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공검(薛公儉: 1224년~1302년 3월 13일(음력 2월 14일))은 고려의 문신이다. 본관순창으로 추밀원부사 설신의 아들이자 찬성사까지 지낸 설지충의 아버지다. 시호는 문량(文良)이다.[1]

약력 편집

  • 1224년(고종 11, 1세): 태어남.
  • 교동감무(喬桐監務)가 되었다가 도병마녹사(都兵馬錄事)로 임명받음.[1]
  • 1258년(고종 45, 35세): 과거에 급제함.[2]
  • 여러 관직을 거쳐 예부낭중(禮部郎中)이 됨.[1]
  • 1271년(원종 12, 48세): 군기감(軍器監)으로 세자 심(諶 : 나중의 충렬왕)을 호종해 원나라에 갔다 온 공으로 거듭 승진해 우부승선(右副承宣)으로 임명받음.[3][1]
  • 1276년(충렬왕 2, 53세): 지공거로서 과거를 주관함.[4]
  • 1277년(충렬왕 3, 54세): 우찬덕(右贊德)으로 임명받음.[5]
  • 1278년(충렬왕 4, 55세): 음력 9월에 광평공(廣平公) 왕혜(王譓), 지밀직(知密直) 한강(韓康) 등과 함께 왕에게 흰 모시를 바쳤으며,[6] 같은 해 음력 10월에는 밀직부사로 승진해 비칙치[必闍赤]가 됨.[7][1]
  • 그 뒤 감찰대부를 거쳐 지첨의부사(知僉議府事)가 되었다가 곧이어 참리(叅理)로 승진함.[1]
  • 1285년(충렬왕 11, 62세): 동지공거로서 과거를 주관함.[8]
  • 나이가 들어 찬성사(贊成事)로 물러나려고 했으나, 다시 중찬(中贊: 종1품)으로 올라 벼슬을 마침.[1]
  • 1302년(충렬왕 28, 79세): 3월 13일(음력 2월 14일)에 사망.[9] 향년 일흔아홉 살.[1]

인품 편집

성품이 청렴하고 정직했으며 남에게 공손히 대했고 늘 검소하게 생활했다. 조정의 관리 중 6품 이상 가는 사람에게 부모상(喪)이 나면 평소 모르는 사이라도 반드시 소복을 하고 찾아가 조문했다. 또 누가 찾아오면 귀천을 가리지 않고 급히 나가서 맞이했다. 병으로 누워 있을 때 채홍철이 가서 살펴보았는데, 베 이불에 왕골자리를 깔고 간소히 지내는 것이 마치 절간의 중과 같았다. 그가 나와서 “우리 같은 이들은 공과 비교하면 이른 바 땅벌레와 노란 학[黃鶴]이 다름과 같다.”고 탄복했다.[10]

상훈과 추모 편집

체협공신으로 충렬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1]

전기 자료 편집

  • 《고려사》 권105, 〈열전〉18, 설공검

각주 편집

  1. 《고려사》 권105, 〈열전〉18, 설공검
  2. 《등과록 전편》 권2, 고종 조 무오방 6월
  3. 《고려사》 권27, 〈세가〉27, 원종 12년(1271년) 6월 7일(기해)
  4. 《고려사》 권73, 〈선거지〉1, [과목] 1, 과거장, 충렬왕 2년(1276년) 10월
  5. 《고려사》 권28, 〈세가〉28, 충렬왕 3년(1277년) 1월 4일(갑오)
  6. 《고려사》 권28, 〈세가〉28, 충렬왕 4년(1278년) 9월 16일(정유)
  7. 《고려사》 권28, 〈세가〉28, 충렬왕 4년(1278년) 10월 10일(경신)
  8. 《고려사》 권73, 〈선거지〉1, [과목] 1, 과거장, 충렬왕 11년(1285년) 10월
  9. 《고려사》 권32, 〈세가〉32, 충렬왕 28년(1302년) 2월 14일(무인)
  10. 이제현, 《역옹패설·전집》 권2 제38조
  11. 《고려사》 권60, 〈예지〉2, [길례대사], 태묘,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