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영평사 고봉화상선요

세종특별자치시 영평사의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는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중국 송·원대의 고승인 고봉 원묘(高峰 原妙, 1238-1295)가 지은 고봉대사어록 상·하권 중에서 법어와 서간을 수록한 상권의 내용을 고봉의 시자였던 지정(持正)이 집록하고, 고봉에게 수학한 바 있는 직옹거사 홍교조(洪喬祖)가 편집하여 엮은 책이다. 2014년 6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의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었다.

고봉화상선요
(高峰和尙禪要)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유형문화재
종목유형문화재 제17호
(2014년 6월 30일 지정)
수량1권1책
시대조선시대
소유영평사 주지
위치
고봉화상선요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
고봉화상선요(대한민국)
주소세종특별자치시 영평사길 124 (장군면)
좌표북위 36° 28′ 25″ 동경 127° 13′ 40″ / 북위 36.47361° 동경 127.22778°  / 36.47361; 127.22778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개요 편집

고봉화상선요(高峰和尙禪要)는 중국 송·원대의 고승인 고봉 원묘(高峰 原妙, 1238-1295)가 지은 고봉대사어록 상·하권 중에서 법어와 서간을 수록한 상권의 내용을 고봉의 시자였던 지정(持正)이 집록하고, 고봉에게 수학한 바 있는 직옹거사 홍교조(洪喬祖)가 편집하여 엮은 책이다.

고봉화상선요는 개당보설(開堂普說) 1편, 시중(示衆) 14편, 결제시중(結制示衆) 2편, 해제시중(解制示衆) 3편, 입양시중(立陽示衆) 1편, 제야소참(除夜小參) 2편, 만참(晩參) 1편, 법어(法語) 3편, 통앙산화상의사서(通仰山和尙疑嗣書) 1편, 실중삼관(室中三關) 1편 등 모두 2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봉화상선요는 선문도장(禪門道場)에서 참선하는 수도인에게 길잡이가 되는 책으로 고려시대에 우리나라로 전래된 이래 선종 승려들의 필독서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지엄선사(智嚴禪師, 1464-1534)가 이 책을 대단히 중하게 여겨 수도인은 반드시 이 책을 읽고 장애를 없앨 것을 강조한 이래로 청허 휴정(淸虛 休靜, 1520-1604)의 제자인 설제(雪霽, 1632-1704)가 사집과(四集科)에 편입시킴으로써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불교전문강원의 중등과정인 사집과의 교과목으로 활용되고 있다.

영평사 소장 고봉화상선요는 임진왜란 이전인 중종 34년(1539)에 하동 지리산 남대암(南臺庵)에 간행된 한문본으로 조선시대 중기의 목판인쇄문화와 불교학 및 서지학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