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종헌
송종헌(宋鍾憲, 1876년 10월 19일 ~ 1949년 5월 21일)은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백작이다. 백작 송병준 사후 백작위를 물려받았다. 창씨개명 후 이름은 노다 소노리(일본어: 野田鍾憲)[1]이며 본적은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이다.
송종헌 宋鍾憲 | |
---|---|
출생 | 1876년 10월 19일 |
사망 | 1949년 5월 21일 |
국적 | 일제강점기 |
경력 | 백작 |
직업 | 조선귀족 |
생애
편집1904년 일진회 평의원으로 활동했던 경력이 있다. 1921년 송병준이 설립한 조선소작인상조회에 20명의 발기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2] 1925년 송병준이 사망하자 그의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고, 1945년 3월 일본 귀족원 의원으로 임명되었다.[3]
사후
편집-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 송종헌의 손자 등 후손들은 일제 강점기에 송병준이 일본 정부로부터 받은 여러 곳의 토지와 관련하여 수차례 소송을 낸 바 있다.[4]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송종헌과 송병준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했다.[5]
가족 관계
편집같이 보기
편집참고자료
편집-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2월 1일). 〈송병준 : 이완용과 쌍벽을 이룬 친일매국노 제1호 (강창일)〉. 《친일파 99인 1》.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17.
각주
편집- ↑ 백기완, 송건호, 임헌영 (2004년 5월 20일). 《해방전후사의 인식 (1)》. 서울: 한길사. 287쪽쪽. ISBN 8935655422.
- ↑ 크레믈린 (2006년 7월 28일). “[송종헌]친일적 성격의 어용 소작인 단체 창립 후 착취”. 미디어다음 블로거뉴스. 2007년 11월 28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1945년 3월~: 반민족문제연구소 (1993년 2월 1일). 〈박상준 : ‘불가능한 독립’ 대신 ‘행복한 식민지’ 택한 확신범 (김도형)〉. 《친일파 99인 1》.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0117.
- ↑ 《주간한국》 (2005.1) 끝나지 않은 친일 논란 - 송병준 후손 VS 민영환 후손
- ↑ 이민정 (2007년 5월 2일). “재산 환수되는 친일파 9인은 누구? - 권중현·이완용 등 을사오적 중 일부 포함”. 오마이뉴스. 2008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정희상, 송병준 후손 행적 추적했더니…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시사IN
- ↑ 《중앙일보》1995년 2월 10일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