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평통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5년 11월) |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는 문(文)이었다.
가치 | 문(文) |
---|---|
무게 | 25.1 g |
지름 | 24~40 mm |
두께 | 2.8 mm |
주조년도 | 1633년(인조 11년) 1678년(숙종 4년) ~ 1894년(고종 31년) |
앞면 | |
![]() | |
디자인 | 상하좌우에 상평통보(常平通寶) |
뒷면 | |
![]() | |
디자인 | 주조한 관청의 이름(사진은 선혜청 주조) |
1633년(인조 11년) 김신국(金藎國), 김육(金堉) 등의 주청으로 상평청(常平廳)을 설치하고 주조하여 처음 유통하였으나, 중지되었다. 1678년(숙종 4년) 영의정 허적(許積), 좌의정 권대운(權大運) 등이 상평통보의 주조를 다시 주장하여 서울 일대와 서북 일부 지역에 유통케 하였으며, 법화(法貨)로 채택하였다. 숙종 말기 1695년부터 이 화폐를 전국적으로 확대 유통시켰다. 10문이 1전, 10전이 1냥, 10냥이 1관과 같았고 숙종은 400문을 은 1냥에 고정시켰다.[1] 가장 먼저 당일전을 발행했고, 그 뒤에 당이전과 당오전을 발행해 유통시켰다.
1866년(고종 3년) 흥선대원군은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당백전을 발행했고 이로 인해 조선은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당백전의 실제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5 ~ 6배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법정 가치가 100배에 해당해 물가 상승을 일으키게 됐다.
1894년(고종 31년)에 주조발행사업이 중단되고, 1904년 화폐정리사업으로 인해 회수·폐기되었다. 기록이 정확하게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총 1,784,038개가 주조됐다고 알려진 당백전[2]을 제외하고는 얼마나 다양한 형태의 상평통보가 주조됐으며 각각 얼마의 가치를 지녔는지 정확이 알기는 어렵다.
액면가 | 한자 | 한글 | 지름 (mm) | 발행 시작 날짜 | 기타 |
---|---|---|---|---|---|
1문 | 一文 | 일문(당일전) | 24-25 | 1633년 | |
2문 | 二文 | 이문(당이전) | 27-29 | 1679년 | |
5문 | 五文 | 오문(당오전) | 31-33 | 1883년 | |
100문 | 百文 | 백문(당백전) | 40.6 | 1866년 12월 12일 (금위영 발행 개시일) 1867년 1월 15일 (유통 개시일) 1867년 6월 16일 (발행 중지일) |
관주전(官鑄錢)은 두께가 2.8mm, 무게가 25.1g로 항상 같다. |
상평통보 주전소편집
1633년 상평통보를 주조하기 시작한 기관은 상평청이었으나 다른 기관들도 상평통보를 발행하기 시작했고 발행한 곳을 나타내기 위해 뒷면 위쪽에 다양한 글자를 넣었다. 1892년 문(文)이 양(兩)으로 대체됐을 당시에 52개의 주전소가 있었다.[3]
오늘날 한국조폐공사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글자 | 한글 | 주전소 | 발행 연도 |
---|---|---|---|
戶 | 호 | 호조 | 1678년 |
工 | 공 | 공조 | 1685년 |
均 | 균 | 균역청 | 1807년 |
冏 | 경 | 사복시 | 1678년 |
賑 | 진 | 진휼청 | 1747년 |
向 | 향 | 양향청 | 1742년 |
宣 | 선 | 선혜청 | 1742년 |
惠 | 혜 | 선혜청 | 1806년 |
典 | 전 | 전환국 | 1883년 |
兵 | 병 | 병조 | 1742년 |
備 | 비 | 비변사 | 1742년 |
摠 | 총 | 총융청 | 1692년 |
营 또는 營 | 영 | 어영청 | 1678년 |
武 (1) | 무 | 무비사 | 1742년 |
武 (2) | 무 | 무위영 | 1742년 |
禁 | 금 | 금위영 | 1742년 |
訓 | 훈 | 훈련도감 | 1678년 |
抄 | 초 | 정초청 | 1678년 |
統 (1) | 통 | 삼도수군통제사 군영 | 1727년 |
統 (2) | 통 | 통위영 | 1727년 |
經 | 경 | 경리청 | 1830년 |
守 | 수 | 수어청 | 1742년 |
沁 | 심 | 강화유수부 | 1883년 |
開 | 개 | 개성유수부 | 1678년 |
松 | 송 | 개성유수부 | 1882년 |
利 | 리 | 이용사(통리기무아문) | 1882년 |
水 | 수 | 수원유수부 | 1727년 |
原 | 원 | 강원감영 | 1678년 |
海 | 해 | 황해감영 | 1742년 |
春 | 춘 | 춘천유수부 | 1888년 |
川 | 천 | 단천부 | 1883년 |
昌 (1) | 창 | 창덕궁 | 1864년 |
昌 (2) | 창 | 창원대도호부 | 1864년 |
圻 | 기 | 광주유수부 | 1742년 |
京 | 경 | 경기감영 | 1742년 |
京水 | 경수 | 경기수영 | 1742년 |
黃 | 황 | 황해병영 | 1742년 |
平 | 평 | 평안감영 | 1678년 |
平兵 | 평병 | 평안병영 | 1678년 |
咸 | 함 | 함경감영 | 1742년 |
咸北 | 함북 | 함경북병영 | 1742년 |
咸南 | 함남 | 함경남병영 | 1742년 |
江 | 강 | 강릉대도호부 | 1742년 |
尚 | 상 | 경상감영 | 1695년 |
尚水 | 상수 | 경상수영 | 1695년 |
尚右 | 상우 | 경상우병영 | 1695년 |
尚左 | 상좌 | 경상좌병영 | 1695년 |
全 | 전 | 전라감영 | 1682년 |
全兵 | 전병 | 전라병영 | 1678년 |
全右 | 전우 | 전라우수영 | 1678년 |
全左 | 전좌 | 전라좌수영 | 1678년 |
忠 | 충 | 충청감영 | 1742년 |
경리청에서 발행한 상평통보는 經(경)을 행서로 나타냈다.
동전의 뒷면 아래에는 주조 번호를 표시하기 위해 천자문이나 오행, 팔괘, 천간, 십이지에 나오는 문자 등을 넣었다. 동전의 왼쪽이나 오른쪽에는 주로 점이나 원, 초승달 모양, 가로줄 및 세로줄 등과 같은 기호들을 넣었다.
각주편집
- ↑ 이승종 (2015년 7월 5일). “[이승종의 환율이야기]"한 푼만 줍쇼…" 한 푼은 얼마일까?”. 아시아경제. 2017년 9월 11일에 확인함.
- ↑ numis.org
- ↑ creounity.com
이 글은 화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