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응

서재응(徐在應, 1977년 5월 24일 ~ )은 전 KBO 리그 KIA 타이거즈투수이자, 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의 잔류군 코치이다.

서재응
Seo Jae-Weong
KIA 타이거즈 No.98
Baseball pictogram.svg
Jae Weong Seo in Tampa Bay Rays.jpg

2006년 탬파베이 레이스 시절

기본 정보
국적 대한민국
생년월일 1977년 5월 24일(1977-05-24)(45세)
출신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신장 181 cm
체중 97 kg
선수 정보
투구·타석 우투우타
수비 위치 투수
프로 입단 연도 1997년
드래프트 순위 1996년 고졸우선지명(해태 타이거즈)
첫 출장 MLB / 2002년 7월 21일
뉴욕신시내티
KBO / 2008년 4월 1일
광주두산
마지막 경기 MLB / 2007년 5월 29일
KBO / 2015년 8월 17일
잠실LG전 선발
계약금 8억원
경력

선수 경력

코치 경력

해설자 경력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WBC 2006년 샌디에이고
2013년 타이중
아시안게임 1998년 방콕
아시아선수권 1997년 타이베이
아시아 U18 1996년 마닐라

선수 시절편집

아마추어 시절편집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고 팀 해태 타이거즈의 고졸 우선 지명을 받았으나, 인하대학교에 입학했다. 인하대학교 시절 방콕 아시안 게임에 참가해 금메달을 획득했고, 병역을 해결했다. 인하대학교를 중퇴하고 형인 서재환과 함께 메이저 리그 팀 뉴욕 메츠에 입단했다.

미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뉴욕 메츠 시절편집

마이너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2002년 7월 21일 메이저로 승격돼 신시내티전에 등판했다.[1]2006년 WBC를 앞두고 소속 팀의 반대[2]에도 국가대표팀에 합류했던 그는 WBC 대회 전이었던 2006년 1월 5일 투수 팀 해믈럭과 함께 두아너 산체스, 스티브 슈몰을 상대로 LA 다저스에 2:2 트레이드됐다.[3]

LA 다저스 시절편집

메이저 19경기(선발 10경기)에 등판해 트레이드 전까지 2승 4패, 5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2006년 5월 23일 콜로라도전까지 2경기 연속, 시즌 5번째 QS를 기록하다가 5월 28일 워싱턴전에서 2.2이닝 6실점하며 난조를 보인 뒤 오달리스 페레스에게 선발 자리를 내주고 불펜으로 강등됐다. 그 해 6월 28일, 이적 5개월 23일만에 포수 디오네르 나바로와 함께 투수 마이크 헨드릭슨, 포수 토비 홀을 상대로 탬파베이 데블레이스에 다시 트레이드됐다.[4]

탬파베이 데블레이스 시절편집

1년 6개월간 활동하다가 2007년에 방출됐다. 메이저 리그 통산 118경기에 등판해 28승 40패,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방콕 아시안 게임 이후 미국 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 WBC에도 참가했고, 미국 메이저 리그를 거친 한국 출신 투수들 중 박찬호, 김병현 다음으로 메이저 리그 경기에 많이 출전했다.[5]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KIA 타이거즈 시절편집

미국 생활에 한계를 느껴 일본 진출을 고려했으나 고향 팀으로 돌아오기로 결정[6]했고, 귀국 후 2007년 12월 17일 계약금 8억원, 연봉 5억원, 옵션 2억원 등 총 15억원의 조건에 그를 지명했던 팀과 계약했다.[7] 첫 해에는 허벅지, 팔꿈치 부상으로 5승 5패에 머물렀고 2009년에는 스윙맨으로 주로 등판했다. 2009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는 정근우와 강한 신경전을 벌여 벤치 클리어링이 벌어졌다.[8]2010년에는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했다. 2012년 10월 1일 롯데 자이언츠를 상대로 2경기 연속 완봉승, 44이닝 선발 연속 무실점 신기록을 달성하며, 시즌 9승을 기록했다. KBO 데뷔 후 최고 성적인 9승 7패,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2년 시즌 후 은퇴를 선언한 박재홍의 후임으로 2013년 선수협 회장으로 선출됐다.[9] 그의 생일이었던 2013년 5월 24일 NC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4이닝 9피안타, 3볼넷을 허용해 역대 최다 실점 타이인 10실점을 기록하고 조기 강판됐다.[10]2013년 시즌 5승 9패, 6점대 평균자책점에 그쳐 KBO 리그 복귀 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선발과 중간 계투를 오갔지만, 해가 갈수록 등판 기회가 줄었다. 2015년 시즌 후 5,000만원 삭감된 7,000만원에 연봉 계약을 맺고 2016년 시즌까지 활동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스프링캠프 도중인 2016년 1월 28일에 은퇴를 선언했다.[11]

야구선수 은퇴 후편집

2016년 2월 11일SBS 스포츠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선출됐다.[12]2017년 12월 19일KIA 타이거즈 불펜코치로 계약을 맺고 친정 팀에 복귀했다.

가족편집

별명편집

  • 같은 팀 선수가 홈런을 치거나 안타를 치면 덕 아웃에서 응원을 해 '응원단장'이라고 불렸다. 현재는 훈련은 안 하고, 응원만 한다며 비꼬는 용도로 쓰인다.
  • 안 좋은 피칭을 보일 때 재앙을 일으킨다고 해 '서재앙'이라고 불린다.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4














W
H
I
P
2002 NYM 26 0 0 ---- 0.00 1 0 0 0 0 0 1.0 0 0 0 0 1 0 0 0 0 0 3 0.00
2003 27 9 12 .429 3.82 32 31 0 0 0 0 188.1 193 18 46 11 110 6 0 2 94 80 806 1.27
2004 28 5 10 .333 4.90 24 21 0 0 0 0 117.2 133 17 50 7 54 2 1 0 67 64 512 1.56
2005 29 8 2 .800 2.59 14 14 1 0 0 0 90.1 84 9 16 0 59 1 0 2 26 26 363 1.11
2006 LAD 30 2 4 .333 5.78 19 10 0 0 0 0 67.0 75 14 25 1 49 1 1 1 45 43 296 1.49
TBD 30 1 8 .111 5.00 17 16 0 0 0 1 90.0 122 17 31 3 39 3 0 4 56 50 411 1.70
06합 30 3 12 .200 5.33 36 26 0 0 0 1 157.0 197 31 56 4 88 4 1 5 101 93 707 1.61
2007 31 3 4 .429 8.13 11 10 0 0 0 0 52.0 84 11 16 1 28 4 0 1 53 47 248 1.92
2008 KIA 32 5 5 .500 4.08 16 14 0 0 0 0 79.1 90 7 25 0 45 4 0 1 37 36 346 1.45
2009 33 5 4 .556 6.13 21 15 0 0 0 0 79.1 101 12 30 1 53 8 0 2 56 54 367 1.65
2010 34 9 7 .563 3.34 24 23 0 0 0 0 140.0 134 10 29 1 68 11 0 1 53 52 572 1.16
2011 35 8 9 .471 4.28 30 22 1 0 2 2 130.1 144 7 36 3 84 11 0 3 68 62 562 1.38
2012 36 9 8 .529 2.59 29 27 2 2 0 0 160.0 143 7 51 5 97 7 0 0 51 46 663 1.21
2013 37 5 9 .357 6.54 19 16 0 0 0 0 84.0 116 5 33 3 36 4 0 3 69 61 394 1.77
2014 38 0 2 .000 6.40 16 1 0 0 0 2 32.1 45 6 10 0 18 3 0 0 25 23 152 1.70
2015 39 1 4 .200 4.95 9 9 0 0 0 0 40.0 52 5 8 0 16 5 0 1 23 22 174 1.50
MLB 통산 : 6년 28 40 .412 4.60 118 102 1 0 0 1 606.1 691 86 184 23 340 17 2 10 341 310 2639 1.44
KBO 통산 : 7년 42 48 .467 4.30 164 127 3 2 2 4 745.1 825 59 222 13 417 53 0 11 382 356 3230 1.41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