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구
배가 육지와 연결될 수 있는 해안이나 시설물
(부동항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8년 9월) |
항구(港口, port)는 자연 지형이나 인공 구조물로 풍랑을 방지하고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는 곳으로, 수륙 교통의 결절점(結節點) 기능을 갖는 장소·시설을 말한다.
입지편집
섬, 갑(岬)이나 만입(灣入) 등으로 차폐되는 지형은 종종 천연 양항(良港)이라고 부른다. 근대에 들어서는 건설 기술이 크게 발달해 천연 지형의 혜택을 입지 않고서도 대규모 항구가 만들어지고 있다.
기능편집
여객의 승강이나 화물의 하역·보관 등 수륙 수송의 전환 기능, 즉 터미널 기능이 항구의 중요한 기능이다. 그 때문에 항구에는 선박의 계류 뿐만 아니라 화물의 하역·보관, 여객의 승강, 항구에서 배후지로의 육상 운송 등을 위한 시설이 정비되어 있다. 그 밖에 선박에 물·연료·식량·선박 용품 등을 보급하는 운항 지원 기능이 있다. 전시에는 화물을 보급하고 군함을 출정시키며 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시설편집
구분 | 시설의 예 |
---|---|
수역 시설 | 항로, 정박지 등 |
외곽 시설 | 방파제, 방조제, 제방 등 |
계류 시설 | 안벽, 물양장, 계선부표, 잔교, 부잔교 등 |
임항 교통 시설 | 항만 도로, 임해 철도, 운하 등 |
하역 시설 | 갠트리크레인, 하역 기계, 상옥 등 |
여객 시설 | 여객 승강 시설, 여객 터미널 등 |
보관 시설 | 창고, 야적장, 저목장, 컨테이너 야드 등 |
선박 업무 시설 | 급수 시설, 급유 시설 등 |
분류편집
종류 | 내용 | 주요 입항 선박 |
---|---|---|
상항 | 외국 무역, 내국 무역에 의한 화물 취급을 주로 하는 항구 | 화물선, 컨테이너선 등 |
공업항 | 공업 지역과 인접해 원료나 공업 제품의 취급을 주로하는 항구 | 유조선, 원료 수송선 등 |
어항 | 수산물의 취급을 주로하는 항구 | 어선 등 |
페리항 | 차량·여객을 운송하는 페리가 출입하는 항구 | 페리(ferry) |
마리나항 | 취미·오락·관광 목적의 선박이 정박, 발착하는 항구 | 요트, 유람선 등 |
군항 | 군사적 성격을 가진 항구 | 군함 등 |
피난항 | 소형 선박이 강한 풍랑으로부터 피난하기 위한 항구 | 소형 선박 등 |
세계의 주요 항구편집
같이 보기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