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다. 1604년 선조 37년 6월 25일 한양에서부터 의주(義州)까지 시종 어가(御駕)를 모신 사람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삼고, 왜적을 정벌한 제장(諸將)들과 군량을 주청하러 간 사신들 18명을 선무공신(宣武功臣)으로 삼았다.[1] 선무공신은 1등, 2등, 3등이 있으며, 각각 다음과 같다.
1등 공신
편집1등공신은 효충장의적의협력 선무공신(孝忠仗義迪毅協力 宣武功臣)이라는 호가 부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3명이 있다.
2등 공신
편집2등공신은 효충장의협력 선무공신(效忠仗義協力 宣武功臣)이라는 호가 부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5명이 있다.
3등 공신
편집3등공신은 효충장의 선무공신(效忠仗義 宣武功臣)이라는 호가 부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10명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선조수정 37년 (1604년 6월 25일). “공신을 3등급으로 나누어 대대적으로 봉하다”. 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