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 소속 통근형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서울교통공사통근형 전동차이며 2023년 현재 총 8량 56개 편성(448량)이 운행하고 있다. 764-772편성은 인천 연장분으로서 인천교통공사 소유의 전동차이다.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762 편성 (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762 편성 (서울교통공사 로고 변경 전)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제작 연도 1995년: 701~702
1996년: 703~717
1999년: 718~752(1~3번 칸), 763
2000년: 753~762
2020년: 771~772
2021년~2022년: 701 (2)~717 (2)
생산량 68개 편성 544량
사용량 56개 편성 448량
제원
전장 19,500 mm
전폭 3,120 mm
전고 3,600 mm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제어 방식 1차분: VVVF-GTO GEC-(Alstom) 1C4M제어
2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4차분: VVVF-IGBT(다원시스) 1C4M제어
5차분: VVVF-IGBT PMSM(도시바)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ATC/ATO 구간 8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3.5(상용), 4.5(비상) km/h/s
전동기 출력 210 kW
편성 출력 4200 kW
구동 장치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보안 장치 ATC/ATO [수동운전]

기술적 사양 편집

1~2차분 전동차는 당시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유사하며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1~2차분과는 아예 똑같은 전동차다.

TGIS 모니터 탑재 편집

열차정보제어엔 TCMS를 사용하고 있으며, ATO를 사용한 1인 승무 구조로 되어 있다. 8호선 차량은 전 차량에 공중파 방식의 승강장 감시용 모니터를 추가로 장비하고 있다.

객실 편집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차량의 내연기준에 따라 2004년~2005년까지 전 차량의 내장재 리뉴얼이 완료되었다.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재질로 교체되었으며, 단열재는 기존의 폼 소재에서 유리솜으로 객차간 통로의 차단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서 불연 고무 재질로 교체되었다. 객실 내장판은 기존의 FRP 수지에서 세라믹 도료를 덧씌운 금속 재질로 변경되었다. 그 외에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인터컴 등이 보강되었으며, 1차 도입분의 객실 유리창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고 도입 당시의 상부 개폐식에서 통유리로 교체되었다.

이후 2010년에 전 차량에 대하여 안장 부분에 난연재 소재의 모켓 시트가 추가 설치되었으며, SMRT-MALL 사업의 일환으로 객실 내 LED 전광판이 LCD 모니터로 교체되었다. 또한 방송장치가 통합 설정기로 교체되어 방송 음질이 다소 향상되었으며, 측면 LED 행선 표시기는 스크린도어의 설치로 보기 어렵게 된 사유로 한동안 작동시키지 않은 채 운행하다가 뒤이어 측면 행선 표시기를 제거한 후 그 자리에 2대 사업자의 와이파이 AP(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서 5~7회에 달하여 송출된 발차 경고음 '딩동' 소리의 타이밍 등이 대폭 수정되었다.

편성 구조 편집

◇◇ ◇◇
70XX 77XX 76XX 75XX 74XX 73XX 72XX 71XX
Tc M2 M1' T T M2 M1' Tc
←석남 ※XX는 편성 번호 장암→
차량번호 설치된 전장품
70XX Tc(SIV, 축전지)
77XX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76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75XX T(무동력객차)
74XX T(무동력객차)
73XX M2(공기압축기,주변환장치)
72XX M1(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71XX Tc(SIV, 축전지)

도입 역사 편집

2023년 12월 1일(금) 기준으로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를 포함하여, 72편성 / 576량이 재적되어 있다.

1차 도입분 (1995년 12월~1996년 6월) 편집

해당 편성: 701~717편성 (17편성, 136량)
제작사: 대우중공업 (현.현대로템)

1996년 9월 20일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과 함께 17개 편성이 도입됐다. 도입 당시 전두부 도색이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형태의 일자형 도색이 사용됐으나,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2차 도입분과 동일한 곡선형 형태로 변경됐다. 추진제어 장치는 GEC-Alstom사의 VVVF-GTO 방식이 장착됐다.[1]

2차 도입분 (1999년 1~12월) 편집

해당 편성: 718~763편성 (46편성, 368량)
제작사: 한진중공업 (현.현대로템)

2000년 2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46개 편성이 도입됐다.[2] 1999년 11월부터 운행을 개시했다.[3] 외형은 비드를 제거한 2시트 스테인레스 차체를 적용했으며 객실 창문은 차량 노약자석을 제외하면 일체형 복층 통유리를 적용했다. 추진제어 장치는 도시바 VVVF-IGBT 2레벨 3상 전압형 PWM 인버터(SVF35-A0)와 210 KW급 전동기(3H3V2195형)를 채용했다.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서울교통공사) 최초로 CI도색을 적용했고, 도입 당시부터 휠체어·유모차 공간이 마련됐다. 실내의 경우는 1차 도입분과 큰 차이가 없다.

3차 도입분 (2010년 11월~2011년 2월) 편집

해당 편성: 764~770편성 (7편성, 56량)
제작사: 로윈 (현.다원시스)

4차 도입분 (2020년 1~4월) 편집

해당 편성: 771~772편성 (2편성, 16량)
제작사: 다원시스

2021년 3월 25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연장선 개통과 함께 도입됐다. 2개 편성이 다원시스에서 제작되어 도입됐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KECIGBT 소자를 기반으로, 다원시스에서 자체 개발한 인버터를 채용했다. 인천교통공사 수탁 취급이기 때문에 2027년 개통된 청라 연장선 개통에 대비해 별도의 차량기지를 건설할 필요 없이 그대로, 천왕차량기지 규모 확충만으로도 상호 간 부품 공통화 등의 효율성이 한층 제거됐다.

5차 도입분 (2021년 8월~2022년 9월) 편집

해당 편성: 701~717편성 (17편성, 136량)
제작사: 우진산전

1995년 12월부터 1996년 6월까지 도입된 1차분 전동차 교체와 함께 도입된 전동차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도시바가 개발한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GBT를 채용했으므로,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를 비롯한,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과 동일한 구동음이다.

구분 편집

  • 행선 안내 게시기 (전면): 1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작고 2차 도입분은 행선 안내 표시기의 넓이가 크다.
  • 창문 모양: 1차 도입분은 객실 창문이 2개로 나뉘었으나 2차 도입분은 일체형 통유리로 되어 있다.
  • 측면 모양: 1차 도입분은 측면의 운전실 창문의 줄 색깔이 은회색과 2차 도입분은 검은색이다.
  • 옆면 모양: 1차 도입분은 노선 표현 도색의 가운데에 흰색 띠가 없으나 2차 도입분은 가운데에 흰색 띠가 있다. 다만 726편성은 1차분처럼 흰색 띠 없이 운행하고 있다.
  • 불연 내장재 교체: 1차 도입분은 도봉차량기지로 흥일기업에서 직원을 파견하여 시행하였으며, 2차 도입분은 현대로템 의왕공장으로 차량을 운송하여 작업을 시행하였다.

배속 편집

현재 운행구간 편집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7호선 1차분 차량 중 705, 709편성은 늦어도 2024년 하반기까지 운행을 모두 종료하고 폐차될 예정이다.

1~2차분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구 701 편성 1995년 2022년
구 702 편성 2023년
구 703 편성 1996년
구 704 편성
구 705 편성 2024년 예정
구 706 편성 2023년
구 707 편성
구 708 편성
구 709 편성 2024년 예정
구 710 편성 2023년
구 711 편성
구 712 편성
구 713 편성 2022년
구 714 편성 2023년
구 715 편성 2022년
구 716 편성 2023년
구 717 편성 2022년
718 편성 1999년 운행 중
719 편성 운행 중
720 편성 운행 중
721 편성 운행 중
722 편성 운행 중
723 편성 운행 중
724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25 편성 운행 중 7125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726 편성 운행 중
727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28 편성 운행 중
729 편성 운행 중
730 편성 운행 중
731 편성 운행 중
732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33 편성 운행 중
734 편성 운행 중
735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36 편성 운행 중
737 편성 운행 중
738 편성 운행 중
739 편성 운행 중
740 편성 운행 중
741 편성 운행 중
742 편성 운행 중
743 편성 2000년 운행 중
744 편성 운행 중
745 편성 운행 중
746 편성 운행 중
747 편성 운행 중 에어커튼이 시범 운행 중에 있다.
748 편성 운행 중
749 편성 운행 중
750 편성 운행 중
751 편성 운행 중
752 편성 1999년 운행 중
753 편성 2000년 운행 중
754 편성 운행 중
755 편성 운행 중
756 편성 운행 중
757 편성 운행 중
758 편성 운행 중
759 편성 운행 중
760 편성 운행 중
761 편성 운행 중
762 편성 운행 중
763 편성 1999년 운행 중

3차분 편집

4차분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771 편성 2020년 운행 중 인천교통공사 수탁 관리한 증차분으로 도입되었다.
772 편성 운행 중

5차분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701 편성 2021년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702 편성 운행 중
703 편성 운행 중
704 편성 운행 중
705 편성 운행 중
706 편성 운행 중
707 편성 운행 중
708 편성 2022년 운행 중
709 편성 운행 중
710 편성 운행 중
711 편성 운행 중
712 편성 운행 중
713 편성 운행 중
714 편성 운행 중
715 편성 운행 중
716 편성 운행 중
717 편성 운행 중

특이사항 편집

7호선 방화 사건에 따른 차량 이적 편집

2005년 1월 3일에 일어난 방화 사건으로 인하여 752편성의 8량 중 3량이 전소되었다. 전소된 3량 중 Tc 차량은 천왕차량사업소 열차 운행 체험·교육실로 활용되고, 2량은 도봉차량사업소에 보존되었다. 752편성의 나머지 5량은 822편성에서 차출된 3량과 재편성되어 운행을 재개하였다. 822편성에서 남은 3량 중 부수차량 2량과 821편성 6량은 2010년 763편성으로 재편성되어 763편성으로서 7호선에 차출·투입되었으며, 822편성에 남은 8022호는 서울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모형 차량으로 활용되었다.

측면 안내 표시기 작동 중단 편집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모든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를 철거하고, 서울교통공사 로고를 부착 되었다. 7호선 3차 도입분부터는 도입당시부터 측면 행선안내 표시기가 없는 상태로 도입되었다.

자전거 전용칸 개조 편집

2009년 7호선 2차분 724, 727, 732~733, 735편성은 열차 양 끝 칸맨 앞에 자전거 거치대 설치가 이루어졌다. 7호선 3차분 764~770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된 채로 도입되었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