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매끄러운 다양체
- 의 주다발 위의 코쥘 접속
그렇다면, 의 비틀림 텐서는 다음과 같은 (1,2)-텐서장 ( 값 이차 형식)
-
이다.
-
여기서
- 는 리 미분이다.
성분으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코쥘 접속의 성분이
-
라고 하자. 또한, 국소적으로 (홀로노믹) 좌표를 잡자. 그렇다면,
-
-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필바인
-
을 잡자.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
-
여기서 는 스핀 접속이다.
그렇다면, 이 기저에서 비틀림 텐서는 다음과 같다.
-
비틀림 텐서는 (1,2)차 텐서장이며, 그 두 개의 아래 지표는 서로 반대칭이다. 즉, 값의 2차 미분 형식을 이룬다.
-
즉, 차원의 다양체에서 그 성분은 총 개이다. 특히, 1차원 이하의 경우 비틀림 텐서는 항상 0이다. (2차원 이상의 경우 비틀림이 ≠0일 수 있다.)
비안키 항등식편집
아핀 다양체 의 리만 곡률
-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두 비안키 항등식(Bianchi恒等式, 영어: Bianchi identity)이 성립한다.
-
-
여기서
-
는 를 순환에 따라 치환한 합을 뜻한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