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갑 (대전)
대전광역시 서구갑 국회의원 선거구
대전 서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대전광역시 서구 일부를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무소속[1]의 박병석 (6선, 2000년~)이다.
서구 갑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96년 |
국회의원 | 박병석 (무소속)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서구·유성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96년 제15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이전에는 서구·유성구라는 이름으로 존재했다.
대전 서구는 1988년 1월 1일 중구의 일부[2]가 분리되면서 설치되었다. 따라서 같은해 치러진 제13대 총선부터 대전시 서구라는 이름으로 지역구가 신설되었다. 이듬해 1989년 서구의 일부가 유성구로 다시 분리되고 동시에 서구는 대덕군을 편입해 대전직할시 서구가 되었다. 하지만 다음 총선인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유성구는 새로운 선거구로 독립하지 않고 그대로 남았고, 서구·유성구로 이름만 바꾼 채 유지되었다.
한편 1995년 제1대 지방 선거를 앞두고 대전직할시가 광역시로 개명한 동시에, 서구와 유성구 지역구도 각각 자체 지자체장과 구의회 선거구가 설치되었다. 다음해인 1996년 제15대 총선에 이르러서야 유성구는 유성구 지역구로 독립하였고, 서구는 다시 한번 갑을 선거구로 나뉘어, 서구 갑에는 복수동, 도마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가수원동, 기성동이, 서구 을에는 나머지 지역이 속하게 되었다. 이후로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5대 | 서구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가수원동, 기성동 |
16대 | 서구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가수원동, 기성동 |
17대 | 서구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가수원동, 관저동, 기성동 |
18대 ~ 현재 | 서구 복수동, 도마1동, 도마2동, 정림동, 변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가수원동, 관저1동, 관저2동, 기성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1996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을 포함한 전체 목록은 대전 서구의 국회의원을 참고하라.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96 | 이원범 | 자유민주연합 | ||
2000 | 박병석 | 새천년민주당 | 제19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2012년 ~ 2014년) 제21대 전반기 국회의장 (2020년 ~ 현재) | |
2004 | 열린우리당 | |||
2008 | 통합민주당 | |||
2012 | 민주통합당 | |||
2016 | 더불어민주당 | |||
2020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22,713 투표수: 76,940 | 자유민주연합 승리 | 이원범 | 자유민주연합 | 37,730 | 49.95 | |||
이재환 | 신한국당 | 18,524 | 24.52 | |||||
정구영 | 새정치국민회의 | 11,708 | 15.50 | |||||
윤석대 | 민주당 | 4,785 | 6.33 | |||||
박영문 | 무소속 | 2,410 | 3.19 | |||||
천병학 | 무소속 | 376 | 0.49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44,662 투표수: 77,078 | 새천년민주당 승리 | 박병석 | 새천년민주당 | 28,538 | 37.45 | |||
이원범 | 자유민주연합 | 25,758 | 33.80 | |||||
이재환 | 한나라당 | 21,890 | 28.73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65,276 투표수: 95,870 | 열린우리당 승리 | 박병석 | 열린우리당 | 49,194 | 51.75 | |||
이영규 | 한나라당 | 21,838 | 22.97 | |||||
한기온 | 자유민주연합 | 14,768 | 15.53 | |||||
김양호 | 민주노동당 | 4,836 | 5.08 | |||||
이강철 | 새천년민주당 | 3,252 | 3.42 | |||||
한흥수 | 무소속 | 781 | 0.82 | |||||
박진봉 | 무소속 | 376 | 0.39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76,022 투표수: 79,555 | 통합민주당 승리 | 박병석 | 통합민주당 | 32,626 | 41.29 | |||
백운교 | 자유선진당 | 18,073 | 22.87 | |||||
한기온 | 한나라당 | 16,394 | 20.74 | |||||
이영규 | 친박연대 | 10,692 | 13,53 | |||||
권석원 | 무소속 | 765 | 0.96 | |||||
길준구 | 평화통일가정당 | 462 | 0.58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85,399 투표수: 99,030 (53.4%) | 민주통합당 승리 | 박병석 | 민주통합당 | 53,671 | 54.5 | |||
이영규 | 새누리당 | 33,423 | 34.0 | |||||
송종환 | 자유선진당 | 8,964 | 9.1 | |||||
이강철 | 무소속 | 2,359 | 2.4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198,407 투표수: 116,643 (58.8%) | 더불어민주당 승리 | 박병석 | 더불어민주당 | 56,241 | 48.7 | |||
이영규 | 새누리당 | 46,035 | 39.8 | |||||
김흥규 | 국민의당 | 11,713 | 10.1 | |||||
주무늬 | 민중연합당 | 1,585 | 1.0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213,330 투표수: 136,521 | 더불어민주당 승리 | 박병석 | 더불어민주당 | 74,978 | 55.58 | |||
이영규 | 미래통합당 | 57,720 | 42.79 | |||||
이강철 | 충청의미래당 | 1,148 | 0.85 | |||||
김순자 | 국가혁명배당금당 | 1,034 | 0.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