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땅다람쥐
북극땅다람쥐(Urocitellus parryii)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북극 지역의 토착종이다. 알래스카인들 특히 알류산 열도 주민들은 북극땅다람쥐 가죽이 의복과 파카(parka) 목도리 털을 만드는 재료로 아주 좋기 때문에 "파카" 다람쥐라고도 부른다. 천적은 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북극여우, 회색곰, 울버린, 맹금류 다.[3]
북극땅다람쥐 | ||
---|---|---|
북극땅다람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다람쥐과 | |
아과: | 땅다람쥐아과 | |
족: | 마멋족 | |
속: | 전북구땅다람쥐속 | |
종: | 북극땅다람쥐 (U. parryii) | |
학명 | ||
Urocitellus parryii | ||
Richardson, 1825 | ||
학명이명 | ||
Urocitellus parryii | ||
아종 | ||
| ||
북극땅다람쥐의 분포 | ||
북극땅다람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특징
편집북극땅다람쥐는 베이지색과 황갈색 털을 갖고 있으며, 등에 흰색 반점이 나 있다. 짧은 얼굴과 작은 귀, 검은색 꼬리, 눈 주위의 흰 얼룩을 갖고 있다. 여름에서 겨울까지 털 색의 변화가 일어난다. 여름에 뺨과 옆면을 따라 붉고 노란색 털이 난다. 가을에는 붉은색 반점과 함께 은색 털로 바뀐다. 평균 몸길이는 약 39cm이다. 북극땅다람쥐는 계절 변화에 따라 격렬한 몸무게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평균 몸무게를 측정하기 어렵지만 성체 암컷은 750g에 가까운 반면에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약 100g 정도 더 무겁다.[4][5]
동면을 하는데, 이때의 북극땅다람쥐는 현존하는 포유류 중 가장 낮은 신체 온도를 자랑한다. 뇌의 온도는 빙결점 가까이 가며,[6] 심부온도는 -2.9 °C 아래로 떨어지고[7] 심장은 분당 1회가량 뛰게 된다. 말초신경과 장, 혈액의 온도는 0도에 가까워진다. 이때, 혈액이 얼지 않는 이유로 유력한 가설은 얼음의 핵이 될 것들이 몸 속에 생기지 않아 혈액이 과냉각 상태로 유지되기에 혈액이 액체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동면기간 중 동면은 2~3주가량 지속되다가 잠시 깨어나 12~15시간 정도는 정상체온으로 돌아오는 것을 반복한다.[8]
분포 및 서식지
편집북극땅다람쥐는 북극권부터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북부 지역과 아래로 노스웨스트 준주 남쪽 국경의 캐나다 북부 지역과 알래스카주, 시베리아에서 발견된다.[1] 북아메리카 북극 툰드라 지역의 토착종으로 주요 서식지는 산악 경사 지대와 강 저지대, 강둑, 호반, 북극 툰드라의 툰드라 산등성이 지역이다. 땅을 파기 쉽고, 물이 잘 빠지기 때문에 모래흙 지역에서 서식한다.[9] 땅을 잘 파기 힘든 영구 동토층에 얕게 굴을 판다.[10] 건조한 북극 툰드라 지역과 북극땅다람쥐의 가장 남쪽 서식지인 앞이 트인 목초지에서 서식한다.[5]
아종
편집10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
|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09년 헬겐(Helge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1]
마멋족 |
| ||||||||||||||||||||||||||||||||||||||||||||||||||||||||||||||||||||||||||||||||||||||||||||||||||||||||||||||||||||||||||||||
각주
편집- ↑ 가 나 “Spermophilus parryi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Thorington, R.W., Jr.; Hoffman, R.S. (2005). “Family Sciuridae” [다람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754–81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Antarctica and the Arctic Circle: A Geographic Encyclopedia of the Earth's Polar Regions
- ↑ Buck, C.L.; Barnes, B.M. (1999). “Annual cycle of body composition and hibernation in free-living arctic ground squirrels”. 《Journal of Mammalogy》 80 (2): 430–442. doi:10.2307/1383291.
- ↑ 가 나 Animal Diversity Web
- ↑ Liu Y, Hu W, Wang H, Lu M, Shao C, Menzel C, Yan Z, Ying L, Zhao S, Khaitovich P, Liu M, Chen W, Barnes BM, and Yan J: Genomic analysis of miRNAs in an extreme mammalian hibernator, the Arctic Ground Squirrel. Physiological Genomics 보관됨 4월 2, 2015 - 웨이백 머신 42A:39-51. (2010)
- ↑ Asher, Claire. “When your veins fill with ice”. 《www.bbc.com》 (영어). 2019년 5월 2일에 확인함.
- ↑ Jabr, Ferris. “What the Supercool Arctic Ground Squirrel Teaches Us about the Brain's Resilience” (영어). 2020년 9월 14일에 확인함.
- ↑ Nadler C, Hopkins RS (1976). Patterns of evolution and migration in the arctic ground squirrel, Spermophilus parryii (Richardson). [Internet]. Chicago (ZL) U.S.A.: Department of Medicine, Northwestern University Medical School, and the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S) U.S.A.: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Department of Systematics and Ecology; [updated 1976 Oct 20; cited 2013 Nov 10]. Available from: http://www.nrcresearchpress.com/doi/pdf/10.1139/z77-097.
- ↑ “BBC Nature - Arctic ground squirrel videos, news and facts”. BBC Earth. 2018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6일에 확인함.
- ↑ Helgen, Kristofer M.; Cole, F. Russell; Helgen, Lauren E.; Wilson, Don E. (April 2009). “Generic Revision in the Holarctic Ground Squirrel Genus Spermophilus” (PDF). 《Journal of Mammalogy》 90 (2): 270–305. doi:10.1644/07-MAMM-A-309.1. 2011년 10월 2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