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군
(부평도호부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1914년까지 존재했던 옛 행정 구역에 관한 것입니다. 1914년 이후의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부천군, 부평구, 계양구, 서구 (인천광역시), 부천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평군(富平郡)은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천부 중 일부와 합쳐져 부천군으로 개편되었다. 현재는 인천광역시 부평구와 부천시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옛 부평군의 영역은 오늘날의 인천광역시 서구(검단지역 제외), 부평구, 계양구, 경기도 부천시와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부(안양천 서부) 및 강서구 일부에 이른다.
유래
편집초기 이름은 주부토(主夫吐) 또는 장제(長堤)였다.[1] 토(吐)가 "둑"(堤)의 고어로 지금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은 확실하지만 주부(主夫)는 "길다"(長)라는 뜻이고 한국어의 "줄" 과 대응된다. 이병도에 의하면 마한 소국 중에 하나인 우휴모탁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적으로는 마한시대에 중요한 지역이었음에 분명하다. 지금의 부평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은 고려시대에 처음이었다.
역사
편집- 당초에 백제 영토였다. 온조왕의 형인 비류가 미추홀(인천)에 터를 잡았었으므로 그 세력권으로 추정된다.
- 470년 장수왕의 남침으로 고구려에 일시 점령되어 주부토군(主夫吐郡)이 되었다. 치소는 미상
- 757년 경덕왕 16년에 행정제도 개편으로 장제군(長堤郡)으로 개칭된 후 김포지방의 4현(분진현(分津縣), 술성현(戌城縣),동성현(童城縣),김포현)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에 수주(樹州)로 승격되었다. 당시의 치소는 지금의 계양구 오류동.
- 1105년고려 숙종 10년 당시 수주의 속현이던 소성현(邵城縣)(지금의 인천)이 경원부(慶源府)로 승격되어 수주(樹州)에서 분리되었다.
- 1150년 의종 4년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승격되고 치소가 오류동에서 계양구 계산동으로 옮겨졌다.
- 1215년 고종 2년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로 개명되었다.
- 1308년 충렬왕 34년에 길주목(吉州牧)이 되었다가 2년 뒤 목이 폐지되어 부평부(富平府)가 되었다. 이 시기부터 부평이라는 지금 이름이 되었다.
- 1413년 태종 13년에 부평도호부로 승격된 후 부 혹은 현로의 강등과 도호부로의 승격이 빈번했다.
- 1895년 23부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부(府)제도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군(郡)으로 강등되어 인천부관할 부평군이 되었다가 다시 13도제로 변경되면서 경기도에 속하였다.
-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인천부의 외곽지역과 남양군의 일부지역을 합병해 부천군이 되었다.
- 1940년 주읍인 부평이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 1941년 소사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 1948년~1968년에 인천지역에 편입된 부평지역은 인천시 부평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 1963년 소사읍의 동쪽 일부가 서울 구로구에 편입되어 오류동, 개봉동, 고척동, 항동, 궁동, 천왕동, 온수동이 되었다.
- 1968년 부평출장소가 인천시 북구로 승격되었다.
- 1973년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었다. 그 외 지역은 인근 시군으로 편입되어 부천군은 폐지되었다.
- 1988년 인천직할시 북구의 서쪽이 분리되어 인천 서구가 되었다.
- 1995년 인천광역시 북구가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구되었다.
- 예전 부평지역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양구, 서구와 부천시로 나뉘어 지금에 이른다.
하위 행정구역
편집-1914년 이전 기준-
- 군내면(郡內面)
- 서면(西面)
- 마장면(馬場面)
- 동소정면(同所井面)
- 동면(東面)
- 당산면(堂山面)
- 황어면(黃魚面)
- 주화곶면(注火串面)
- 상오정면(上吾丁面)
- 하오정면(下吾丁面)
- 수탄면(水呑面)
- 옥산면(玉山面)
- 석천면(石川面)
- 모월곶면(毛月串面)
- 석곶면(石串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