 이근우 (1994년). “『日本書記』에 인용된 百濟三書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5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0. 김부식 (1145). 〈본기 권26 무녕왕〉. 《삼국사기》. 武寧王 ... 春正月 佐平苩加據加林城叛 王帥兵馬 至牛頭城 命扞率解明討之 苩加出降 王斬之 投於白江(무령왕(武寧王)... 정월에 좌평 백가가 가림성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군사를 거느리고 우두성(牛頭城)에 이르러 한솔(扞率) 해명(解明)에게 명령하여 토벌하게 하였다. 백가가 나와 항복하자 왕은 그의 목을 베어 백강(白江)에 던져버렸다.) 
  11. 김부식 (1145). 〈본기 권26 무녕왕〉. 《삼국사기》. 二年 ... 冬十一月 遣兵侵高句麗邊境(2년(502) ... 겨울 11월에 군사를 보내 고구려의 변경을 쳤으나 실패하였다.) 
  12. 三年 秋九月 靺鞨燒馬首柵 進攻高木城, 《삼국사기》권제26 (백제본기 제4)
  13. 冬十一月 遣達率優永 帥兵五千 襲高句麗水谷城,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14. 현재, 일본 국보 고고(考古) 2호로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15. 卷第十七 繼體天皇〉. 《일본서기》. 720. 七年夏六月 ... 貢五經博士段楊爾。 
  16. 卷第十七 繼體天皇〉. 《일본서기》. 720. 十年夏五月 ... 別貢五經博士漢高安茂、 

외부 링크 편집

전 대
동성왕
제25대 백제 국왕
501년 - 523년
후 대
성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