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자루와 갓이 있는 균사체를 말한다. 보통 담자균과 대형 자낭균을 말한다. 가끔 식용 가능한 지의류를 말하기도 한다. 식용 버섯과 그렇지 않은 독버섯이 있다.

특징편집
버섯은 크게 균근성버섯과 부후성버섯으로 나뉘는데, 균근성버섯은 나무의 뿌리에서 나무와 기생하는 버섯이며 부후성버섯은 죽어가는 나무나 낙엽을 분해하여 양분을 얻는 버섯이다.
곰보버섯의 경우 균근성버섯이기도 하지만, 부후성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식용 버섯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94 kJ (22 kcal) |
4.3 g | |
0.1 g | |
2.5 g |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9% 0.1 mg |
리보플라빈 (B2) | 42% 0.5 mg |
나이아신 (B3) | 25% 3.8 mg |
판토테산 (B5) | 30% 1.5 mg |
비타민 B6 | 8% 0.11 mg |
엽산 (B9) | 6% 25 μg |
비타민 C | 0% 0 mg |
비타민 D | 1% 3 IU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2% 18 mg |
철분 | 3% 0.4 mg |
마그네슘 | 3% 9 mg |
망간 | 7% 0.142 mg |
인 | 17% 120 mg |
칼륨 | 10% 448 mg |
나트륨 | 0% 6 mg |
아연 | 12% 1.1 mg |
기타 성분 | 함량 |
셀레늄 | 26 ug |
구리 | 0.5 mg |
비타민 D (UV 노출) | 1276 IU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버섯 중에는 먹을 수 있는 버섯이 있다. 식용 버섯 중에서도 독이 있지만, 극소량이기 때문에 먹을 수 있거나 조리 과정에서 독이 파괴되어 먹을 수 있는 버섯도 있다.
식용 버섯의 종류편집
독버섯편집
독그물버섯(Boletus luridus). 매우 수수하게 생겼다.
독버섯들의 특징은 화려하고 가로로 잘 찢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것이 많으므로 이는 독버섯을 구별하는 기준이 아니다.
투박한 버섯도 독을 가진 버섯이 많이 있으므로 정확히 알고있는 버섯이라도 비슷한 모양의 버섯이 많기 때문에 산에서 버섯은 먹지 않는게 좋다.
독버섯의 종류편집
특징편집
버섯은 다세포이며 유성생식을 할 수도 있고 무성생식을 할 수도 있다. 버섯은 식물과 상호밀접한 우호관계를 맺기도 한다. 주로 영양분을 교환하는 관계를 형성한다. 버섯은 분해자, 공생자, 기생자로 분류할 수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제 2 장 산림채취 식용버섯”. 《산림청》.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이 글은 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