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속버스터미널
좌표: 북위 37° 30′ 22″ 동경 127° 00′ 25″ / 북위 37.506008° 동경 127.006987°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반포동)에 있는 고속버스 터미널이다. 경부선, 구마선, 영동선 고속버스가 운행된다. 서울 시민들은 강남터미널로 흔히 말하며, 고속버스터미널 또는 반포터미널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
---|---|
![]() |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
개장 | 1981년 10월 20일 |
이전 | 1975년 11월 14일 |
운영기관 | 신세계그룹 |
터미널코드 | 010 |
행선지표기 | 서울경부 |
고속버스 운행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 미운행 |
시내버스 운행 | 미운행 |
웹사이트 | http://www.exterminal.co.kr |
흔히 이 터미널과 이웃한 센트럴시티를 함께 묶어 고속버스터미널이라고 부른다. 센트럴시티는 호남선 고속버스의 서울 기·종점이다. 지하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과 7호선, 그리고 9호선의 환승역인 고속터미널역이 위치해 있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010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주식회사에서 운영한다. 이 회사는 1975년 11월 14일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여러 고속버스 운송 회사들이 합작 설립하여 각자의 지분을 갖고 운영하고 있다. 본래 대주주는 금호산업으로써 금호아시아나그룹 측 경영진이 경영하고 있었으나, 이후 신세계그룹 계열인 센트럴시티에 지분을 매각하여 현재는 신세계그룹 측 경영진이 경영하고 있다. 명칭은 설립할 때부터 당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서울고속버스터미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6년 8월부터 회사 명칭을 지금의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바꾸었다.
매일 약 5만명의 승객이 이용중이며, 명절에는 서울역과 함께 귀성객이 쉴새없이 방문하는 진풍경을 보인다.[1]
역사편집
1974년에는 서울 시내의 여러 곳에 고속버스터미널이 분산되어 있었는데, 종로6가의 동대문고속버스터미널·봉래동1가의 한진고속·남대문로5가의 동양고속·을지로3가의 속리산고속·관철동의 삼화고속·도동1가의 그레이하운드·충무로3가의 유신고속 등이었다.[2] 시내의 교통 혼잡이 가시화하자 이들을 통합하여 한 곳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등장하였고, 그 입지로는 기존의 동대문터미널을 비롯하여 봉래동2가의 구 도매시장, 당산동3가의 구 영등포공작창, 반포동의 부지 등이 검토되었다.[3]
1975년 6월 27일 강남 개발의 일환으로 터미널을 반포동·당산동·성북역 앞의 3곳으로 모으는 계획이 확정되었다.[4] 이에 반포동의 부지에서 1976년 4월 8일 시설을 착공하여[5], 1976년 9월 1일부터 가건물 형태로 영업을 시작하였는데 시내의 기존 터미널에서 발착하여 강남을 거쳐 운행하는 형태였다.[6] 이러한 형태는 교통부령에 의하여 1977년 4월 21일과 7월 1일, 8월 20일의 세 차례에 걸쳐 서울―수원 간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강남으로 이전하며 해소되었다.[7][8]
현재 쓰이고 있는 건물은 1979년 5월 23일 신축 계획을 확정하고 건설을 시작하여[9], 1981년 10월 20일에 준공하였다.[10] 이는 이전까지 쓰이던 가건물을 철거하고 지은 것이었다. 완공 당시에는 2층과 3층에도 승차장이 있는 동양 최대의 버스 터미널 중 한 곳으로 꼽혔으나, 철도나 항공으로 승객 수요가 이동함과 더불어 건물이 노후하여, 현재는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3층은 화훼상가로, 5층은 웨딩홀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5층 웨딩홀은 2017년 5월에 영업을 종료하였다. 현재 이 자리에는 신세계백화점 본사가 상주해있다.
1985년 10월 18일에는 수도권 전철 3호선이,2000년 8월 1일에는 7호선이, 2009년 7월 24일에는 9호선 고속터미널역이 개통되었다.
승차홈편집
2017년 8월 1일부터 승차홈 조정에 따라 시행 중인 내용이다.
무인발권기 | 제1매표소 | ||||||||||||||||||||||
---|---|---|---|---|---|---|---|---|---|---|---|---|---|---|---|---|---|---|---|---|---|---|---|
1 | → 센 트 럴 시 티 터 미 널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하차장 | 36 | 35 | 34 | 33 | 32 | 31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19 | 18 | 17 | |||
제3매표소 | 무인발권기 | ||||||||||||||||||||||
↓ 신반포로 | 무인발권기 | 제2매표소 |
경부선편집
출발홈 | 행선지 |
---|---|
1 | 부산, 부산사상 |
2 | |
3 | 마산 |
4 | 창원 |
5 | 진주 |
6 | 울산, 통영, 김해 |
7 | 동대구 |
8 | 동대구, 밀양 |
9 | 포항, 경주, 영천 |
10 | 구미, 김천, 상주, 점촌 |
11 | 대전, 대전청사 |
12 | |
13 | 세종시, 세종청사, 세종국책연구단지 |
14 | 천안 |
15 | |
16 | 공주, 아산 |
영동선편집
출발홈 | 행선지 |
---|---|
17 | 조치원, 금산 |
18 | 속초, 양양 |
19 | 예비 |
20 | 동해, 삼척 |
21 | 예비 |
22 | 강릉 |
23 | 제천 |
24 | 원주 |
25 | 원주 |
26 | 용인 |
27 | 이천 |
28 | 여주 |
29 | 춘천, 포천, 철원(동송), 영월 |
30 | 안동, 영덕, 영주, 풍기IC, 예천, 경북도청, 울진, 평해, 백암온천, 단양 |
31 | 안성 |
32 | 평택, 안중 |
33 | 청주(중앙고속 승차장) |
34 | 청주(금호속리산고속 일반 승차장) |
35 | 청주(금호속리산고속 우등 승차장) |
36 | 예비 |
운행 노선편집
수도권편집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서울경부 ↔ 안성[11] | 금호고속[12] 동양고속 |
서울경부 | ↔ | 안성 | 주은풍림아파트, 공도, 대림동산,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안성시민회관[13], 한경대학교[13] | 15~25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3: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안중[14] | 금호고속 동양고속[12] |
서울경부 | ↔ | 안중 | 용이동, 평택대학교, 평택, 안중오거리[15] | 8회 | 06:50, 08:40, 10:20, 14:25, 16:10, 17:40, 19:05, 20:40 |
서울경부 ↔ 여주 | 동부고속 | 서울경부 | ↔ | 여주 | 여주대학교 | 20~30분 |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22:00(서울경부 기준(월~목)) 막차:22:10(서울경부 기준(금~일)) |
서울경부 ↔ 용인 | 동부고속 | 서울경부 | ↔ | 용인 | 유림동 | 20~30분 |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22: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이천 | 동부고속 | 서울경부 | ↔ | 이천 | 부발(신하리), 마장택지지구[16] | 15~3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월~금))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토~일)) 막차:22:30(서울 경부 기준) |
서울경부 ↔ 평택 | 금호고속 동양고속[12] |
서울경부 | ↔ | 평택 | 용이동, 평택대학교 | 15~25분 | 첫차: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23:05(서울경부 기준) |
강원권편집
- 2017년 8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홍천, 춘천, 철원(포천, 운천, 신철원 경유) 노선이 이 곳으로 이전되었다.[17]
- 2017년 11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영월 방면 노선이 이 곳으로 이전되었다.[18]
- 2018년 2월 8일부터 3월 19일까지 한시적으로 횡계 방면 노선이 신설되어 운행한다.[19]
- 2018년 6월 1일부터 홍천 방면 노선이 운행 폐선되었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서울경부 ↔ 강릉 | 동부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강릉 | 횡성휴게소 | 20~3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3: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동해/삼척 | 동부고속 | 서울경부 | ↔ | 삼척 | 횡성휴게소, 동해,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20] | 30~40분 |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23: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속초 | 동부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속초 | 무정차[21] | 30~6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3: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속초 (양양 경유) |
동부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속초 | 양양 | 50~60분 |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23: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영월 | 경기고속 | 서울경부 | ↔ | 영월 | 무정차 | 4회 | 10:00, 13:30, 19:00, 20:30 |
서울경부 ↔ 원주 | 동부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원주 | 문막 | 15~2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3:0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원주혁신[22] | 동부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원주혁신도시 | 문막, 원주 | 2회 | 토,일:15:00, 15:45 월:06:15, 06:45 화~목:06:30, 07:00 금:06:20, 07:10 |
서울경부 ↔ 철원 | 강원고속 | 서울경부 | ↔ | 동송 | 포천, 운천, 신철원 | 10회 | 첫차:07:00(서울경부 기준) 막차:19:5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춘천[23] | 강원고속 대원고속 |
서울경부 | ↔ | 춘천(시외) | 무정차 | 40~50분 | 첫차:06:50(서울경부 기준) 막차:21:00(서울경부 기준) |
충청권편집
- 2016년 8월 1일부터 아산행 노선 중 하루 3회 둔포를 경유하는 노선이 신설되었다.[24]
- 2018년 1월 31일부터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유 세종행 노선이 신설되었다.[25]
- 2019년 9월 1일에 구인사행 노선이 영주행 노선으로부터 분리 신설되었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서울경부 ↔ 공주 | 금호고속 | 서울경부 | ↔ | 공주 | 무정차 | 20~30분 | 첫차: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23:05(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금산 | 금호고속 삼화고속 |
서울경부 | ↔ | 금산 | 마전리(추부) | 8회 | 06:30, 08:05, 10:05, 11:30, 13:30, 15:05, 17:05, 18:40 |
서울경부 ↔ 대전복합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대전복합 | 무정차 | 5~2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00:1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대전청사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대전청사 | 도룡동[26] | 30~4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1:5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세종시[27] | 금호고속 동양고속 동부고속 중앙고속 삼화고속 금호속리산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세종 | 정부세종청사 | 15~3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4:00(서울경부 기준) |
죽전[28], 세종국책연구단지[27] | 40~60분 | 첫차:06:06(서울경부 기준) 막차:22:26(서울경부 기준) | |||||
서울경부 ↔ 아산온양 | 동양고속 | 서울경부 | ↔ | 아산 | 천안아산역[29], 서부휴게소(봉강교) | 25~5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2:40(서울경부 기준) |
둔포[30], 아산테크노밸리 | 3회 | 09:20, 15:20, 20:45 | |||||
서울경부 ↔ 제천[31] |
동부고속 | 서울경부 | ↔ | 제천 | 하소동 | 30~4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월요일))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화~일)) 막차:21:00(서울경부 기준(월~목)) 막차:21:30(서울경부 기준(금~일)) |
서울경부 ↔ 조치원 | 중앙고속 금호속리산고속 |
서울경부 | ↔ | 조치원 | 고려대학교·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 45~60분 | 첫차:06:40(서울경부 기준) 막차:20: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천안 | 동양고속 | 서울경부 | ↔ | 천안 | 천안 나들목[20] | 5~2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00:2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청주고속 | 금호속리산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청주 | 청주 나들목[20] | 10~35분 | 첫차:05:40(서울경부 기준) 막차:24:0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구인사 | 경기고속 | 서울경부 | ↔ | 구인사 | 평동, 상진리, 단양, 사평리, 영춘, 구인사 | 3회 | 09:20, 14:10, 18:00 |
영남권편집
- 2017년 7월 1일부터 센트럴시티에서 출발하던 영덕(안동 경유), 영주(풍기 경유), 예천(경북도청 경유), 온정(광비, 삼근, 울진,평해 경유) 노선이 이 곳으로 이전되었다.[32]
-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으로 고속버스 인가가 변경되어 경주, 부산, 영천, 울산, 포항 방면 노선은 선산휴게소를 경유하지 않고 2019년 4월 10일부터 낙동강휴게소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서울경부 ↔ 경주 |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경주 | 낙동강의성휴게소[33] | 60~70분 | 첫차: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23:55(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구미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구미 | 황간[34] | 25~60분 | 첫차: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22:05(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김천 | 금호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김천 | 무정차 | 7회 | 07:10, 09:05, 11:05, 12:50, 14:50, 17:10, 19:00 |
서울경부 ↔ 김해 | 고려여객 천일여객 |
서울경부 | ↔ | 김해 | 선산휴게소, 장유 | 50~70분 | 첫차:06:30(서울경부 기준) 막차:24:2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마산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마산 | 선산휴게소, 내서 | 20~40분 | 첫차:06:05(서울경부 기준) 막차:01:0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밀양[35] | 경기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밀양 | 선산휴게소 | 4회 | 08:10, 11:30, 15:10, 18:30 |
서울경부 ↔ 동대구[36]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동대구 | 선산휴게소, 서대구 | 20~3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01:30(서울경부 기준) |
선산휴게소, 신서혁신도시(한국감정원) | 2회 | 10:50, 17:40 | |||||
서울경부 ↔ 부산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부산 | 낙동강의성휴게소[33], 두실역[37] | 20~4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02:0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부산사상 |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서부산 | 선산휴게소 | 6회 | 06:40, 09:10, 11:20, 14:10, 16:30, 19:10 |
서울경부 ↔ 상주 |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상주 | 무정차 | 50~70분 | 첫차:07:00(서울경부 기준) 막차:19:4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안동 | 경기고속 대원고속 |
서울경부 | ↔ | 안동 | 무정차 | 40~70분 | 첫차: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22:0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영덕[38] | 경기고속 | 서울경부 | ↔ | 영덕 | 안동 | 3회 | 07:40, 11:00, 16:00 |
서울경부 ↔ 영주 | 경기고속 코리아와이드경북 |
서울경부 | ↔ | 영주 | 풍기[39] | 90분 | 첫차:07:10(서울경부 기준) 막차:20:40(서울경부 기준) |
3회 | 09:10, 13:50, 18:10 | ||||||
서울경부 ↔ 영천 | 천일고속 | 서울경부 | ↔ | 영천 | 낙동강의성휴게소[40], 망정동[41] | 5회 | 07:30, 10:00, 13:05, 15:40, 18:50 |
서울경부 ↔ 예천[42] | 경기고속 | 서울경부 | ↔ | 예천 | 무정차 | 2회 | 12:20, 18:20 |
경북도청[43] | 1회 | 07:00 | |||||
서울경부 ↔ 온정[44] | 경기고속 | 서울경부 | ↔ | 온정 | 광비, 삼근, 울진, 평해, 후포 | 2회 | 07:30, 13:40 |
서울경부 ↔ 울산 | 금호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울산 | 낙동강의성휴게소[33], 신복 | 30~4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4:35(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점촌 |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점촌 | 무정차 | 60~80분 | 첫차:06:50(서울경부 기준) 막차:20:2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진주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진주 |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20~6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24:10(서울경부 기준) |
인삼랜드휴게소, 진주혁신도시[45] | 3회 | 06:20, 12:40, 19:05 | |||||
서울경부 ↔ 창원 | 동양고속 중앙고속 |
서울경부 | ↔ | 창원 | 선산휴게소, 창원역 | 25~35분 | 첫차:06:10(서울경부 기준) 막차:24: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통영 | 고려여객 천일여객 |
서울경부 | ↔ | 통영 | 인삼랜드휴게소 | 40~70분 | 첫차:06:20(서울경부 기준) 막차:24:30(서울경부 기준) |
서울경부 ↔ 포항 | 동양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포항 | 낙동강의성휴게소[33], 포항시청 | 30~40분 | 첫차:06:00(서울경부 기준) 막차:01:00(서울경부 기준) |
학생 할인편집
본래 고속버스는 학생 할인이 없이 운행하나 일부 노선에 한해 운행 회사 재량에 따라 학생할인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은 2015년 기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 학생 할인이 가능한 노선 목록이다.[46]
구분 | 이용 가능 노선 |
---|---|
대학생 | 조치원, 안성(경유지), 여주(여주대), 평택(평택대), 영천, 제천, 용인(유방동), 청주, 천안, 동해[47], 삼척[47], 아산(온양), 횡계[48] |
중·고등학생 | 조치원, 안성(경유지), 여주(여주대), 평택(평택대), 영천[49], 제천, 용인(유방동), 청주, 천안, 속초(양양), 아산(온양), 이천, 동해, 삼척, 구미, 창원, 마산, 진주, 포항[50] |
연계 교통편집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 고속터미널역
사진편집
각주편집
- ↑ 한가위 연휴 첫 날…고속터미널 귀성객 '북적', 연합뉴스TV, 2018년 9월 22일 작성.
- ↑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경기: 한울. 293쪽. ISBN 9788946049185.
- ↑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3》. 경기: 한울. 300쪽. ISBN 9788946049185.
- ↑ 高速(고속)·市外(시외)버스 綜合(종합)터미널 반포洞(동)등 3곳에新設(신설), 동아일보, 1975년 6월 28일 작성.
- ↑ 江南(강남) 종합버스터미널 起工(기공), 경향신문, 1976년 4월 8일 작성.
- ↑ 江南(강남) 綜合(종합)버스터미날 具(구)서울市長(시장)참석 개장, 매일경제, 1976년 9월 1일 작성.
- ↑ 7월1일까지 高速(고속)버스터미널 江南(강남)으로 移轉(이전) 仁川(인천)·水原線(수원선)제외, 매일경제, 1977년 4월 2일 작성.
- ↑ 高速(고속)버스「터미널」 모두江南(강남)으로이전, 매일경제, 1977년 8월 20일 작성.
- ↑ 盤浦(반포)고속버스터미널 신축계획確定(확정), 동아일보, 1979년 5월 23일 작성.
- ↑ 새高速(고속)버스터미널 준공 京釜(경부)·邱馬線(구마선) 발착, 동아일보, 1981년 10월 20일 작성.
- ↑ 전환시외 노선이다.
- ↑ 가 나 다 명절 기간에 단독으로 운행한다.
- ↑ 가 나 일부시간에 정차한다.(06:05~09:00, 11:00~12:55), 17:30~19:55
- ↑ 2019년 1월 2일 신설. 평택행 노선이 연장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 ↑ 동양고속이 운행하는 시간대만 정차하며, 금호고속이 운행하는 시간대는 정차하지 않는다.
- ↑ 1일 4회 경유하며, 마장면 오천리에서 중간 승하차하고 신하리를 경유하지 않는다. 덕평IC를 이용한다.
- ↑ 서울 – 홍천, 춘천, 철원(포천, 운천, 신철원)이전 노선 추가 안내 Archived 2017년 8월 2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년 7월 24일 작성.
- ↑ 노선 경유지 추가 및 신규 노선 운행 안내 Archived 2017년 12월 7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년 10월 27일 작성.
- ↑ 서울- 횡계 노선 운행 안내 Archived 2018년 2월 9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시항, 2018년 1월 30일 작성.
- ↑ 가 나 다 하차만 가능하다.
- ↑ 2010년 11월 3일 부로 미시령 경유로 변경되어 횡성휴게소는 경유하지 않는다.
- ↑ 2015년 12월 22일 신설.
- ↑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이 아니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한다.
- ↑ 아산 둔포 경유 서울행 고속버스 운행 시작, 충청투데이, 2016년 8월 2일 작성.
- ↑ 세종시 신설 노선 운행 안내 Archived 2018년 2월 9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8년 1월 23일 작성.
- ↑ 2015년 12월 1일부터 일부 시간에 추가 경유한다.
- ↑ 가 나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유 노선은 2018년 1월 31일에 신설되었다.
- ↑ 서울방향 하차만 가능하다.
- ↑ 2013년 4월 15일 부터 추가 경유
- ↑ 둔포농협 동부지점 앞에 정차한다. 2016년 8월 1일부터 신규 운행.
- ↑ 서울경부~제천고속 프리미엄 우등고속버스가 5월 29일 운행 개시(07시(원주 6시 30분) , 10시, 13시 30분,16시 40분,20시).
- ↑ 서울-안동(영덕), 영주(풍기), 예천(경북도청), 울진(평해,백암온천) 노선 이전 안내 Archived 2017년 7월 27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공지사항, 2017년 6월 29일 작성.
- ↑ 가 나 다 라 본래 선산휴게소에 정차했으나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으로 2017년 6월 28일부터 선산휴게소 정차가 중지되었으며, 2019년 4월 10일부터 낙동강휴게소 정차로 변경되었다.
- ↑ 1일 3회 운행.(06:40, 11:40, 16:40) 경부고속도로변의 간이 정류장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 ↑ 2016년 5월 4일 신설.
- ↑ 대구혁신도시 경유 노선은 2018년 3월 1일 신설되었으며, 한국감정원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 ↑ 23시 이후에 도착하는 차량은 두실역 중간 하차가 가능하다.
- ↑ 2015년 8월 13일 신설되었다.
- ↑ “영주~서울 고속버스 풍기IC 입구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2014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30일에 확인함.
- ↑ 2019년 4월 10일부터 정차한다.
- ↑ 2017년 11월 20일부터 망정동 창신아파트에서 추가 정차한다.
- ↑ 2012년 1월 1일 신설되었다.
- ↑ 2016년 2월경 신설.
- ↑ 2014년 7월 29일 신설되었다.
- ↑ 2016년 6월 27일 신설, 진주혁신도시 경유 노선은 개양을 경유하지 않는다.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고객센터 > 자주하는질문 > 10. 할인혜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Archived 2016년 10월 21일 - 웨이백 머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 가 나 우등 노선만 가능하다.
- ↑ 횡계발 노선에만 가능하다.
- ↑ 청소년증으로 할인받을 수 없다.
- ↑ 2015년 12월 1일부터 시행.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