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산역
서울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봉화산역(Bonghwasan station, 서울의료원,烽火山(서울醫療院)驛)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과 묵동에 걸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이다. 이 역부터 응암역까지 응암순환을 해 지하 구간이다.
봉화산
(서울의료원) | |
---|---|
![]() 신내 방향 역명판 | |
당역 종착 승강장(봉화산역~신내역 구간 연장 개통 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시절)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 지하232 |
개업일 | 2000년 8월 7일 |
역 번호 | 647 |
승강장수 | 2면 3선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기점 35.1km | |
|
역명 유래편집
조선 시대에 소식을 전하던 봉수를 피우던 봉수대가 마치 산과 같다고 해서 봉화산(烽火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2면 3선식 혼합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는 지하철역이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2기 지하철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1기 지하철의 회차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에 선로를 하나 더 추가하여 종착 후 회차하여 가는 열차는 중선으로, 출고와 입고 열차는 가장자리쪽 선로로 진입하여 회차 시간을 축소시킨다. 출구는 5개가 있는데, 1~4번 출구는 신내동에 위치하고, 5번 출구는 묵동에 위치한다.
승강장편집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화랑대 ↑ |
| 하중 | 중상 | |
↓ 신내 |
상행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내발 | 태릉입구·석계·고려대·응암 방면 |
---|---|---|---|
중선 | |||
봉화산발 | |||
중선 | 응암순환 회차 및 열차 당역 종착 | ||
하행 | 신내 방면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8월 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3,979 | 6,529 | 7,651 | 8,186 | 8,429 | 8,298 | 8,154 | 7,883 | 7,743 | 7,673 | [2] |
하차 | 3,484 | 5,482 | 6,459 | 7,055 | 7,328 | 7,408 | 7,359 | 7,147 | 7,042 | 7,058 | ||
승·하차 | 7,463 | 12,011 | 14,110 | 15,240 | 15,757 | 15,706 | 15,513 | 15,030 | 14,785 | 14,73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8,343 | 8,459 | 8,815 | 8,946 | 9,500 | 9,704 | 9,555 | 9.587 | |||
하차 | 7,733 | 7,866 | 8,246 | 8,423 | 8,913 | 9,063 | 8,929 | 8,889 | ||||
승·하차 | 16,075 | 16,325 | 17,061 | 17,369 | 18,413 | 18,767 | 18,484 | 18,476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 ||
---|---|---|
646 화랑대 응암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648 신내 신내 방면 |
각주편집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3-469호, 2013년 12월 26일.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외부 링크편집
- 봉화산(서울의료원)역 소개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