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조

(병조참판에서 넘어옴)

병조(兵曹)는 고려조선의 행정기관이다. 육조 가운데 국방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고려 성종 이전에는 병관이라는 명칭을 썼고, 고려 성종 이후로는 병부라는 명칭으로 바꿨다. 그러다가 원나라 간섭기에는 군부사로 바뀌었고 병조로 바뀌었다가 선부로 통합되었다. 공민왕 때 병부로 환원되었다가 군부사, 총부로 다시 바뀌었으며 공양왕 때 비로소 병조로 개칭되었다. 작전계획, 병기의 생산관리, 무관의 인사권 등 국방을 총괄하여 담당했으며, 수레와 말 등의 교통수단, 봉화와 역참 등의 통신수단, 궁궐 경비 등도 담당하였다. 지금의 국방부에 해당한다.

1894년(고종 31년)에 갑오개혁이 시행되자 군무아문(軍務衙門)으로 개편되었고, 이듬해 군부(軍部)로 다시 개칭 및 개편되었다.[1]

고대 주나라에서 대사마(大司馬)으로 불렀다하여 옛스럽게 별칭으로 부르기도 하였다.[2] 하관(夏官), 기조(騎曹)라고도 한다.

청사 편집

병조 청사는 경복궁 광화문 앞 세종대로의 서편에 있었으며,[3] 판서, 참판, 참의, 참지의 네 당상관이 근무하던 당상대청, 정랑과 좌랑이 근무하던 낭청대청 등의 건물이 존재하였다.

관직 편집

본조 편집

품계 관직 정원 비고
정2품 판서 1명
종2품 참판 1명
정3품 참의, 참지(參知) 각 1명 품계는 같으나 참의가 참지의 윗서열이다.
정5품 정랑(正郞) 3명
정6품 좌랑(佐郞) 3명

기타 편집

공이 있고 덕이 있는 신하에게 혹은, 공신이나 원로대신들에게 주는 직책으로 판병조사(判兵曹事)가 있었다. 녹봉만 받고 실제 병조 업무는 행사하지 않는 명예직에 가까웠다.

소속 부서 편집

병조 본청에는 3개의 속사(屬司, 소속 부서)가 있었으며, 각 정랑과 좌랑 각 1인이 할당되었다. 이러한 주요 부서 이외에도 시기에 따라 일군색(一軍色), 이군색(二軍色) 등의 부서가 존재하였다.

  • 무선사(武選司) : 무관 관원의 인사, 발령, 무과 과거시험 시행, 천거, 부위(府衛, 관청 경비), 군융(軍戎, 군인 선발) 사무 담당
  • 승여사(乘輿司) : 군대에서 사용하는 말 관리, 보충대 편성 등 사무를 담당
  • 무비사(武備司) : 중앙과 지방 갑병(甲兵)의 명단, 무예 훈련(訓鍊), 지도(地圖) 제작, 진융(鎭戎)·성보(城堡)와 국경 지역 요새 관리, 봉화(熢火)·출정(出征) 등의 사무를 담당

속아문 편집

병조에서 관장하는 속아문(屬衙門, 하급 관청)은 아래와 같다.

각주 편집

  1.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무관이 대한제국 군부의 기능을 이어받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군무부가 그 기능을 수행하였다. 해방 후에 미군정 통위부(국방부)가 그 기능을 이어받은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 국방부가 조선시대 병조의 역할을 이어받았다.
  2. 병조 정문에 걸려 있던 편액의 명칭이 '대사마아문(大司馬衙門)'이었다.
  3. 현재 주소 체계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80-1번지의 세종로공원 남측 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