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릉역
한국철도공사 분당선, 서울지하철 9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선정릉역(Seonjeongneung station, 宣靖陵驛)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다.
선정릉
| |
---|---|
역명판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지하580 |
좌표 | 북위 37° 30′ 16″ 동경 127° 1′ 27.9″ / 북위 37.50444° 동경 127.024417° |
개업일 | 2015년 3월 28일 |
역 번호 | 927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개화 기점 28.7 km | |
|
선정릉
| |
---|---|
역명판(변경 전)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수서관리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지하580 |
개업일 | 2012년 10월 6일 |
역 번호 | K214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 | |
청량리 기점 8.4 km | |
|
역사편집
구조편집
개통은 분당선이 앞섰으나, 당초부터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및 환승을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은 기존 분당선 역에 증설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하며, 독자적인 출입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개찰구는 두 역 모두 각각 지하 1층에 위치하며, 지하 4층에는 환승통로와 환승개찰구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수인분당선이 지하 5층에,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지하 3층에 각각 위치한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수인분당선 승강장편집
↑ 강남구청 |
2 | | 1 |
선릉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선릉 · 모란 · 죽전 · 기흥 · 수원 · 인천 방면 |
---|---|---|
2 | 강남구청 · 압구정로데오 · 서울숲 · 왕십리 방면 |
9호선 승강장편집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언주↑ |
상 | | 하 |
↓삼성중앙 |
하행 | ● 서울 지하철 9호선 | 신논현 · 노량진 · 김포공항 · 개화 방면 (일반, 급행) |
---|---|---|
상행 | 종합운동장 · 석촌 · 올림픽공원 ·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 급행) |
역 주변편집
-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 강남도서관
- 강남구보건소
- 라마다서울호텔
- 선정릉
- 삼성동 우체국
- 삼성2동행정복지센터
- 언주역 방면
- 블록베리크리에이티브
- 마루기획
- 메이크어스 엔터테인먼트
- IHQ
- 해피페이스 엔터테인먼트
- 역삼우편취급소
-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국문화재재단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 해청우편취급국
역명에 관한 이야기편집
2011년 이전 이 역의 가칭은 삼릉역(三陵驛)이었으나 서울교외선의 삼릉역(三陵驛)과 이름이 같아 역명 중복으로 인해 지정되지 못했다. 2012년 8월 역명 제정심의를 통해 강남구가 명칭을 신선릉역(新宣陵驛)으로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부 문화재와 도시전문가들의 의견 충돌 문제 및 역명 논란으로 인해 다시 의견을 요청한 결과, 선정릉역(宣靖陵驛)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사진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분당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10월 6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87일치만이, 9호선의 2015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5년 3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279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분당선 | 승차 | 5,175 | 7,264 | 8,398 | 7,882 | 7,929 | 19,571 | 7,735 | 7,857 | 6,301 | 6,433 | 6,562 | [2] |
하차 | 5,532 | 8,113 | 9,324 | 8,771 | 8,775 | 23,486 | 8,485 | 8,509 | 6,768 | 6,878 | 6,987 | ||
9호선 | 승차 | 미개통 | 16,064 | [3] | |||||||||
하차 | 16,436 |
인접한 역편집
분당선 | ||
---|---|---|
K213 강남구청 왕십리 방면 청량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분당선 급행 |
K215 선릉 고색 방면 인천 방면 |
서울 지하철 9호선 | ||
925 신논현 김포공항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 |
929 봉은사 중앙보훈병원 방면 |
926 언주 개화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일반 |
928 삼성중앙 중앙보훈병원 방면 |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 2012년 9월 18일.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2015년도 9호선 2단계 역사별 수송인원 월별 현황,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