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의 행정 구역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서울 도봉구의 행정 구역에서 넘어옴)
도봉구의 행정 구역은 14개의 행정동과 385통 2,926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봉구의 면적은 20.84km2로 서울시의 3.44%에 해당한다. 도봉구의 인구는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138,263 세대, 363,565 명이다.[1]
행정 구역편집
행정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쌍문1동 | 雙門1洞 | 1.24 | 8,589 | 22,170 |
쌍문2동 | 雙門2洞 | 0.54 | 8,520 | 21,739 |
쌍문3동 | 雙門3洞 | 0.50 | 7,664 | 18,738 |
쌍문4동 | 雙門4洞 | 0.52 | 7,476 | 21,655 |
방학1동 | 放鶴1洞 | 0.69 | 12,343 | 32,102 |
방학2동 | 放鶴2洞 | 0.74 | 9,771 | 23,967 |
방학3동 | 放鶴3洞 | 2.64 | 10,849 | 32,199 |
창1동 | 倉1洞 | 0.88 | 10,862 | 28,540 |
창2동 | 倉2洞 | 1.07 | 11,911 | 31,623 |
창3동 | 倉3洞 | 0.67 | 6,573 | 15,887 |
창4동 | 倉4洞 | 0.96 | 11,069 | 30,881 |
창5동 | 倉5洞 | 0.70 | 10,092 | 27,871 |
도봉1동 | 道峰1洞 | 8.72 | 10,581 | 24,672 |
도봉2동 | 道峰2洞 | 0.83 | 11,963 | 31,521 |
도봉구 | 道峰區 | 20.70 | 138,263 | 363,565 |
법정동편집
행정동명 | 설명 | 법정동명 | 설명 |
---|---|---|---|
쌍문1동 | 1980년 일부 지역이 쌍문3동으로 분동되었다. | 쌍문동 |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지역이었고, 1914년 양주군 노해면에 속하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쌍문동이 되었고, 1973년부터 도봉구 관할로 되었다. |
쌍문2동 | 1991년 일부 지역이 쌍문4동으로 분동되었다. | ||
쌍문3동 | 1980년 쌍문1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 | ||
쌍문4동 | 1991년 쌍문2동으로부터 분동되었다. | ||
방학1동 | 1975년 도봉동에서 분동하였다. | 방학동 |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지역이었고, 1914년 양주군 노해면에 속하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방학동이 되었고, 1973년부터 도봉구 관할로 되었다. |
방학2동 | 1980년 방학1·2동으로 분동하였다. | ||
방학3동 | 1988년 방학2동이 다시 2·3동으로 분동되었다. 1994년 방학4동으로 분동되었다가, 2008년 다시 합동하였다. | ||
창1동 | 창동 |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지역이었고, 1914년 양주군 노해면에 속하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창동이 되었고, 1973년부터 도봉구, 1988년부터 노원구, 1989년 다시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 |
창2동 | 1977년 창동이 창1·2동으로 분동되었다. | ||
창3동 | |||
창4동 | 1989년 신설하였다. | ||
창5동 | 1991년 신설하였다. | ||
도봉1동 | 1975년 도봉동에서 방학동이 분동되었다. | 도봉동 |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지역이었고, 1914년 양주군 노해면 도봉리로 되었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도봉동이 되었고, 1973년 도봉구 관할로 되었다. 1988년부터 노원구 관할이었다가 1989년 다시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
도봉2동 | 1977년 도봉동이 도봉1·2동으로 분동되었다. |
연혁편집
- 1973년 7월 1일 성북구로부터 미아동·번동·수유동·우이동·창동·월계동·쌍문동·상계동·중계동·도봉동·방학동·공릉동·하계동을 분리하여 도봉구가 설치되었다.[2] 수유3동을 신설하였다. (22행정동 13법정동)
- 1975년 10월 1일 동명칭과 관할구역 변경이 있었다. (24행정동)
- 1977년 9월 1일 미아8동, 번2동, 수유5동, 창2동, 도봉2동을 신설하였다. (29행정동)
- 1980년 7월 1일 동사무소 신설이 있었다. (35행정동)
- 1985년 9월 1일 상계5동을 신설하였다. (36행정동)
- 1988년 1월 1일 도봉구 중 도봉동·상계동·하계동·중계동·월계동·공릉동·창동을 관할로 노원구가 설치되었다.[3] (20행정동 6법정동)
- 1988년 7월 1일 방학3동을 선설하였다. (21행정동)
- 1989년 1월 1일 노원구 중 도봉동, 창동이 다시 도봉구 관할로 바뀌었다. (26행정동 8법정동)
- 1989년 6월 1일 창4동을 신설하였다. (27행정동)
- 1991년 9월 1일 미아9동, 번3동, 쌍문4동, 창5동을 신설하였다. (31행정동)
- 1994년 11월 4일 수유6동, 방학4동을 신설하였다. (33행정동)
- 1995년 3월 1일 도봉구 중 미아동, 번동, 수유동, 우이동을 관할로 강북구가 설치되었다.[4] (15행정동 4법정동)
- 2008년 2월 18일 방학4동이 방학3동에 합동되었다. (14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