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군주제

(보편제국에서 넘어옴)

보편군주제는 하나의 군주가 전 지역(또는 적어도 지정학적인 영역이나 지배적인 부분)을 단독으로 통치하거나 다른 모든 국가(또는 적어도 모든 지정학적 지역 또는 지역의 주)에 대한 패권을 지닌 체제를 말한다.

보편군주제는 다른 국가에 종속되지 않고 지역에 대한 완전한 주권 또는 다른 국가에 대한 우위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일반 군주제와 구별된다.

이 개념은 유럽아시아에서 발생했다. 이 개념은 제국의 개념과 연결되어 있지만 단순히 제국을 소유하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세계의 군주(라틴어: Dominus Mundi)는 이 개념을 요약하는 단어이다. 실제로 전 세계를 통치한 보편 군주제나 국가는 없었지만 많은 사람들, 특히 전근대 사람들에게 그렇게 여겨졌을 것이다.

역사 편집

유럽 편집

유럽에서는 실제 전체 제국으로서의 보편 군주국의 표현을 로마 제국에서 볼 수 있으며, 동로마 시대의 지배적인 '유일한 주권' 국가로서 황제가 그리스도교국의 수장으로서 모든 것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 실제로 이것은 다른 왕들의 존재로 인해 실현될 수 없었기에 초기에는 유세비우스가 설명했듯이 신이 한 분이므로 황제는 한 명뿐일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1] 10세기에 세계의 다른 통치자였던 왕들을 황제 일가의 가계로 보는 개념으로 발전시켰다.[2] 이러한 개념은 특히 칼리파에 의해 군사 통치가 강화되었을 때 오스만 제국 후계 국가의 특징이었다.

유일한 주권 황제의 개념은 카롤루스 대제신성 로마 제국과 함께 서방에서 다시 나타났다.[3] 신성 로마 제국이 보편군주제로서 특별한 주권을 갖는다는 사상은 그 제국이 심한 분열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강대국과 예속국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4] 프리드리히 3세의 "모든 세계는 오스트리아에 종속된다"(A.E.I.O.U.)는 문구의 상징성은 모든 국가가 하나의 군주제에 종속된다는 개념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중세 성직자들은 교황이 보편적 군주라고 주장했다.[5]

서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부분을 포함하는 카를 5세의 제국은 로마 제국 이후 "진정한 세계적인 군주제를 보게 될 고전후적 세계에 가장 가까웠고, 따라서 보편제국에 가장 근접한 것"이었다.[6] 지지자들은 이를 종교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세계 제국으로 상상했다.[7]

결과적으로 실제 전체 통치보다 우세에 기반한 보편 군주국의 개념은 프랑스가 서유럽, 특히 루이 14세 하에서 패권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것과 동의어가 될 것이다.[8] 루이 14세를 '태양왕'으로 규정하고 그 주변에서 다른 모든 군주들은 종속된 위성왕으로 취급했다. 1755년, 루이 14세의 후계자인 루이 15세의 통치 기간 동안 국무원 의원이자 이전에 왕의 주요 외교 정책 고문이었던 아드리엔 모리스 드 노아일 공작은 영국이 대서양 상업의 지배를 통해 "유럽 1위"에 도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아일은 "보편군주제의 계획이 아무리 키메라적일지라도 한 국가가 미국 무역의 유일한 정부가 되는데 성공한다면 부를 통한 보편적 영향력의 계획은 더 이상 키메라가 되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9]

보편군주제는 유럽의 양쪽 끝, 영국과 러시아에서 번성할 것이다. 러시아 보편군주제는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 걸쳐 광대한 인접 제국을 소유한 정교회 전제정 국가로 동로마 통치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차이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10] 영국 보편 군주국은 "프로테스탄트, 상업, 해상 및 자유"[11]였으며 인접 영토로 구성되지 않았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스페인 제국에 이념적 통일성을 제공했지만 영국 개신교의 다양성은 "통일보다 분열"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스페인 제국과 차이점이 있다.[12] 조지프 체임벌린이 추진한 제국 연방(Imperial Federation)의 개념과 같이, 연방제와 경제 통제가 종교적 다양성이 할 수 없는 통합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간주된 것은 나중에야 나타났다.

나폴레옹대륙 체계나폴레옹 법전으로 보편 군주제에 가장 가까이 도달했으나 유럽 전체를 정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유럽의 보편군주국을 건설하려는 마지막 시도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시도한 것이었다. 독일이 승리했다면 독일 황제가 유럽 대부분에 종주권을 행사했을 것이다.[13][14]

아시아 편집

19세기에 이르러 서방에서는 황제라는 칭호가 종교적 의미를 크게 제거하고 순전히 정치적인 용어로 보게 된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칭호가 거의 전적으로 종교적인 칭호로 일반적으로 천자(하늘의 아들)로 언급된다. 여기에서 그 칭호는 하늘과 땅 사이를 다스리는 왕들과 대조적으로 더 높은 하늘의 통치("천국")를 나타내며, 오늘날에는 더 나아가서 단순한 지상의 통치자에 불과한 대통령들을 가리킨다. 중화의 황제국들은 다른 모든 군주들을 속국으로 여기는 보편 군주국으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의 약칭이자 중앙 왕국을 의미하는 중국이라는 표현에서도 드러난다. 이 개념은 칭기즈칸 치하에서 중국보다 더 널리 이 개념을 시행할 수 있었던 몽골인들에 의해 채택되었다.[15][16] 쇼와 천황 치하에서 대동아공영권을 통해 동남아를 통일하려는 일본의 시도는 일본의 종교 사상에 부합하는 경제적 연합에 기초한 제국 통치의 독일 제국과 조셉 체임벌린이 설정한 모델을 따른다.

인도계 종교전륜성왕 개념은 보편 군주의 이상을 완벽하게 보여준다.[17][18]

이슬람 세계 편집

수니파 이슬람에서 칼리파의 개념은 보편적 군주제로 간주될 수 있다. 결정적으로, 칼리프는 단순히 영적 지도자일 뿐만 아니라 이슬람 공동체의 세속적 우두머리이며 (이론적으로) 이슬람 법의 구속을 받고 적용을 받는다. "칼리파"라는 단어는 '후계자, 청지기, 대리인' 또는 '총독'으로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으며, 칼리프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세상적인 후계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수니파 무슬림은 그가 영적 후계자를 가질 수 없다고 주장한다. 칼리프의 의무는 이론적으로 샤리아의 관리를 포함하며 여기에는 무슬림 복지를 위한 정책 제정, 이슬람 성지 관리 및 순례자 관리, 정복된 비무슬림의 보호 및 무슬림의 이익과 관련된 그들의 이익 조정, 성전, 그리고 전 세계 무슬림 공동체의 외교적 이해관계의 표현, 심지어 칼리파국의 영역을 넘어선 것(에티오피아의 초기 이슬람 공동체와 관련하여 무함마드의 생애 동안 세워진 선례) 등이 있다.

시아파 이슬람에서 이맘국의 개념은 수니파 칼리파국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시아파 이맘은 세계 무슬림 공동체의 영적 지도자이자 세속적 지도자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맘은 정책과 행정에 대한 권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샤리아 및 신학의 해석에 있어서 무오한 최종 중재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수니파 칼리프와 마찬가지로 군주로서의 시아파 이맘의 권위는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맘국은 아흘 알 바이트와 연결되어 있다. 이맘국을 주장하는 왕조는 알리파티마를 통해 무함마드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이맘의 칭호를 아버지에서 아들로 전달하거나 아니면 또 다른 혈통을 따른 시아파 종파가 있는데, 예를 들어, 12개의 열두 이맘파는 12개의 이맘의 계보를 따르며, 그 중 마지막은 서기 9세기 이후로 신비주의에 빠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니자리 시아파 이슬람교도 아가 칸 4세는 현재 수장인 이맘의 다른 계통을 따르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icol, D.M. Byzantine political thought in Burns, J. H. The Cambridge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c. 350-c. 14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p52-53
  2. Nicol, D.M. Byzantine political thought in Burns, J. H. The Cambridge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c. 350-c. 14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57
  3. Bryce, James The Holy Roman Empire p209
  4. Brissaud, Jean A History of French Public Law John Murray (1915) p77
  5. Sisson, Keith (2016). 〈Popes over Princes: Hierocratic Theory〉. Sisson, Keith; Larson. 《A Companion to the Medieval Papacy: Growth of an Ideology and Institution》. Leiden: Brill. 122–23쪽. ISBN 978-9004299856. 
  6. Armitage, David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British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32
  7. Ocker, Christopher, Printy ,Michael & Starenko, Peter (Editors) Politics and Reformations: Communities, Politics, Nations, and Empires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7), 495.
  8. Simms, Brendan & Riotte, Torsten (Editors)The Hanoverian dimension in British History, 1714-183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p168
  9. Shovlin, John (2010). “Selling American Empire on the Eve of the Seven Years War: The French Propaganda Campaign of 1755-1756”. 《Past and Present》 206 (1): 121–149. doi:10.1093/pastj/gtp046. 
  10. Gavrov, Sergey Modernization of the Empir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Modernization Processes in Russia URSS (2004) p50
  11. see Armitage, David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British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2. Armitage, David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British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66
  13. Fischer, Fritz. Germany's Aims in the First World War. (1967)
  14. Niall, Ferguson, Virtual History: Alternatives and Counterfactuals (1999).
  15. Marshall, RobertStorm from the East: from Genghis Khan to Khubilai Kh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p156
  16. Sicker, Martin The Islamic world in ascendancy: from the Arab conquests to the siege of Vienna Greenwood Press (2000) p107
  17. Bhandarkar, D. R. Lectures on the Ancient History of India from 650–325 B.C. University of Calcutta (1919) pp85–86
  18. Beér, Robert The encyclopedia of Tibetan symbols and motifs Serindia Publications 2nd Revised edition(2004) pp160–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