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절역
서울지하철 6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새절(신사)역(Saejeol (Sinsa) station, 새절(新寺)驛)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지하철역이다. 신사는 서울시 고시로 정해진 병기역명이다.
새절
(신사) | |
---|---|
역명판 | |
승강장 (LCD 교체 전)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 400(신사동) |
좌표 | 북위 37° 35′ 28″ 동경 126° 54′ 49″ / 북위 37.59111° 동경 126.91361°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역 번호 | 616 |
승강장수 | 2면 3선(혼합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기점 7.5 km | |
|
공사 당시에는 북가좌역(北加佐驛)으로 불렸으나,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신사역(新沙驛)과 역명이 중복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사(新寺)를 고유어로 풀이한 새절을 역명으로, 신사를 병기역명으로 사용하고 있다.[1][2] 추후에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하며, 주박선로는 신내방향 중앙 승강장으로 연결되어 있다.
역사
편집- 2000년 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역 구조
편집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역 방향 중 중앙 승강장은 아침에 새절역 출발 신내행 첫차와 심야에 새절역을 종착역으로 하는 새절역 주박 열차에만 이용하는 주박 선로가 설치된 곳이다. 그 이외의 평시 운행 시간에는 측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승강장
편집- 내리는 문의 위치
- 상행선(응암 방향): 오른쪽
- 하행선(신내 방향): 왼쪽
응암 ↑ |
| 3 2 | | 1 |
↓ 증산 |
3 | ● 서울 지하철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 · 효창공원앞 · 신내 방면 |
---|---|---|
2 | 당역 종착 | |
1 | 응암 방면 |
역 주변
편집1번 출구
- 응암3동주민센터
- 응암3치안센터
- 응암동우체국
- 응암시장
-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 응암초등학교
- 은평창의예술교육센터
- 구립은평노인복지관
2번 출구
- 응암3동
- 응암4치안센터
- 대림시장
- 불광천산책로
- 불광천작은도서관
3번 출구
- 신사2동
- 연서중학교
- 상신중학교
- 서신초등학교
- 숭실중.고등학교 방면
- 미성아파트
4번 출구
- 신사1동
- 신사초등학교
- 신사동고개
- 새절역현대아파트
사진
편집이용객 변동
편집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4,652 | 7,310 | 9,318 | 10,476 | 11,475 | 11,858 | 12,204 | 12,339 | 12,214 | 11,872 | [3] |
하차 | 4,119 | 6,478 | 8,571 | 9,818 | 10,835 | 11,264 | 11,532 | 11,567 | 11,513 | 11,245 | ||
승하차 | 8,770 | 13,788 | 17,889 | 20,294 | 22,310 | 23,122 | 23,736 | 23,905 | 23,727 | 23,118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12,233 | 12,459 | 12,963 | 13,472 | 13,967 | 13,859 | 13,938 | 13,859 | |||
하차 | 11,493 | 11,733 | 12,238 | 12,708 | 13,225 | 13,158 | 13,194 | 13,189 | ||||
승하차 | 23,725 | 24,192 | 25,201 | 26,180 | 27,192 | 27,017 | 27,132 | 27,048 |
인접한 역
편집서울 지하철 6호선 | ||
---|---|---|
610 응 암 응 암 순환 |
● 서울 지하철 6호선 |
617 증 산 신 내 방면 |
사건
편집2016년 9월 7일 오전 10시쯤, 20대 후반이던 산모가 갑작스러운 산통으로 이 역 여자 화장실에서 출산예정일이 한 달이 남아 있던 임산부가 출산하는 일이 있었다.[4]
각주
편집- ↑ 서울시, 공암대교 등 20개 명칭 의결, 연합뉴스, 1995년 1월 27일 작성.
- ↑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의 모든 역의 괄호 안에 쓰는 부분 역시 서울시 고시로 정한 공식 역명이다. 코레일의 부역명 제도와는 다르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20대 후반 산모, 지하철역 화장실에서 아기 낳아”.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