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력

무엇을 집중할지, 무엇을 무시할지를 결정하는 개인의 능력
(선택적 주의력에서 넘어옴)

집중력(集中力, attentional control)은 무엇을 집중할지, 무엇을 무시할지를 결정하는 개인의 능력을 가리킨다.[1]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라고도 하며, 내인적 집중력(endogenous attention), 실행 주의(executive attention)로도 알려져 있다. 집중력은 단순히 개인의 집중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대상피질을 포함한 뇌의 전두엽에 의해 주로 통제되는 집중력은 작업 기억(working memory)과 같은 기타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다.[2][3]

업무에 집중하는 모습
시각적 집중

비정상적 발달 편집

산만한 주의력 조절(attentional control)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와 같은 주의력 관련 핵심 결손(core deficit)을 발생하게 하는 증상의 초기 발병에서 나타나는 것은 물론,[4] 자폐증(autism)과 같은 증상들에서도 주목되었으며[5] 불안장애(anxiety disorder)에서도 확인이 된다.[6] 산만한 주의력 조절은 조산(preterm) 아동에게서 보고되기도 하였으며,[7]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이나 윌리엄증후군(Williams syndrome) 등의 유전 장애가 있는 영아에게서도 보인다.[8] 또한 일부 집단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가 낮은 가정에서 자란 아동은 발달 초기에 주의조절이 저해된다는 사실 역시 보고되었다.[9]

주의력 조절의 붕괴 유형은 여러 장애군에서 작업 기억(working memory)과 같은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s) 과업 수행이 붕괴되는 사실과도 관련있다.[1] 그러나 왜 많은 장애서 집행기능이 붕괴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정신질환과의 관련성 편집

주의력 조절 능력이 낮은 사람은 정신 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연구들을 통해 밝혀졌다. 주의력 조절 능력이 낮은 것은 ADHD 환자에게서 더 흔하다. ADHD는 삶의 중대한 활동들에 지장을 가져다 주는 부주의(inattention), 과잉행동(hyperactivity), 충동성(impulsivity) 등 나이에 걸맞지 않은 증상들이 지속되는 장애인 것이다.[10] 또한 조현병(schizophrenia) 환자,[11]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환자,[12] 사회적 불안(social anxiety), 특성 불안(trait anxiety), 우울(depression)을 가지고 있는 사람,[13] 뇌졸중(stroke) 이후 주의력 저하(attention difficulty)가 있는 사람에게서도 주의력 조절 저하가 보인다.[11] 또한 불안과 우울 수준이 낮은 사람은 반응이 더 빠르고 전반적인 집행 기능도 더 향상되어 있다.[14] 또한 주의력 조절이 낮은 사람은 정신병 발병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는 위협 정보(threat information)로부터 초점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능력은 감정 처리 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15] 또한 참가자들에게 주의력조절척도(Attentional Control Scale, ACS)를 채우게 하는 방식을 통해, 주의력에 초점을 반드시 맞출 필요가 없는 연구들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주의력 조절을 설명하고 있거나[13] 혹은 인지주의력증후군-1(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1, CAS1)을 통해서 주장하고 있다.[15] 둘다 자기보고 설문지로서 주의력 집중(attention focusing)과 주의력 이전(attention shifting)을 측정한다.[13] 또한 연구자들은 같은 연구 분야의 다른 종사자들에게 ACS, 감정기능(emotional functioning), CAS, 위협에 대한 주의력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험적 장기적 설계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들이 다른 정신질환에서 주의력 조절에 관한 문제적 상황 발생이 늘어나고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11]

주의력 문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ost trauma stress disorder, PTSD)와 같은 불안장애(anxiety disorder)의 특성이기도 하다. 주의편향(attentional bias)은 감정적으로 긍정적인 정보보다 부정적인 정보를 선호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야기한다. PTSD, 불안성향(anxiety proneness), 주의조절, 주의편향에 대한 척도 측정 후, 참가자들이 선정되었다. 그 결과, 주의조절은 주의편향과는 역관계임이 밝혀졌다. 주의조절이 높은 PTSD 환자는 주의편향이 낮았다. 주의조절의 개인차는 PTSD 환자의 불안 문제에 대하여 영향을 발휘한다.[16]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stle, D. E.; Scerif, G. (2009). “Using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to Study Behavioral and Attentional Control”. 《Developmental Psychobiology》 51 (2): 107–118. doi:10.1002/dev.20350. PMID 18973175. 
  2. Posner, M. I.; Petersen, S. E. (1990).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13: 25–42. doi:10.1146/annurev.ne.13.030190.000325. PMID 2183676. 
  3. Astle, D. E.; Scerif, G. (2011). “Interactions between attention and visual short-term memory (VSTM): What can be learnt from individu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Neuropsychologia》 49 (6): 1435–1445. doi:10.1016/j.neuropsychologia.2010.12.001. PMID 21185321. S2CID 5429116. 
  4. Sonuga-Barke, E. J. S.; Koerting, J.; Smith, E.; McCann, D. C.; Thompson, M. (2011).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pert Review of Neurotherapeutics》 11 (4): 557–563. doi:10.1586/ern.11.39. hdl:1854/LU-2084124. PMID 21469928. S2CID 207221148. 
  5. Elsabbagh, M.; Volein, A.; Holmboe, K.; Tucker, L.; Csibra, G.; Baron-Cohen, S.; Bolton, P.; Charman, T.; Baird, G.; 외. (2009). “Visual orienting in the early broader autism phenotype: disengagemen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0 (5): 637–642. doi:10.1111/j.1469-7610.2008.02051.x. PMC 3272379. PMID 19298466. 
  6. Rothbart, M. K.; Ellis, L. K.; Rueda, M. R.; Posner, M. I. (2003). “Developing mechanisms of temperamental effortful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71 (6): 1113–1143. doi:10.1111/1467-6494.7106009. PMID 14633060. 
  7. Van, E; de Weijer-Bergsma, E.; Wijnroks, L.; Jongmans, M. J. (2008). “Attention development i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born preterm: A review”.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1 (3): 333–351. doi:10.1016/j.infbeh.2007.12.003. PMID 18294695. 
  8. Cornish, K.; Scerif, G.; Karmiloff-Smith, A. (2007). “Tracing syndrome-specific trajectories of attention across the lifespan”. 《Cortex》 43 (6): 672–685. doi:10.1016/S0010-9452(08)70497-0. PMID 17710820. S2CID 14128174. 
  9. Welsh, J. A.; Nix, R. L.; Blair, C.; Bierman, K. L.; Nelson, K. E. (2010).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and Gains in Academic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2 (1): 43–53. doi:10.1037/a0016738. PMC 2856933. PMID 20411025. 
  10. Mash, Eric, J. (2013). Abnormal Child Psychology. Wadsworth.
  11. Durham, N.C. (2000년 2월 24일). “New Study Identifies Brain Centers For Attention Control”. 《ScienceDaily》. 201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12. Coubard, Olivier; 외. (May 2011). “Attentional Control in Normal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25 (3): 353–367. doi:10.1037/a0022058. PMID 21417533. 
  13. Bowler, Jennifer; Et. at. (2012년 9월 10일). “A Comparison of Cognitive Bias Modification for Interpretation and Computeriz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Effects on Anxiety, Depression, Attentional Control, and Interpretive Bia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0 (6): 1021–33. doi:10.1037/a0029932. PMC 3516492. PMID 22963595. 
  14. Sarter, Martin; Giovanna Paolone (December 2011). “Deficits in Attentional Control: Cholinergic Mechanisms and Circuitry-Based Treatment Approaches”. 《Behavioral Neuroscience》 125 (6): 825–835. doi:10.1037/a0026227. PMC 3235713. PMID 22122146. 
  15. Fergus, Thomas; 외. (August 2012). “Attentional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ation of the Cognitive Attentional Syndrome and Symptoms of Psychopatholog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 (3): 213–217. doi:10.1016/j.paid.2012.03.017. 
  16. Schoorl, M.; Putman, P.; Van Der Werff, S.; Van Der Does A. (2014). “Attentional bias and attentional control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8 (2): 203–210. doi:10.1016/j.janxdis.2013.10.001. PMID 24291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