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上級綜合病院)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중증질환에 대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 의료전달체계의 확립을 통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병원이다. 보건복지부에서 11개 진료권역[1]별로 매 3년마다 종합병원의 신청을 받아 평가하여 우수한 의료기관을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한다. 2011년부터 도입되었으며, 3년마다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한다. 평가 항목에는 진료기능, 교육기능, 인력 · 시설 · 장비, 질병군별 환자의 구성비율, 의료서비스 수준, 진료권역별 소요병상 충족도 등이 있다.

혜택 편집

상급종합병원 지정 시, 종합병원 대비 5%p 많은 30%의 가산수가[2]를 적용받아 건강보험 요양급여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선도적인 의료기관으로 인정받는 부수적인 효과 또한 있기 때문에, 병원들은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해 경쟁하는 상황이다.[3]

목록 편집

아래의 목록은 제4기(2021년~2023년) 상급종합병원 목록으로, 총 45곳이 지정되었다.

  • 2기 지정 43개 기관 중 41개가 3기로 재지정되었으며, 재지정되지 못한 2개 기관은 울산대병원(경남권역)과 이대목동병원(서울권역)이다. 또한 신규 지정된 1개 기관은 칠곡경북대병원(경북권역)이다.
  • 제3기 상급종합병원은 메르스 사태 이후 감염병 유행에 대비해 병문안 관리체계를 갖추도록 하고, 국가 지정수준의 음압격리병상 설치를 의무화[5]하였다는 것이 제2기 상급종합병원과의 차이점이다.
  • 제4기에는 경남권역이 경남서부권과 동부권으로 나뉘었고 치열한 경쟁 끝에 울산대병원(징검다리 재지정)과 창원삼성병원(신규)은 지정되었고 고신대복음병원은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서울권 편집

총 14곳이다.

경기서북부권 편집

총 4곳이다.

경기남부권 편집

총 4곳이다.

강원권 편집

총 2곳이다.

충북권 편집

총 1곳이다.

충남권 편집

총 3곳이다.

전북권 편집

총 2곳이다.

전남권 편집

총 3곳이다.

경북권 편집

총 5곳이다.

경남동부권 편집

총 5곳이다.

경남서부권 편집

총 2곳이다.

외부 링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수도권, 경기남부권, 경기서북부권, 강원권, 충북권, 충남권, 전북권, 전남권, 경북권, 경남서부권, 경남동부권
  2. 상급종합병원 30%, 종합병원 25%, 병원 20%, 의원 15%
  3. “자존심이 걸렸다...상급종합병원 지정 위해 뛰는 병원들”. 조선일보. 2017년 2월 14일. 
  4. “이대목동병원, 상급종합병원 자진 철회 “책임 다하기 위해””. 중앙일보. 2018년 4월 23일. 
  5. 2018년 12월 31일까지 국가지정병상에 준하는 시설(병실면적 15m2, 전실보유)을 갖춘 음압격리병실을 500병상 당 1개를 설치 의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