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라게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Hermit crab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소라게 또는 집게(Hermit crab)는 십각목, 소라게상과 또는 참집게상과(Paguroidea) 중에서 주로 고둥의 패각을 직접 짊어지고 생활하는 갑각류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새우와 게와 동일한 십각목이지만, 조개 등에 몸을 맞추기 위해 체형을 변형시키고 있다.
![]() | ||
---|---|---|
Dardanus calidus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아문: | 갑각아문 | |
강: | 연갑강 | |
목: | 십각목 | |
아목: | 범배아목 | |
하목: | 집게하목 | |
상과: | 참집게상과 (Paguroidea) Latreille, 1802 | |
과 | ||
|
또한 소라게의 몸은 두흉부와 복부로 나뉜다. 그리고 집게는 대부분 좌우 비대칭이며, 큰 가위발은 몸을 껍질에 집어넣어 입구를 막는데 사용된다.
개요 편집
다른 갑각류와는 달리 소라게 대부분의 종은 약하고 긴 나선형 복부가 있다. 취약한 복부는 몸 전체를 숨길 수 있는 짊어지고 있는 껍데기로 보호한다.[1] 대부분 소라 껍데기를 집으로 쓰지만 이매패류와 굴족류의 껍데기, 속이 빈 나무나 돌을 쓰기도 하고,[2] 해안가의 쓰레기를 쓰기도 한다.[3]
대부분의 종은 다양한 깊이의 해수에서 산다. 열대 육지에서 사는 종이 있으며, 역시 물을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소라게는 야행성이다.
생태 편집
소라게는 자라면서 더 큰 껍데기를 필요로 한다. 꼭 맞는 껍데기는 종종 양이 부족하므로, 껍데기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다른 소라게와 복족류의 개체 수가 차지할 수 있는 빈 껍데기의 양과 관련이 있다. 취향에 맞는 껍데기를 차지하기 위해서 경쟁자와 싸우거나 경쟁자를 죽이기도 한다. 하지만 몸집 차이가 크다면 빈 껍데기를 향한 경쟁이 줄어들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4] 몸집에 비해 작은 껍데기를 쓰는 소라게는 알맞은 껍데기를 쓰는 소라게보다 성장이 더디며, 껍데기로 완전히 몸을 피할 수 없는 소라게는 먹힐 가능성이 높다.[5]
소라게가 새 껍데기를 찾을 때에는 껍데기 밖으로 나와 새 껍데기의 크기를 가늠한다. 새 껍데기가 크다면, 원래 자신의 껍데기로 다시 들어가 길게는 8시간까지 있는다. 다른 새로운 소라게가 와 새 껍데기의 크기를 잰 뒤 역시 크다면 또다른 소라게를 기다리며, 최대 20여 개체까지 크기 순으로 기다린다. 새 소라게가 와서 껍데기를 가져가면서 자신이 입고 있던 껍데기를 벗고 가면, 크기 순으로 기다리고 있던 소라게들이 와 연속적으로 껍데기를 갈아입는다.[6]
반려 동물 편집
소라게는 반려 동물로서도 키워진다. 엄밀히 말하면, 애완용 내지 관상용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육지 소라게(뭍집게과) 가운데 주로 사육되는 종은 인도소라게, 딸기소라게, 러그소라게, 바이오 소라게, 에콰도르소라게, 캐리비안뭍집게, 서태평양소라게 등이 있다.
사육되는 소라게는 몇 개월밖에 살지 못한다는 인식이 있으나, 잘 사육하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사육시 1-2년은 보통이고, 그 이상 5년 정도를 사는 경우도 흔하다. 캐리비안뭍집게 같은 종은 잘 키우면 23년까지 살 수 있으며,[7] 32년까지 산 종도 있다.[8] 그러나 이런 경우는 예외적인 것이고, 보통의 일반 가정에서는 최대한 잘 사육해도 10년 남짓이라고 한다.
하위 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 편집
- ↑ Ingle, R. W., Hermit and stone crabs (Paguroid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83-98, 1997년
- ↑ Williams, J. D., McDermott, J. J., Hermit crab biocoenoses: a worldwide review of the biodiversity and natural history of hermit crab associate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004년
- ↑ 박종익, ‘치약 뚜껑’ 집으로 삼은 소라게…인류에게 경고하다, 서울신문, 2015년 9월 22일
- ↑ Rotjan, R. D., Chabot, J. R., Lewis, S. M., Social context of shell acquisition in Coenobita clypeatus hermit crabs, Behavioral Ecology, pp. 639-646, 2010년
- ↑ Angel, J. E., Effects of shell fit on the biology of the hermit crab Pagurus longicarpus (Say),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2000년
- ↑ Ferris, J., On a Tiny Caribbean Island, Hermit Crabs Form Sophisticated Social Networks, Scientific American, 2012년
- ↑ “Land Hermit Crab Care Guide”. 2011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Lombardi, L., Hermit crabs dont have to fade away; with proper care they can have long life Archived 2016년 1월 28일 - 웨이백 머신, Amherst Daily News, 2008년 7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