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뇌 분류법

(번뇌의 분류에서 넘어옴)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아래 목록에는 '근본번뇌 · 수번뇌 분류'처럼 해당 분류법의 명칭이 없는 것들을 '분류법 명칭 없음' 문단에서 먼저 나열하며, 나머지는 분류법 명칭을 기준으로 먼저 숫자 순으로 그리고 가나다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해당 분류법을 사용하는 주요 종파 또는 해당 분류법의 출전이 '긴 줄표(—)' 다음에 표시되어 있다.

번뇌 분류법 편집

분류법 명칭 없음 편집

  1. 번뇌(잡염): 근본번뇌 · 수번뇌 — 불교 일반

1 편집

  1. (結, 산스크리트어: bandhana, saṃyojana) — 불교 일반[1][2]
  2. 결사(結使): (結)의 다른 말[2], (使)의 다른 말[3] — 불교 일반
  3. (使, 산스크리트어: anuśaya)[3] — 불교 일반[4]
  4. 잡염(번뇌): 불선 · 유부무기 — 불교 일반[5][6]
  5. (纏, 산스크리트어: paryavasthāna) — 불교 일반[7][8]
  6. 정사(正使): (使)의 원래의 전체 명칭[4]
  7. 추중(麤重, 산스크리트어: dauṣṭhulya, duṣṭhula) —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9]

2 편집

2단 편집

  1. 2단(二斷): 견소단(見所斷) · 수소단(修所斷) 또는 견도소단(見道所斷) · 수도소단(修道所斷) — 불교 일반, 유식유가행파의 《유가사지론》 제8권[5][6][10]
  2. 2단(二斷): 자박단(子縛斷) · 과박단(果縛斷) — 천태종, 지의의 《법화현의(法華玄義)》 제3권[11][12]
  3. 2단(二斷): 자성단(自性斷) · 연박단(緣縛斷) — 설일체유부, 세친의 《구사론》 제16권, 중현의 《현종론》 제4권[11][12]

2박 편집

  1. 2박(二縛): 능연박(能緣縛) · 소연박(所緣縛) — 유식유가행파[13][14]
  2. 2박(二縛): 상박(相縛) · 조중박(粗重縛) — 유식유가행파[13][14]
  3. 2박(二縛): 상응박(相應縛) · 소연박(所緣縛) — 설일체유부[13][14]
  4. 2박(二縛): 자박(子縛) · 과박(果縛) — 대승불교 일반[13][14]

2장 편집

  1. 2장(二障):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일본 밀교, 승징의 《아사박초(阿娑縛抄)》 제187권[15][16]
  2. 2장(二障): 번뇌장(煩惱障) · 삼매장(三昧障) — 세친의 《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密經論)》[16]
  3. 2장(二障): 번뇌장(煩惱障) · 소지장(所知障) — 대승불교 일반, 유식유가행파, 호법 등의 《성유식론》 제9권[15][16]
  4. 2장(二障): 번뇌장(煩惱障) · 해탈장(解脫障) — 설일체유부, 세친의 《구사론》 제25권[15][16]
  5. 2장(二障): 이장(理障) · 사장(事障) — 《원각경》 하권[15][16]

2혹 편집

  1. 2혹(二惑): 견혹(見惑) · 사혹(思惑) — 불교 일반, 특히 천태종[17][18][19][20][21]
  2. 2혹(二惑): 견혹(見惑) · 수혹(修惑) — 불교 일반[17][19][21]
  3. 2혹(二惑): 계내혹(界內惑) · 계외혹(界外惑) — 천태종[17]
  4. 2혹(二惑): 분별기(分別起) · 구생기(俱生起) 또는 분별기혹(分別起惑) · 구생기혹(俱生起惑) — 대승불교 일반, 특히 유식유가행파[17]
  5. 2혹(二惑): 이혹(理惑) · 사혹(事惑) — 천태종, 담연의 《법화현의석첨(法華玄義釋籤)》 제6권, 일여 등의 《대명삼장법수(大明三藏法數)》 제7권[19][21]
  6. 2혹(二惑): 통혹(通惑) · 별혹(別惑) — 천태종[17]
  7. 2혹(二惑): 분별기(分別起) · 구생기(俱生起) 또는 분별기혹(分別起惑) · 구생기혹(俱生起惑) — 대승불교 일반, 특히 유식유가행파[17]
  8. 2혹(二惑): 현행혹(現行惑) · 종자혹(種子惑) — 유식유가행파, 규기의 《성유식론술기(成唯識論述記)》 제4권[17][21][22][23][24]

3 편집

  1. 3박(三縛): 탐박(貪縛) · 진박(瞋縛) · 치박(癡縛) - 불교 일반[25][26]

4 편집

  1. 4결(四結): 4박(四縛)의 다른 말[27][28]
  2. 4박(四縛): 욕애신박(欲愛身縛) · 진에신박(瞋恚身縛) · 계도신박(戒盜身縛) · 아견신박(我見身縛) - 초기불교, 부파불교[27][28]

5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곽철환 2003, "결(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결 [ 結 ]:
    ① 산스크리트어 bandhana 산스크리트어 saṃyojana 번뇌를 뜻함. 번뇌는 중생을 결박하여 해탈하지 못하게 하므로 이와 같이 말함.
    ② 산스크리트어 nigamana 인명(因明)의 오지작법(五支作法)에서, 주장 명제인 종(宗)이 결론으로 확정된 것을 나타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음. ‘말은 무상하다〔宗〕’, ‘지어낸 것이기 때문이다〔因〕’, ‘예를 들면, 병(甁)과 같다〔喩〕’, ‘병과 같이, 말도 지어낸 것이다〔合〕’, ‘그러므로 말은 무상하다〔結〕’. "
  2. 星雲, "".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
    "結:  (一)梵語 bandhana 或 sajyojana。又作結使。即使煩惱。結,為繫縛之義;蓋煩惱繫縛眾生於迷境,令不出離生死之苦,故有此異稱。諸經論所說結之類別有多種,略舉如下:
     (一)二結。據中阿含經卷三十三載,結有慳、嫉二種。
     (二)三結。(1)增一阿含經卷十七舉出身邪結(又作身見結)、戒盜結(又作戒禁取見結)、疑結等三結。五見與疑等六煩惱,亦包含於此三結之中。(2)阿毘曇甘露味論、俱舍論卷二十一等謂,愛、恚、無明三者稱為三結。若斷滅此三結,則可得預流果,能斷一切見惑。(3)光讚般若經卷二則舉出貪身、狐疑、毀戒等三者為三結。
     (三)四結。(1)增一阿含經卷二十舉出欲結、瞋結、癡結、利養結等四種。(2)又作四身結、四縛。即成實論卷十、鞞婆沙論卷二、大乘義章卷五本等所列舉之貪嫉身結、瞋恚身結、戒取身結、貪著是實取身結(又作見取身結)。
     (四)五結。(1)中阿含經卷五十六、阿毘達磨發智論卷三、集異門足論卷十二、俱舍論卷二十一等所說之五結。分為五下分結與五上分結兩種。五下分結,係將眾生結縛於欲界之五種煩惱,即:有身見結、戒禁取見結、疑結、欲貪結、瞋恚結等五結。五上分結,係將眾生結縛於色界、無色界之五種煩惱,即:色貪結、無色貪結、掉舉結、慢結、無明結等五結。(2)總攝上記欲界、色界、無色界等之五結為貪結、瞋結、慢結、嫉結、慳結等五項。
     (五)九結。雜阿含經卷十八、阿毘達磨發智論卷三、辯中邊論卷上等列舉愛、恚、慢、無明、見、取、疑、嫉、慳等九種煩惱為九結。此係六種根本煩惱(將「見」分身、邊、邪三見,稱為見結;見取見與戒禁取見合併為取結)加上嫉結、慳結,而成九結。大毘婆沙論卷五十說九結之體(自性)共有一百種。〔雜阿含經卷三十二、大毘婆沙論卷四十六、卷四十九、成實論卷十雜煩惱品、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參閱「九結」、「四結」)
     (二)梵語 nigamana。因明用語。為古因明所立五支作法中之第五支。即全部論式之結論,亦即宗支(命題)經過論據之肯定後再次加以複述。印度自古即普遍流行因明之法,其時係以宗、因、喻、合、結等五部分組成一論式,至六世紀之陳那銳意改革古因明之缺點後,後人稱為新因明。陳那以為結支為多餘者,遂將之刪除;蓋其作用,歸攝於宗支即可,而因明組織之嚴密,至此更趨完備。(參閱「五支作法」)"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621DTITLEB5B2 結]". 2012년 12월 28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3. 운허, "使(사)".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使(사): 결사(結使)라고도 함. 번뇌의 다른 이름. 마음을 제멋대로 부려 악업을 짓게 하므로 이렇게 일컬음."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DBFrowno12 使(사)]".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星雲, "使".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使: shĭ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1.煩惱或潛在的煩惱趨勢,另譯為「隨眠」(名詞)。2.役使、束縛;為煩惱所驅使、束縛(動詞)。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send; cause; a messenger; a pursuer, molester, lictor, disturber, troubler, intp. as 煩惱 kleśa, affliction, distress, worldly cares, vexations, and as consequent reincarnation. There are categories of 10, 16, 98, 112, and 128 such troublers, e. g. desire, hate, stupor, pride, doubt, erroneous views, etc., leading to painful results in future rebirths, for they are karma-messengers executing its purpose. Also 金剛童子 q. v.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煩惱之異名。全稱正使。因煩惱驅使吾人流轉於迷之世界(生死),故稱煩惱為使。與隨眠同義。於十隨眠中,屬見性者為有身見、邊執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見,其推求道理之性質較為猛利,故稱五利使;其餘之貪、瞋、癡、慢、疑之性質,則較遲鈍而難以制伏,故稱五鈍使。(參閱「五利使」1096、「五鈍使」1164、「正使」 1988、「隨眠」6351)
    頁數: p3061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煩惱的別名,因煩惱能使眾生流落於生死。見十使條。"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2432E4BDBF 使]".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3b01 - T30n1579_p0313b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
    "煩惱分別者。或立一種。謂由煩惱雜染義故。或分二種。謂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三種。謂欲繫色繫無色繫。或分四種。謂欲繫記無記。色繫無記。無色繫無記。或分五種。謂見苦所斷。見集所斷。見滅所斷。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六種。謂貪恚慢無明見疑。或分七種。謂七種隨眠。一欲貪隨眠。二瞋恚隨眠。三有貪隨眠。四慢隨眠。五無明隨眠。六見隨眠。七疑隨眠。或分八種。謂貪恚慢無明疑見及二種取。或分九種。謂九結。一愛結。二恚結。三慢結。四無明結。五見結。六取結。七疑結。八嫉結。九慳結。或分十種。一薩迦耶見。二邊執見。三邪見。四見取。五戒禁取。六貪。七恚。八慢。九無明。十疑。或分一百二十八煩惱。謂即上十煩惱。由迷執十二種諦建立。應知。何等名為十二種諦。謂欲界苦諦集諦。色界苦諦集諦。無色界苦諦集諦。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無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此中於欲界苦集諦。及於欲界增上滅道諦。具有十煩惱迷執。於色界苦集諦。及於彼增上滅道諦。除瞋有餘煩惱迷執。如於色界。於無色界亦爾。於欲界對治修中。有六煩惱迷執。謂除邪見見取戒禁取疑。於色界對治修中。有五煩惱迷執。謂於上六中除瞋。如於色界對治修中。於無色對治修中亦爾。如迷執。障礙亦爾。"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미륵 조, 현장 한역T.1579제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313b01 T30n1579_p0313b01 - T30n1579_p0313b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p. 213-215 / 8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
    "번뇌(煩惱)의 분별(分別)4)이란 혹은 한 가지를 세우기도 하니, 말하자면 번뇌가 잡염(雜染)의 뜻이기 때문이다. 혹은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두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욕계(欲繫)와 색계(色繫)와 무색계(無色繫)의 세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욕계(欲繫)의 기(記) 무기(無記)와 색계(色繫)의 무기(無記)와 무색계의 무기(無記)의 네 가지로 나누기도 하며, 혹은 견고소단(見苦所斷)과 견집소단(見集所斷)과 견멸소단(見滅所斷)과 견도소단(見道所斷)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다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견(見) 의(疑)의 여섯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일곱 가지 수면(隨眠)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욕탐수면(欲貪隨眠)이며, 둘째는 진에수면(瞋恚隨眠)이며, 셋째는 유탐수면(有貪隨眠)이며, 넷째는 만수면(慢隨眠)이며, 다섯째는 무명수면(無明隨眠)이며, 여섯째는 견수면(見隨眠)이며, 일곱째는 의수면(疑隨眠)이다.
    혹은 탐(貪) 에(恚) 만(慢) 무명(無明) 의(疑) 견(見) 및 두 가지 취(取)5)의 여덟 가지로 나누기도 하고, 혹은 9결(結)로서 아홉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애결(愛結)이며, 둘째는 에결(恚結)이며, 셋째는 만결(慢結)이며, 넷째는 무명결(無明結)이며, 다섯째는 견결(見結)이고, 여섯째는 취결(取結)이며, 일곱째는 의결(疑結)이며, 여덟째는 질결(嫉結)이며, 아홉째는 간결(慳結)이다.
    혹은 열 가지로 나누기도 하는데 첫째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이며, 둘째는 변집견(邊執見)이며, 셋째는 사견(邪見)이며, 넷째는 견취(見取)이며, 다섯째는 계금취(戒禁取)이고, 여섯째는 탐(貪)이며, 일곱째는 에(恚)이며, 여덟째는 만(慢)이며, 아홉째는 무명(無明)이며, 열째는 의(疑)이다. 혹은 1백 스물 여덟 가지의 번뇌6)로 나누기도 하니, 말하자면 위의 열 가지 번뇌가 열 두 가지의 진리[諦]7)를 미혹하게 집착하기[迷執] 때문에 건립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엇을 열 두 가지 진리[諦]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욕계(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색계(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무색계(無色界)의 고제(苦諦) 집제(集諦)와 욕계(欲界)의 증상(增上)8) 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9)와 그것의 변지(遍智)에서 드러난 바[所顯]10)인 멸제(滅諦) 도제(道諦)11)와 색계(色界)의 증상(增上) 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所顯]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와 무색계(無色界)의 증상(增上) 그것의 변지(遍智)의 과(果)와 그것의 변지(遍智)가 드러난 바인 멸제(滅諦) 도제(道諦)이다. 이 가운데 욕계(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그리고 욕계(欲界)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모두 열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의 고제(苦諦)와 집제(集諦) 및 그것의 증상(增上)의 멸제(滅諦)와 도제(道諦)에는 진(瞋)을 제외한 그 나머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며, 색계(色界)에서와 같이 무색계(無色界)에서도 또한 그러하다.
    욕계(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여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사견(邪見)과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와 의(疑)가 제외된다. 색계(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에서도 다섯 가지 번뇌의 미혹된 집착이 있으니, 말하자면 위의 여섯 가지 가운데 진(瞋)이 제외된다. 색계의 대치의 닦음[對治修]과 같이 무색계(無色界)의 대치의 닦음[對治修] 또한 그러하며, 미혹된 집착과 같이 장애(勝障) 또한 그러하다.
    4) 이하는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두 번째로 번뇌의 분별(分別)에 대해서 기술한다.
    5) 견취(見取)와 계금취(戒禁取)를 말한다.
    6) 욕계(欲界)의 4제(諦)에 각각 열 가지 번뇌(煩惱)가 있어서 도합 40번뇌가 있고,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8제(諦)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아홉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72번뇌가 있는데, 이를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또한 욕계(欲界)에 여섯 가지 번뇌가 있으며 색계(色界)와 무색계(無色界)에 각각 진(瞋)을 제외한 다섯 가지 번뇌가 있어서 도합 16번뇌가 있는데, 이를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煩惱)라고 한다. 이러한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 102가지와 수도소단(修道所斷)의 번뇌 16가지를 합하면 모두 128번뇌가 된다.
    7)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각각에 고(苦) 집(集) 멸(滅) 도(道)의 4제(諦)가 딸려서 열 두 가지가 된다.
    8) 멸제(滅諦)와 도제(道諦)는 모두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증상(增上)이라고 이름한다.
    9) 멸제(滅諦)를 말하며 멸제(滅諦)는 도제(道諦)의 변지(遍智)에서 증득한 과(果)이기 때문이다.
    10) 도제(道諦)의 체(體)를 말한다.
    11) 멸제(滅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과(果)를 의미하고 도제(道諦)는 위에서 말한 변지(遍智)의 드러난 바[所顯]를 말한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제8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213 213-215 / 829]. 번뇌(煩惱)의 분별(分別)"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7. 운허, "纏(전)". 2012년 12월 25일에 확인
    "纏(전): 【범】 paryavasthāna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사람의 몸과 마음을 얽어 매어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므로 전이라 함. 3전ㆍ8전ㆍ10전 등의 구별이 있다."
  8. 佛門網, "".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纏: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被纏住;固執,煩惱的一類。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bind with cords; bonds; another name for 煩惱 the passions and delusions, etc.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煩惱的別名,因煩惱能纏縛人們的身心,使不得自在。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語 paryavasthāna。指心之纏縛,能妨礙修善。為煩惱(尤指隨煩惱)之異名。無慚、無愧、嫉、慳、悔、睡眠、掉舉、惛沈等八隨煩惱,稱為八纏。八纏加忿、覆,則為十纏。又經部稱煩惱之種子(潛勢位)為隨眠;對此,謂煩惱之現行(顯勢位)為纏。〔大毘婆沙論卷四十七、卷五十、品類足論卷一、雜集論卷七、瑜伽師地論卷八十
    頁數: p6857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纏===如八纏中說。
    二解 瑜伽八卷六頁云:數起現行,故名為纏。
    三解 瑜伽八十四卷十三頁云:又現起相續無斷絕義,說名為纏。纏有八種。謂無慚等。
    四解 集論四卷十二頁云:數數增盛,纏繞於心;故名為纏。
    五解 入阿毗達磨論上十五頁云:此十纏縛身心相續,故名為纏。"
  9. 佛門網, ""麤重". 2013년 5월 13일에 확인
    "麤重: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二卷二頁云:又於諸自體中所有種子、若煩惱品所攝;名為麤重,亦名隨眠。若異熟品所攝、及餘無記品所攝;唯名麤重,不名隨眠。若信等善法品所攝種子,不名麤重,亦非隨眠。何以故?由此法生時,所依自體、唯有堪能;非不堪能。
    二解 世親釋七卷十九頁云:謂煩惱障及所知障、無始時來,熏習種子,說名麤重。
    三解 法蘊足論八卷十五頁云:云何麤重?謂身重性、心重性、身無堪任性、心無堪任性、身剛強性、心剛強性、身不調柔性、心不調柔性、總名麤重。
    四解 成唯識論九卷十二頁云:二障種子,立麤重名。性無堪任,違細輕故。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dauṣṭhulya, duṣṭhula*, audārika, ghana, kraurya, sthairya
    頁數: P.4325-P.4328"
  10. 佛門網, "煩惱分別". 2013년 5월 7일에 확인
    "煩惱分別: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一頁云:煩惱分別者:或立一種。謂由煩惱雜染義故。或分二種。謂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由種。謂欲繫、色繫、無色繫。或分四種。謂欲繫、記、無記,色繫、無記,無色繫、無記。或分五種。謂見苦所斷,見集所斷,見滅所斷,見道所斷,修道所斷。或分六種。謂貪、恚、慢、無明、見、疑。或分七種。謂七種隨眠。一、欲貪隨眠,二、瞋恚隨眠,三、有貪隨眠,四、慢隨眠,五、無明隨眠,六、見隨眠,七、疑隨眠。或分八種。謂貪、恚、慢、無明、疑、見、及二種取。或分九種。謂九結。一、愛結,二、恚結,三、慢結,四、無明結,五、見結,六、取結,七、疑結,八、嫉結,九、慳結。或分十種。一、薩迦耶見,二、邊執見,三、邪見,四、見取,五、戒禁取,六、貪,七、恚,八、慢,九、無明。十、疑。或分一百二十八煩惱。謂即上十煩惱、由迷執十二種諦,建立應知。何等名為十二種諦?謂欲界苦諦集諦、色界苦諦集諦、無色界苦諦集諦、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無色界增上彼遍智果彼遍智所顯滅諦道諦。此中於欲界苦集諦、及於欲界增上滅道諦,具有十煩惱迷執。於色界苦集諦、及於彼增上滅道諦,除瞋,有餘煩惱迷執。如於色界,於無色界、亦爾。於欲界對治修中,有六煩惱迷執。謂除邪見、見取、戒禁取、疑。於色界對治修中,有五煩惱迷執。謂於上六中,除瞋。如於色界對治修中,於無色界對治修中、亦爾。如迷執,障礙、亦爾。"
  11. 星雲, "二斷".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斷:   (一)自性斷與緣縛斷。此係就斷惑之性質而分。(一)自性斷,如諸煩惱之本身,其性質染污者,若令自體不再生起,則能自然斷除,稱自性斷。係以無漏智斷其自體,證擇滅而不再起煩惱。(二)緣縛斷,又作所緣斷,有斷所緣之縛之意。然非斷滅該物之自性,而是斷除所緣之煩惱,如一切有漏色、有漏善、無記之心心所與其等法上之得、四相等皆是。斷除能緣能縛之煩惱,則可於其所緣之法上證擇滅。然因其自體未斷,故煩惱仍有復起之可能。自性斷通於見道斷、修道斷,而緣縛斷則僅局限於修道斷。〔俱舍論卷十六、顯宗論卷四、順正理論卷六、俱舍寶疏卷一、俱舍論頌疏卷十六〕
     (二)子縛斷與果縛斷。斷破見思之惑,稱為子縛斷。斷滅一期果報之身,稱為果縛斷。此係就二乘所斷之煩惱而言。〔法華玄義卷三〕 p250"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77DTITLEA4GC25F 二斷]".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2. 운허, "二斷(이단".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斷(이단): 2종의 단혹(斷惑). (1) ① 자성단(自性斷). 사물의 자성을 단멸(斷滅)하는 것. ② 연박단(緣縛斷). 사물의 자성을 속박하는 번뇌를 끊는 것. (2) ① 자박단(子縛斷). 견혹(見惑)ㆍ사혹(思惑)을 끊어버리는 것. ② 과박단(果縛斷). 일기과보(一期果報)의 몸을 없이 하는 것."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A8CE99A9Crowno1 二斷(이단]".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3. 운허, "二縛(이박)".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二縛(이박): 우리의 마음을 속박하여 자재하지 못하게 하는 두 가지. (1) 견혹(見惑)ㆍ수혹(修惑)의 두 번뇌가 대경(對境)을 반연하는 데서 생기는 속박. 상응박(相應縛)ㆍ소연박(所緣縛). (2) 상박(相縛)ㆍ추중박(麤重縛). (3) 능연박(能緣縛)ㆍ소연박(所緣縛). (4) 자박(子縛)ㆍ과박(果縛)."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A8CE7B89Browno1 二縛(이박)]".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4. 星雲, "二縛".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二縛: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一)相應縛與所緣縛。(一)相應縛,見惑、修惑束縛一聚相應之心、心所法,使其不得隨意緣所緣之境。如欲界苦諦下之十隨眠(五見、貪、瞋、慢、疑、無明),一一能束縛相應俱起之心、心所法。(二)所緣縛,惑緣境有毒勢力,縛此所緣令不自在。如欲界苦諦下之十隨眠一一互縛,成同部之所緣縛;集諦下遍行之惑縛苦諦下之法,成異部之所緣縛;又修道之煩惱縛善無記之五蘊。〔大毘婆沙論卷八十六、俱舍論光記卷一〕(參閱「所緣縛」3251)
    (二)相縛與粗重縛。(一)相縛,所緣之相分拘礙能緣見分之心,使不得自在,不了境相如幻。慧沼之成唯識論了義燈卷五本列舉有三種,或以一切相分皆相縛,或唯有漏之相分即相縛,或以行六度時執三輪之相為相縛。並解相縛之體,有所知障與煩惱障。百法問答鈔卷六分其體為正、助,若正相縛之體,唯有我執;若助相縛之體,並通法執。(二)粗重縛,其性無堪任,非調柔細輕,故謂粗重。即其性剛強深重,能縛有情身心於生死,或使之不了如幻者,皆稱為粗重縛。其「出體」有異說,成唯識論述記卷九末,謂其為一切有漏不安隱之性(種子)。成唯識論了義燈卷五本明示四說,一為現行有漏之心、心所,二為現行之二障,三為二障之種子,四為二障之習氣。百法問答鈔卷六則謂,諸說雖有不同,然二障之種子為粗重則是常義。
    (三)能緣縛與所緣縛。所緣之境為能緣之心縛之,稱為能緣縛;能緣之心為所緣之境拘礙,稱為所緣縛。〔成唯識論了義燈卷五本〕
    (四)子縛與果縛。(一)子縛,見思二惑為眾生受生三界之因子,故為子;因此之故,不能出離三界,故為縛。(二)果縛,以前業之所感,即以一期五蘊之報質為果;亦於此間不能離三界,故為縛。四諦中,集諦為子縛,苦諦為果縛。法華玄義卷三上謂,不斷此二縛,則不得聲聞菩提。〔大乘義章卷五本〕
    頁數: p243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參見: 縛】"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29610E4BA8CE7B89B 二縛]".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5. 星雲, "二障".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障:  又作二礙。(一)煩惱障與所知障。係瑜伽行派與法相宗對貪、瞋、癡等諸惑,就其能障礙成就佛果之作用所作之分類。(一)煩惱障,由我執(人我見)而生,以貪瞋癡等一切諸惑,發業潤生,煩擾有情之身心,使在三界五趣之生死中,而障涅槃之果,故稱煩惱障。(二)所知障,由法執(法我見)而生,以貪瞋癡等諸惑為愚癡迷闇,其用能障菩提妙智,使不能了知諸法之事相及實性,故稱所知障,又作智障。離此二障,則稱二離。〔成唯識論卷九〕
     (二)煩惱障與解脫障。(一)煩惱障同上所述,乃障無漏慧之生起。(二)解脫障,又作不染無知定障、定障、俱解脫障。解脫者,滅盡定之異名,因障聖者入滅盡定之法,故稱解脫障,其體為不染污無知之一種。〔俱舍論卷二十五、俱舍論光記卷二十五、俱舍論頌疏卷十二〕
     (三)理障與事障。(一)理障,謂邪見等之理惑障正知見者,相當於所知障。(二)事障,謂貪等之事惑相續生死而障涅槃者,相當於煩惱障。〔圓覺經卷下〕
     (四)內障與外障。(一)內障,即三毒,為令眾生內心生起煩惱之障。(二)外障,即七難,為外界所加之障礙。〔阿娑縛抄卷一八七〕 p241"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308DTITLEA4GBBD9 二障]".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6. 운허, "二障(이장)".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障(이장): 혹장(惑障)을 두 가지로 나눈 것. (1) 『구사론(俱舍論)』에는 번뇌장(煩惱障)과 해탈장(解脫障). (2) 『유식론(唯識論)』에는 번뇌장과 소지장(所知障). (3) 『원각경(圓覺經)』에는 이장(理障)과 사장(事障). (4) 『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密經論)』에는 번뇌장과 삼매장(三昧障). (5) 내장(內障)과 외장(外障)."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A8CE99A9Crowno1 二障(이장)]".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7. 운허, "二惑(이혹)".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惑(이혹): 혹장(惑障)을 두 가지로 나눈 것. (1) 견혹(見惑)과 수혹(修惑). (2) 계내혹(界內惑)과 계외혹(界外惑). (3) 통혹(通惑)과 별혹(別惑). (4) 현행혹(現行惑)과 종자혹(種子惑). (5) 구생기혹(俱生起惑)과 분별기혹(分別起惑)."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4BA8CE68391rowno1 二惑(이혹)]".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18. 운허, "思惑(사혹)". 2013년 5월 7일에 확인
    "思惑(사혹): 수혹(修惑)과 같음.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므로 일어나는 번뇌. 정(情)ㆍ의(意)에 관한 것이어서, 이를 끊기는 쉽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이를 알고 끊는 것. ⇒견수(見修)"
  19. 星雲, "二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惑:  (一)見惑與修惑。(一)見者,推度之義。以邪推度而起之迷情稱為見惑,如我見、邊見等,是為見道所斷之惑。(二)修惑,又作思惑,乃思慮世間事物而起之惑,如貪、瞋、癡等,為修道所斷之惑。〔天台四教儀集註卷上〕(參閱「見惑」2997、「修惑」4047)
     (二)理惑與事惑。藏、通二教,以見惑為迷於無常、無我等四諦之理者,故為理惑。修惑為迷於色聲等之世法事相者,是為事惑。別、圓二教,總歸一切之妄惑為三,根本無明能覆中道之理,是為理惑。塵沙能障菩提,覆俗諦之法;見思能障涅槃,覆真諦之法,二者皆為事惑。又依法相宗所立之煩惱、所知二障,前者迷於涅槃之理,故為理惑;後者迷於俗諦之事相,是為事惑。〔大明三藏法數卷七、法華玄義釋籤卷六〕 p214"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63DTITLEA4GB4b 二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0. 佛門網, "思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思惑: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修惑,三惑之一,即思想上的迷惑錯誤,如貪瞋痴慢疑等之五煩惱是。思惑的品數有八十一,即欲界五趣一地,色界四禪天為四地,無色界四空天為四地,共九地,每地九品,合共即八十一品。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illusion of thought.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貪愛曰思,謂眼耳鼻舌身五根,對於色聲香味觸五塵,貪愛染著,迷而不覺,是名思惑。"
  21. 佛門網, "二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二惑: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wo aspects of illusion: 見惑 perplexities or illusions and temptations arise from false views or theories. 思惑 or 修惑, ditto from thoughts arising through contact with the world, or by habit, such as desire, anger, infatuation, etc. They are also styled 理惑 illusions connected with principles and 事惑 illusions arising, in practice; v. 見思.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1.見惑和思惑。見惑是見解上的迷惑錯誤,如身見、邊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不正見是;思惑是思想上的迷惑錯誤,如貪、瞋、痴、慢、疑等五煩惱是。斷此見思二惑,即証阿羅漢果,出離三界。2.理惑和事惑。理惑是對理性的迷惑;事惑是對事相的迷惑。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二惑===﹝出釋籤﹞
    〔一、理惑〕,謂根本無明之惑,能障覆中道之理,不能顯發,是名理惑。
    〔二、事惑〕,謂塵沙惑,能障化導,則覆俗諦之法;見、思惑,能阻空寂,則覆真諦之法,是名事惑。
    二惑===﹝出華嚴經隨疏演義鈔
    〔一、現行惑〕,謂六根對六塵,現起貪瞋癡等煩惱,令心昏迷,障諸善法,是名現行惑。(六根者,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也。六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法塵也。)
    〔二、種子惑〕,種子者,即根本無明也。謂因此無明,則能生一切煩惱,障諸善法,是名種子惑。二惑──見、思
    二惑===﹝出天台四教儀集註﹞ 惑,迷惑也。謂諸眾生於一切法不了自性本空,妄生執著,惑於正道,流轉生死,故名惑也。又名二縛,由此惑業纏縛,住著三界,不能脫離也。又名二結,結即縛之義也。(三界者,欲界、色界、無色界也。)
    〔一、見惑〕,分別曰見,謂意根對法塵,非理籌度,起諸邪見。如外道計斷計常,乃至有無等見,是名見惑。
    〔二、思惑〕,貪愛曰思,謂眼耳鼻舌身五根,對於色聲香味觸五塵,貪愛染著,迷而不覺,是名思惑。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一、見惑。見者推度之義,以邪推度而起之迷情也。我見邊見等是也。又此等之惑,為於見道之位見理而斷之惑,故謂之見惑。二、思惑。新譯謂之修惑。為凡夫之思念,對於事事物物而起之惑,謂之思惑,貪瞋痴等是也。又此等之惑,為修道之位,屢屢思惟真理而斷之惑,故謂之思惑,或名修惑。【又】一理惑,二事惑,藏通二教以見惑為理惑,以思惑為事惑。謂見惑者迷於四諦真理之惑,思惑者為迷於世法事相之惑也。別圓二教以根本無明為理惑,以塵沙及見思為事惑。謂根本無明為覆中道之理之惑,塵沙者能障化導,故為覆俗諦之法之惑,見思者,能障空寂,故為覆真諦之法之惑,又依法相家所立之二障,則煩惱障為理惑,所知障為事惑。以煩惱障迷於涅槃之理,所知障迷於俗諦之事相也。"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2648E4BA8CE68391 二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2. 구글 CBETA 검색, "現行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現行惑:
    CBETA X50 No. 819《成唯識論疏抄》卷7
    www.cbeta.org/result/normal/X50/0819_007.htm
    如手中執杖。 X50n0819_p0258a22 (00)║其現行惑業。非五色根。名為執持。今者
    但陳依持。 X50n0819_p0258a23 (01)║第八名執故。現行第八識。與惑業為依。
    CBETA T47 No. 1960《釋淨土群疑論》卷1
    www.cbeta.org/result/normal/T47/1960_001.htm
    T47n1960_p0034a27(01)║不可唯依維摩經說究竟淨心。 T47n1960_p0034a28(
    06)║十地之位心淨土淨之文。不信觀經伏現行惑。 T47n1960_p0034a29(05)║依 ...
    CBETA T45 No. 1866《華嚴一乘教義分齊章》卷2
    www.cbeta.org/result/normal/T45/1866_002.htm
    既無現行惑。 T45n1866_p0491a24(03)║何得更受分段之身耶。答若是凡夫。
    T45n1866_p0491a25(05)║即以現惑潤業受生。聖人不爾。但留惑種用以受生。
    CBETA X07 No. 234《華嚴經疏注》卷18
    www.cbeta.org/result/normal/X07/0234_018.htm
    X07n0234_p0739a06 (00)║息諸惑熱。 X07n0234_p0739a07 (00)║ 煩惱深者。
    現行惑。 X07n0234_p0739a08 (00)║裂諸蓋網。 X07n0234_p0739a09 (00)║ ...
    CBETA T35 No. 1735《大方廣佛華嚴經疏》卷12
    www.cbeta.org/result/normal/T35/1735_012.htm
    一無明重者自覺智開。 T35n1735_p0585c09(05)║二煩惱深者息現行惑。三勤修難
    出裂五蓋網。 T35n1735_p0585c10(03)║四三障重者摧諸障山。五未解脫者淨心 ...
    CBETA T36 No. 1736《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卷60
    www.cbeta.org/result/normal/T36/1736_060.htm
    五四倒之中我淨為本常樂為末。 T36n1736_p0478a03(01)║六四倒為本生惡道稠林
    為末。 T36n1736_p0478a04(05)║七即此為本起現行惑為末。八諸惑為本諸業為 ...
    CBETA T85 No. 2823《大乘入道次第開決》卷1
    www.cbeta.org/result/normal/T85/2823_001.htm
    T85n2823_p1221c17(10)║由是義故但可說言不斷三世現行惑也。
    T85n2823_p1221c18(00)║初約遮門不斷三世等者。 T85n2823_p1221c19(07)║
    雜集瑜伽二論 ...
    CBETA X21 No. 369《解深密經疏》卷9
    www.cbeta.org/result/normal/X21/0369_009.htm
    據實害伴是現行惑。 (04)║ 而說隨眠名害伴者。是害伴之隨眠。故名害伴。即六釋中。
    (01)║ 依主釋也。言是故等者。結文可知。 (00)║二者羸劣隨眠。謂於第六第七地 ...
    CBETA T85 No. 2814《大乘起信論廣釋卷第三.四.五》卷4
    www.cbeta.org/result/normal/T85/2814_004.htm
    T85n2814_p1146a17(08)║梁攝論中說現行惑名上心故。雖自住地惑種而起。
    T85n2814_p1146a18(05)║亦因無明住地而有。故依無明起差別也。新論無此文。
    CBETA X03 No. 221《續華嚴經略疏刊定記》卷3
    www.cbeta.org/result/normal/X03/0221_003.htm
    二息現行惑。 (02)║三壞五蓋網。四摧二障。五淨惑種。六發地前信解。 (03)║七生
    地上善根。八離八難五怖。九棄分段苦。十見佛趣求。 (01)║此十種益。是光之能。
    CBETA X50 No. 821《成唯識論集解》卷8
    www.cbeta.org/result/normal/X50/0821_008.htm
    X50n0821_p0782b06 (00)║ 或緣現行。惑緣種子。皆不違理。問。此十二支。
    X50n0821_p0782b07 (02)║ 為復同世。為復異世。答。前十現在。後二未來。十因二
    果。
    CBETA X58 No. 998《華嚴一乘教義分齊章復古記》卷2
    www.cbeta.org/result/normal/X58/0998_002.htm
    (40)║問八地以去一切菩薩於煩惱障永伏不行以無漏智果恒相續故如阿羅漢既無
    現行惑何得更受分段之身耶。 (00)║ (19)║ (38)║ (57)║ 八地下以於俱生中六七識
    惑 ...
    CBETA T43 No. 1830《成唯識論述記》卷4
    www.cbeta.org/result/normal/T43/1830_004.htm
    識不執彼現行惑. T43n1830_p0348c18(03)║業以為境故。此解與前別。
    T43n1830_p0348c19(00)║與前解同者。 T43n1830_p0348c20(00)║論。惑諸趣
    言通能所 ...
    CBETA X50 No. 819《成唯識論疏抄》卷5
    www.cbeta.org/result/normal/X50/0819_005.htm
    遠起欲界現行惑。 X50n0819_p0218a02 (02)║又菩薩生欲界。不退失上界定得上定
    。或生上界。 X50n0819_p0218a03 (03)║不斷欲界煩惱。又菩薩欲起煩惱時。
    CBETA X34 No. 636《法華經玄贊攝釋》卷4
    www.cbeta.org/result/normal/X34/0636_004.htm
    現行惑業。復如何耶。 X34n0636_p0099a03 (01)║非賴耶故。答現行望種。正是
    其果。體復逼迫。苦諦所收。 X34n0636_p0099a04 (00)║義明顯也。何待言矣。"
  23. 星雲, "種子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種子惑:  為「現行惑」之對稱。乃生起一切煩惱之種子,亦即根本之無知。唯識家謂此煩惱之種子隨逐吾人,眠伏潛藏於阿賴耶識中,待眾緣而顯現。現行惑則指已顯現之煩惱障與所知障二種。〔成唯識論述記卷四本〕 p5867"
  24. 구글 CBETA 검색, "種子惑". 2013년 5월 7일에 확인.
    "種子惑:
    CBETA X14 No. 295《楞嚴經述旨》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4/0295_009.htm
    習氣種子惑也。 X14n0295_p0667a06 (04)║ 與現行俱盡。此指欲界無續生業也。苦
    樂雙忘。兼指四禪。 X14n0295_p0667a07 (01)║ 以下無欲滅業也。此五天自四禪 ...
    CBETA X11 No. 270《楞嚴經要解》卷17
    www.cbeta.org/result/normal/X11/0270_017.htm
    X11n0270_p0867a16 (02)║ 習氣種子惑也。與現行皆滅。故云俱盡。
    X11n0270_p0867a17 (06)║ 此指欲界無續生業也。苦樂雙亡。兼指四禪已下無續業
    也。
    CBETA X15 No. 300《楞嚴經纂註》卷9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0_009.htm
    種子惑也。與現行皆滅。 X15n0300_p0204a16 (01)║ 此指欲界無續生業也。苦樂雙
    忘。 X15n0300_p0204a17 (07)║ 兼指四禪已下無續業也。故云下無卜居。此五天 ...
    CBETA X50 No. 821《成唯識論集解》卷4
    www.cbeta.org/result/normal/X50/0821_004.htm
    X50n0821_p0713a12 (03)║ 既無種子。惑智亦無。惑智既無。依誰由誰而立斷果。
    X50n0821_p0713a13 (02)║ 故知惑由此斷。智依此生。果依此立。生死因。解脫本 ...
    CBETA X51 No. 824《成唯識論觀心法要》卷3
    www.cbeta.org/result/normal/X51/0824_003.htm
    X51n0824_p0334c16 (03)║ 即惑業生等有漏種子。惑謂見思二惑。業。
    X51n0824_p0334c17 (06)║ 謂善惡不動三業。生。謂胎卵濕化四生。所趣。即六道
    果報。能趣 ...
    CBETA X74 No. 1495《慈悲道場水懺法隨聞錄》卷1
    www.cbeta.org/result/normal/X74/1495_001.htm
    (03)║ 為地獄種子。惑之甚也。慝惡之隱于心者。 (06)║ 傲然憍[怡-台+居]凌人也。
    作惡不悔是無愧也。私自作。 (07)║ 於人所不知見處而故為。政不知佛菩薩五眼三智 ...
    CBETA T39 No. 1799《首楞嚴義疏注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39/1799_002.htm
    T39n1799_p0852b22(15)║此外道不知阿賴耶識為界趣生本含藏種子惑潤受生。
    T39n1799_p0852b23(10)║遂計身中有一神我常在不滅處處受生遍十方界。
    CBETA X14 No. 289《楞嚴經合轍》卷2
    www.cbeta.org/result/normal/X14/0289_002.htm
    ... 也自然者言內外法無勞造作不假修成悉本無因自然而有如云誰開河海堆山嶽誰削
    荊棘畫禽獸世無一切能生者是故諸法常自然以彼不知阿賴耶識含藏種子惑潤受生為 ...
    CBETA X13 No. 287《楞嚴經疏解蒙鈔》卷2
    www.cbeta.org/result/normal/X13/0287_002.htm
    (07)║ 一切投灰等是其遺種)我遍十方者。此外道不知阿賴耶識。 (04)║ 為界趣生本
    。含藏種子。惑潤受生。遂計身中有一神我。 (02)║ 常在不滅。處處受生。遍十方界。"
  25. 운허, "三縛(삼박)".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三縛(삼박): 탐(貪)ㆍ진(瞋)ㆍ치(癡). 이 세 번뇌는 중생을 얽매어 해탈하지 못하게 하므로 박이라 이름."
  26. 佛門網, "三縛".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三縛: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three bonds— desire, anger, stupidity; idem 三毒.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指三種繫縛,縛,煩惱之別名。蓋貪瞋癡三不善根,繫縛眾生,令其不自在,故稱為縛。即:(一)貪縛(梵 rāga-bandhana),引取之心,稱為貪。眾生於五塵可意之境,貪染生著,起諸惑業,因被纏繫,不得解脫。(二)瞋縛(梵 dvesa- bandhana),忿怒之心,稱為瞋。眾生於五塵違意之境,忿怒生瞋,起諸惑業,因被纏繫,不得解脫。(三)癡縛(梵 moha-bandhana),迷惑之心,稱為癡。眾生於一切事理之法,無所明了,妄生邪見,起諸邪行,纏繫不息,不得解脫。〔俱舍論卷二十一、瑜伽師地論卷八、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六、華嚴經孔目章卷三〕
    頁數: p683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三種的纏縛,即貪瞋痴的煩惱。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三縛===﹝出華嚴孔目
    〔一、貪縛〕,引取之心,名為貪。謂眾生於五塵可意之境,貪染生著,起諸惑業,因被纏繫,不得解脫,故名貪縛。(五塵者,色塵、聲塵、香塵、味塵、觸塵也。)
    〔二、瞋縛〕,忿怒之心,名為瞋。謂眾生於五塵違意之境,忿怒生瞋,起諸惑業,因被纏縛,不得解脫,故名瞋縛。
    〔三、癡縛〕,迷惑之心,名為癡。謂眾生於一切事理之法,無所明了,妄生邪見,起諸邪行,纏綿不息,故名癡縛。
    頁數: 出華嚴孔目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十九卷六頁云:復次由為貪縛所纏縛故;於能隨順樂受境界,心不能捨。如是瞋縛所纏縛故;於能隨順苦受境界,心不能捨。由愚癡縛所纏縛故;於能隨順非苦樂受中庸境界,心不能捨。由此因緣,故立三縛。
    二解 俱舍論二十一卷三頁云:已辯結;縛云何?頌曰:縛三、由三受。論曰:縛有三種。一、貪縛。謂一切貪。二、瞋縛。謂一切瞋。三、癡縛。謂一切癡。何緣唯說此三為縛?由隨三受,說縛有三。謂於樂受,貪縛隨增。所緣、相應、俱隨增故。於苦受、瞋,於捨受,癡,應知亦爾。雖於捨受,亦有貪瞋;非如癡故。約自相續樂等三受,為縛所緣,作此定說。
    三解 入阿毗達磨論上十一頁云:然契經中,復說三縛。一、貪縛。謂一切貪。如愛結相說。二、瞋縛。謂一切瞋。如恚結相說。三、癡縛。謂一切癡。如無明結相說。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術語)謂貪瞋痴之煩惱繫縛。俱舍論二十一曰:「縛有三種:一貪縛,二瞋縛,三痴縛。」入阿毘達磨論上曰:「契經中復說三縛:一貪縛,謂一切貪,如受結相說。二瞋縛,謂一切瞋,如恚結相說。三痴縛,謂一切痴,如無明結相說。」"
  27. 운허, "四縛(사박)".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四縛(사박): 사결(四結)이라고도 함. 네 가지 번뇌. (1) 욕애신박(欲愛身縛)은 욕계의 중생이 사랑하는 5욕(欲) 경계에 집착하여 여러 가지 번뇌 악업을 일으켜 3계(界)에 유전(流轉)하는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2) 진에신박(瞋恚身縛)은 욕계의 중생이 제 뜻에 불만한 것에 대하여 성을 내고, 그리하여 번뇌 악업을 일으켜 3계에 몸이 얽매어 고해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 (3) 계도신박(戒盜身縛)은 외도가 계율이 아닌 것을 계율이라 하고, 그 때문에 죄를 범하여 3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4) 아견신박(我見身縛)은 아견을 위하여 번뇌 악업을 더하여 3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9B9BE7B89Browno1 四縛(사박)]".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8. 佛門網, "四縛". 2013년 5월 12일에 확인
    "四縛: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四縛===(名數)又云四結:一欲愛身縛,欲界貪欲之縛身者。二瞋恚身縛,瞋恚之縛身者。三戒盜身縛,邪戒之縛身者。戒盜又名取戒。是本非戒,強以名戒,故曰戒盜。又以取進行,故名戒取。是外道之邪戒也。四我見身縛,我見之縛身者。見鞞婆沙論二。【又】一欲縛,欲界諸惑中除無明與見惑者。二有縛。二界一切惑中除無明與見惑者。三無明縛,三界之無明也。四見縛,三界之惡見也。見大經淨影疏。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he four bandhana, or bonds are (1) desire, resentment, heretical morality, egoism; or (2) desire, possession (or existence), ignorance, and unenlightened views.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又作四結、四身繫、四身縛。指繫縛眾生身心,使其流轉於生死之四種煩惱。據三藏法數卷十八載,四縛即:(一)欲愛身縛,又作貪欲身縛、貪身繫。謂欲界眾生對於五欲順情等境,心生貪愛,起諸惑業,束縛於身而不得解脫。(二)瞋恚身縛,又作瞋身縛。謂欲界眾生對於五欲違情等境,起瞋恚煩惱而不得解脫。(三)戒盜身縛,又作戒取身繫。謂計非因為因,持守雞戒、狗戒等邪戒,而增長惑業,束縛於身。(四)我見身縛,又作實執取身繫。我見,即我執,於非我之法妄計為我。由此我見而增長諸惑業,束縛於身。〔長阿含卷八眾集經、鞞婆沙論卷二、大毘婆沙論卷四十八、集異門足論卷八、華嚴經孔目章卷三、大藏法數卷二十〕
    頁數: p1839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四縛===﹝亦名四結,出鞞婆沙論﹞ 縛者,束縛也,又連續也。謂眾生由欲愛等業束縛,流轉生死,連續不斷,故名四縛。
    〔一、欲愛身縛〕,謂欲界眾生,於五欲順情等境,心生貪愛,起諸惑業,束縛於身,不得解脫,故名欲愛身縛。(五欲者,色欲、聲欲、香欲、味欲、觸欲也。)
    〔二、瞋恚身縛〕,謂欲界眾生,於五欲違情等境,心生瞋恚,起諸惑業,束縛於身,不得解脫,故名瞋恚身縛。
    〔三、戒盜身縛〕,戒盜亦名戒取。本非是戒,強以為戒,名為戒盜。又取以進行,復名戒取。如外道諸戒是也。由此邪戒,增長惑業,束縛於身,不得解脫,故名戒盜身縛。
    〔四、我見身縛〕,我見,即見取也。謂於非涅槃法中,妄自分別,以為涅槃,生心取著,名為見取。由此我見,增長惑業,束縛於身,不得解脫,故名我見身縛。(梵語涅槃,華言滅度。)
    頁數: 出鞞婆沙論"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40716E59B9BE7B89B 四縛]". 2013년 5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