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쿠라이 상
J. J. 사쿠라이 이론 입자 물리학상(J. J. Sakurai Prize for Theoretical Particle Physics)은 이론 입자물리학에서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상이다. 상금은 1만 미국 달러이고, 수상자는 국적 및 소속에 상관없이 정해진다.
매 해마다 여러 명이 수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0년에는 힉스 메커니즘을 공동으로 발견한 6명의 학자들이 공동으로 수상하였다.
역사 편집
미국 물리학회(American Physical Society)가 젊은 나이에 요절한 물리학자인 사쿠라이 준을 기려 1985년부터 매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 편집
연도 | 수상자 | 수상 이유 |
---|---|---|
2014 | 데이비드 코소워(David A. Kosower) 랜스 딕슨 (Lance J. Dixon) 츠비 베른(Zvi Bern) |
섭동적 산란 진폭의 새로운 계산법 |
2013 | 헬렌 퀸(영어: Helen Quinn) 로베르토 페체이(이탈리아어: Roberto Peccei) |
페체이-퀸 이론과 액시온 |
2012 | 귀도 알타렐리(이탈리아어: Guido Altarelli) 토르비에른 셰스트란드(스웨덴어: Torbjörn Sjöstrand) 브라이언 웨버(영어: Bryan Webber) |
표준 모형의 정밀 시험 |
2011 | 크리스 퀴그(영어: Chris Quigg) 에스티아 아이크턴(영어: Estia Eichten) 이언 힌칠리프(영어: Ian Hinchliffe) 케네스 레인(영어: Kenneth Lane) |
테라전자볼트 에너지 눈금에서의 새로운 물리학의 체계적인 탐색 |
2010 | 제럴드 구럴닉(영어: Gerald Stanford Guralnik) 칼 헤이건(영어: Carl Richard Hagen) 토머스 키블(영어: Thomas W. B. Kibble) 로버트 브라우트 프랑수아 앙글레르 피터 힉스 |
힉스 메커니즘 |
2009 | 데이비슨 소퍼(영어: Davison E. Soper) 존 콜린스(영어: John C. Collins) 리처드 키스 엘리스(영어: Richard Keith Ellis) |
섭동적인 양자 색역학 |
2008 | 알렉세이 유리예비치 스미르노프(러시아어: Алексе́й Ю́рьевич Cмирно́в) 스타니슬라프 파블로비치 미헤예프(러시아어: Станисла́в Па́влович Михе́ев) |
물질 속에서의 중성미자 진동에 대한 연구 |
2007 | 스탠리 브로드스키(영어: Stanley Brodsky) | 섭동 양자장론을 통한, 고에너지 강한 상호작용 과정들의 분석 |
2006 | 사바스 디모풀로스(그리스어: Σάββας Δημόπουλος) | 동적 대칭 깨짐(dynamical symmetry breaking), 초대칭, 거대 추가 차원 |
2005 | 오쿠보 스스무(일본어: 大久保 進) | 강입자의 질량 및 붕괴율의 패턴에 대한 분석 및 CP 위반을 통한 붕괴율 비대칭성의 설명 |
2004 | 이카로스 비기(독일어: Ikaros Bigi) 산다 이치로(일본어: 三田一郎) |
비 중간자 붕괴에서의 CP 위반 및 CP 대칭과 무거운 맛깔 물리학에 대한 지속적인 기여 |
2003 | 앨프레드 뮬러(영어: Alfred Mueller) 조지 스터먼(영어: George Sterman) |
양자 색역학에서, 적외 안전성(infrared safety), 고에너지 과정에서의 인자성(factorization) 등의 발견 |
2002 | 윌리엄 마시아노(영어: William J. Marciano) 알베르토 시를린(스페인어: Alberto Sirlin) |
전기·약 작용의 방사 보정(radiative correction)을 통한 새로운 물리적 효과의 탐색 |
2001 | 네이선 이즈거(영어: Nathan Isgur) 미하일 보리소비치 볼로신(러시아어: Михаил Борисович Волошин) 마크 와이즈(영어: Mark Wise) |
양자 색역학에서, 무거운 쿼크 질량 전개(heavy quark mass expansion)와 무거운 쿼크 대칭(heavy quark symmetry) |
2000 | 커티스 캘런 | 재규격화군, 순간자, 자기 홀극과 끈 이론 |
1999 | 미하일 시프만 아르카디 이오시포비치 바인시테인(러시아어: Арка́дий Ио́сифович Вайнште́йн) 발렌틴 이바노비치 자하로프(러시아어: Валенти́н Ива́нович Заха́ров) |
비섭동적인 양자 색역학, 렙톤 없는 약한 핵력을 통한 붕괴 과정(non-leptonic weak decay),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 대하여 |
1998 | 레너드 서스킨드 | 강입자의 끈 모형과 격자 게이지 이론, 양자 색역학, 동적 대칭 파괴(dynamical symmetry breaking) |
1997 | 토머스 애플퀴스트(영어: Thomas Appelquist) | 차모늄(charmonium)과 무거운 입자들의 유효 작용에서의 분리 |
1996 | 윌리엄 바딘(영어: William A. Bardeen) | 축대칭 변칙(axial anomaly)과 섭동적 양자 색역학에 대한 업적 |
1995 | 하워드 조자이 | 대통일 이론 및 양자 색역학의 응용 |
1994 | 난부 요이치로 | 파이온을 손지기 대칭의 자발 대칭 파괴에 의한 골드스톤 보손으로 설명 |
1993 | 메리 캐서린 게일러드(영어: Mary Katharine Gaillard) | 입자물리학 현상론 및 이론, 특히 양자 색역학을 케이온 섞임·붕괴와 맵시 쿼크들의 결합 상태들에 대하여 적용한, 이휘소와의 공동 연구 |
1992 | 링컨 울펀스타인(영어: Lincoln Wolfenstein) | 약한 핵력의 CP 위반과 중성미자의 연구 |
1991 | 블라디미르 나우모비치 그리보프 | 양자장론의 고에너지 성질 및 비아벨 게이지 이론의 대역적(global) 구조에 대한 연구 |
1990 | 기노시타 도이치로(일본어: 木下東一郎) | 양자 전기역학 및 전기·약 작용의 정밀 검증, 특히 렙톤 비정상 자기 모멘트( anomalous magnetic moment)의 계산 |
1989 | 니콜라 카비보 | 강입자의 약한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
1988 | 스티븐 루이스 애들러 | 손지기 대칭(chiral symmetry)을 사용한 합 공식(sum rule) 및 저에너지 정리(low energy theorem)의 증명 |
1987 | 루차노 마이아니(이탈리아어: Luciano Maiani)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
GIM 메커니즘을 통한 맵시 쿼크의 예측 |
1986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폴리처 프랭크 윌첵 |
양자 색역학의 점근 자유성 |
1985 | 마스카와 도시히데 고바야시 마코토 |
CKM 행렬의 도입과 5, 6번째 쿼크 맛깔의 예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