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음화 자음

위키백과 동음이의어 문서
(선비음화에서 넘어옴)

선비음화 자음(先鼻音化子音, 영어: prenasalized consonant)은 음성학적인 비음장애음 연쇄가 음운론적으로 하나의 자음처럼 행동하는 것을 가리킨다. 선비음화 자음을 두 자음의 연쇄가 아니라 하나의 자음으로 취급하는 이유는 주로 이 소리들의 음운론적 행동 때문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선비음화 자음과 단순한 연쇄를 구분하는 음성학적 근거가 존재하기도 한다. 선비음화 마찰음은 선비음화 파열음·파찰음에 비해 조음하기 어려우므로 보다 드물고, 전자가 존재하는 언어에는 후자도 존재한다.[1]

대부분의 언어에서, 선비음화 자음이 ‘무성음’이라고 하는 경우 구강음 부분만이 무성음이고 비음 부분은 유성음이다. 예를 들어 어떤 언어에는 ‘유성’ 선비음화 자음 [ᵐb ⁿd ᶯɖ ᶮɟ ᵑɡ]와 ‘무성’ 선비음화 자음 [ᵐp ⁿt ᶯʈ ᶮc ᵑk]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민난어 방언에서는 유성 장애음이 무성 선비음화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소리는 [ᵐ̥b ⁿ̥d ⁿ̥ɺ ᵑ̊ɡ]로 표기하기도 한다.[2]

선비음화 파열음과 구별되는 개념으로 후파열음화 비음(後破裂音化鼻音, 영어: post-stopped nasal)을 상정하기도 한다. 이는 구강 개방되는 비음을 가리키며 아체어/mᵇ nᵈ ɲᶡ ŋᶢ/와 같은 소리나 그와 비슷한 여러 중국어 방언의 소리들이 그 예이다.[3] (그러나 어떤 중국어 방언의 경우, 후행 모음까지 비음화가 이어지는 점으로 보아 이들 비음은 구강 개방된다기보다는 부분적으로 탈비음화된다고 보는 쪽이 적절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선비음화 파열음과 후파열음화 비음이 대립하는 언어는 없다. 둘 사이의 차이는 비음과 장애음의 상대적 길이에 있다. 전자는 짧은 비음 뒤에 긴 장애음이 오고, 후자는 긴 비음 뒤에 짧은 장애음이 오는 것이다.[4]

지리적 분포 편집

아프리카 편집

반투어군 언어들은 선비음화 자음으로 유명하다. ‘Bantu’라는 이름에서 ‘nt’도 선비음화 자음의 예이다. 반투어군 밖에도 수많은 아프리카 언어에 선비음화 자음이 나타난다.

동아시아 편집

차오저우어 등 여러 민난어 방언에도 선비음화 자음이 나타난다. 민난어의 선비음화 자음은 중고 한어의 비음에서 나왔고, 따라서 우어샹어의 유성 장애음과는 역사적 기원이 다르다.

선비음화 자음은 이어나시어이어군 언어에서도 널리 쓰인다. 다음 표는 북부 이어에 나타나는 선비음화 자음의 예시이다. (아래 음성 전사에서 ɿ성절 마찰음 [z̩] 또는 [ʐ̩]를 나타낸다.)

이 문자 공식 병음 국제 음성 기호
nbo [ᵐbo˧] 치마
ndo [ⁿdo˧] 마시다
mge [ᵑgɤ˧] 메밀
nzy [ⁿd͡zɿ˧] 통제
nry [ⁿɖ͡ʐɿ˧]
nji [ⁿd͡ʑi˧] 빠르다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몽몐어족 언어에도 선비음화 자음이 나타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ilverman (1995:65)
  2. Chan (1987) "Post-stopped nasals in Chinese: an areal study", UCLA WPP #68
  3. Chan (1987) Post-stopped nasals in Chinese: an areal study
  4. Cohn (1990) "Phonetic and Phonological Rules of Nasalization",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76, p. 7.

참고 문헌 편집

  • Silverman, Daniel (1995), “Optional, conditional, and obligatory prenasalization in Bafanji”, 《Journal of West African Languages》 25: 5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