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땅다람쥐

북극땅다람쥐(Urocitellus parryii)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북극 지역의 토착종이다. 알래스카인들 특히 알류산 열도 주민들은 북극땅다람쥐 가죽이 의복과 파카(parka) 목도리 털을 만드는 재료로 아주 좋기 때문에 "파카" 다람쥐라고도 부른다. 천적은 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북극여우, 회색곰, 울버린, 맹금류 다.[3]

북극땅다람쥐
북극땅다람쥐
북극땅다람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쥐목
과: 다람쥐과
아과: 땅다람쥐아과
족: 마멋족
속: 전북구땅다람쥐속
종: 북극땅다람쥐
(U. parryii)
학명
Urocitellus parryii
Richardson, 1825

학명이명

Urocitellus parryii

아종
  • 본문 참조
북극땅다람쥐의 분포

북극땅다람쥐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특징 편집

북극땅다람쥐는 베이지색과 황갈색 털을 갖고 있으며, 등에 흰색 반점이 나 있다. 짧은 얼굴과 작은 귀, 검은색 꼬리, 눈 주위의 흰 얼룩을 갖고 있다. 여름에서 겨울까지 털 색의 변화가 일어난다. 여름에 뺨과 옆면을 따라 붉고 노란색 털이 난다. 가을에는 붉은색 반점과 함께 은색 털로 바뀐다. 평균 몸길이는 약 39cm이다. 북극땅다람쥐는 계절 변화에 따라 격렬한 몸무게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평균 몸무게를 측정하기 어렵지만 성체 암컷은 750g에 가까운 반면에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약 100g 정도 더 무겁다.[4][5]

동면을 하는데, 이때의 북극땅다람쥐는 현존하는 포유류 중 가장 낮은 신체 온도를 자랑한다. 뇌의 온도는 빙결점 가까이 가며,[6] 심부온도는 -2.9 °C 아래로 떨어지고[7] 심장은 분당 1회가량 뛰게 된다. 말초신경과 장, 혈액의 온도는 0도에 가까워진다. 이때, 혈액이 얼지 않는 이유로 유력한 가설은 얼음의 핵이 될 것들이 몸 속에 생기지 않아 혈액이 과냉각 상태로 유지되기에 혈액이 액체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동면기간 중 동면은 2~3주가량 지속되다가 잠시 깨어나 12~15시간 정도는 정상체온으로 돌아오는 것을 반복한다.[8]

분포 및 서식지 편집

북극땅다람쥐는 북극권부터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북부 지역과 아래로 노스웨스트 준주 남쪽 국경의 캐나다 북부 지역과 알래스카주, 시베리아에서 발견된다.[1] 북아메리카 북극 툰드라 지역의 토착종으로 주요 서식지는 산악 경사 지대와 강 저지대, 강둑, 호반, 북극 툰드라의 툰드라 산등성이 지역이다. 땅을 파기 쉽고, 물이 잘 빠지기 때문에 모래흙 지역에서 서식한다.[9] 땅을 잘 파기 힘든 영구 동토층에 얕게 굴을 판다.[10] 건조한 북극 툰드라 지역과 북극땅다람쥐의 가장 남쪽 서식지인 앞이 트인 목초지에서 서식한다.[5]

 
누나부트 준주 쿠글루크툭 툰드라 지역

아종 편집

10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

마멋족

열대땅다람쥐속

영양다람쥐속

바위다람쥐속

황금망토땅다람쥐속

마멋속

땅다람쥐속

작은땅다람쥐속

프랭클린땅다람쥐속

프레리도그속

피그미땅다람쥐속

전북구땅다람쥐속

타운센드땅다람쥐

워싱턴땅다람쥐

북아이다호땅다람쥐

파이우트땅다람쥐

메리엄땅다람쥐

유인타땅다람쥐

벨딩땅다람쥐

컬럼비아땅다람쥐

긴꼬리땅다람쥐

북극땅다람쥐

와이오밍땅다람쥐

리처드슨땅다람쥐

각주 편집

  1. “Spermophilus parry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2.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54–8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3. Antarctica and the Arctic Circle: A Geographic Encyclopedia of the Earth's Polar Regions
  4. Buck, C.L.; Barnes, B.M. (1999). “Annual cycle of body composition and hibernation in free-living arctic ground squirrels”. 《Journal of Mammalogy》 80 (2): 430–442. doi:10.2307/1383291. 
  5. Animal Diversity Web
  6. Liu Y, Hu W, Wang H, Lu M, Shao C, Menzel C, Yan Z, Ying L, Zhao S, Khaitovich P, Liu M, Chen W, Barnes BM, and Yan J: Genomic analysis of miRNAs in an extreme mammalian hibernator, the Arctic Ground Squirrel. Physiological Genomics 보관됨 4월 2, 2015 - 웨이백 머신 42A:39-51. (2010)
  7. Asher, Claire. “When your veins fill with ice”. 《www.bbc.com》 (영어).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8. Jabr, Ferris. “What the Supercool Arctic Ground Squirrel Teaches Us about the Brain's Resilience” (영어). 2020년 9월 14일에 확인함. 
  9. Nadler C, Hopkins RS (1976). Patterns of evolution and migration in the arctic ground squirrel, Spermophilus parryii (Richardson). [Internet]. Chicago (ZL) U.S.A.: Department of Medicine, Northwestern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S) U.S.A.: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Department of Systematics and Ecology; [updated 1976 Oct 20; cited 2013 Nov 10]. Available from: http://www.nrcresearchpress.com/doi/pdf/10.1139/z77-097.
  10. “BBC Nature - Arctic ground squirrel videos, news and facts”. BBC Earth. 2018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6일에 확인함. 
  11.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