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

아이스링크를 돌아 순위를 겨루는 스포츠 경기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영어: short-track speed skating, 문화어: 짧은주로속도빙상(짧은走路速度氷上))은 스케이트를 신고 111.12m의 아이스링크를 돌아 순위를 겨루는 스포츠 경기이다.

쇼트트랙
쇼트트랙 경기
최고 기구국제빙상경기연맹
별칭쇼트트랙
특징
올림픽1988

기존의 스피드 스케이팅(롱 트랙)에 대하여 이 종목은 짧은 링크를 돌아 경기를 하므로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라고도 하나, 주로 줄여서 쇼트트랙(영어: Short track, 문화어: 짧은주로(짧은走路))이라 칭하고 있다. 롱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이 2인이 1조가 되어 인과 아웃에서 시간에 의한 기록을 겨루는 단조로움을 피해 여러 명이 한꺼번에 출발하여 그 순위를 겨루어 박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1967년 국제 빙상 연맹에서 공인했고 1976년 첫 국제대회 그리고 1981년에 첫 세계선수권이 열렸다. 그리고 1988년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제15회 동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에서 열린 제16회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국제적으로 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키가 작은 한국 선수들에게 유리한 운동이다. 코너에서 속도를 내야하기 때문에 키가 작아서 튕겨나갈 위험이 적기 때문이다. 4~6명이 같이 달리는 경기로 결승점에 들어오는 순서에 따라 메달을 결정한다. 쇼트트랙의 스케이트화는 날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빙판과 마찰을 줄이기 위해 중심부가 볼록하다.[1]

주법에도 한국만의 독특함이 존재한다. 바로 ‘호리병 주법’이다. ‘한국 쇼트트랙의 선구자’로 불리는 알베르빌-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김기훈이 처음 활용한 ‘호리병 주법’은 직선주로에서 인코스 쪽으로 바짝 들어왔다가 다시 바깥쪽으로 빠지는 주법이다. 주행 모양이 호리병을 닮았다 해 ‘호리병 주법’으로 불리고 있다.[2]

세부 소개 편집

세부 종목 편집

세부 종목으로는 남녀 500m(4.5바퀴), 1000m(9바퀴), 1500m(13.5바퀴), 3000m(27바퀴), 여자 계주 3000m(27바퀴), 남자 계주 5000m(45바퀴), 혼성계주 2000m(18바퀴)가 있다. 이 중 3000m는 선수권 대회에서만 시행된다.

주요 경기규칙 편집

개인 경기 규칙 편집

  • 경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데, 이는 트랙의 안쪽부분이 선수/계주 팀 왼쪽편이 되는 것이다
  • 추월은 어느 때나 허용된다. 그러나 각 선수/계주 팀끼리 옆으로 서 있을 때까지는 추월을 당하는 선수가 부적절하게 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 모든 장애나 충돌의 책임은 추월하는 선수/계주 팀에게 있다
  • 한 바퀴이상 뒤쳐지는 선수/계주 팀은, 바깥쪽으로 이동해야 하며 그들을 추월하고자 하는 선수/계주 팀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방해 위반 행위가 발생하면 옐로우 카드 또는 레드 카드가 주어진다
  • 만약 선수/계주 팀이 두 랩을 뒤처진 경우라면, 그 선수/계주 팀은 자신이 있는 현재의 위치 인근에서 한 명 또는 더 많은 다른 선수들이 레이스를 하지 않는 이상, 그 레이스에서 나가야 한다. 이런 규칙을 근거로 해서 레이스에서 나간 선수/계주 팀들은 완주하지 못한 것으로 기록된다. 만약 레프리는 선수/계주 팀이 자신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이유로 결승선을 통과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그 레프리는 선수/계주 팀에게 결승선을 통과하였음을 선언할 수 있으나, 단 노타임으로 기록된다
  • 선수나 계주 팀은 선수의 스케이트 날 앞부분이 결승선에 닿아야 그 종목의 경기를 끝낸 것이다.

위반 행위 편집

  • 오프트랙 : 트랙을 나타내는 블록으로 표시한 커브의 왼쪽으로 한쪽 또는 양쪽 스케이트를 스케이팅 하는 것
  • 임페딩 : 방해, 가로막기 (블로킹), 차징 (공격), 또는 몸의 어느 부분으로 다른 선수를 미는 것, 다른 선수의 코스를 가로 막아서 방해하는 것
  • 어시스턴스 : 각 선수는 각자 경쟁하여야 한다. 다른 선수에게 어떤 도움을 주면 해당 선수/계주 팀들은 모두 실격된다. 이는 계주경기에서 팀원들간에 밀어주고 받고 하는 행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킥킹아웃 : 결승선을 포함해 경기 중 어떠한 부분에서든 킥킹아웃을 가해 위험을 초래하거나, 결승선으로 몸을 던지는 것은 금지되고, 이러한 행위는 실격된다

계주 경기 규칙 편집

  • 각 팀의 4명의 선수는 필히 경기에 참가하여야 한다
  • 팀의 모든 멤버는 같은 유니폼을 착용하여야 한다. 이 규칙을 지키지 않는 팀은 해당 경기의 출전에서 제외된다
  • 선수는 팀 멤버에게 교대할 때까지 경기에 남아 있을 책임을 가지고 있다. 교대는 터치로 이루어지며, 이는 즉, 한 명의 선수가 다른 선수에게 터치를 한 이후에도 경기에 남아있으라는 의미는 아니다
  • 마지막 두 바퀴만 제외하고는 선수는 아무 때나 교대를 할 수 있다. 마지막 두 바퀴는 같은 한 선수가 뛰어야 한다. 나머지 세 바퀴가 남은 시점에는 신호 총소리가 발포된다
  • 교대는 다른 팀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교대하는 동안, 레인을 바꾸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며, 미는 선수 앞에서 곧바로 교대해야 하며, 다른 선수들을 가로막지 않아야 한다

계주 경기 위반 행위 편집

  • 터치를 하지 않거나 또는 심판과 보조 심판에게 터치가 분명하게, 명백하게 보여지지 않는 것
  • 나머지 두 바퀴 남기고 교대를 한 것. 마지막 두 바퀴가 시작하기 전에 마지막 교대가 분명히 시작되지 않은 것

경기 규칙 위반 편집

  • 페널티 : 일반적인 경기 규칙 위반에 대한 실격 처리
  • 옐로 카드 : 안전하지 못하거나, 해롭거나 또는 위험한 공격, 한 경기 내에서 페널티로 귀결되는 상호 독립적인 “임페딩” 또는 “킥킹 아웃”에 해당하는 경기 규칙을 둘 이상 위반한 경우
  • 레드 카드 : 위험하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기 규칙을 위반한 경우, 선수가 동일한 대회에서 2 장의 옐로우 카드를 받은 경우
  • 만일 어떤 선수가 12개월 이내에 2장의 레드 카드가 누적될 경우, 해당 선수는 자동적으로 2~3개월간 자격이 정지되며 추가 징계로 최소 1년의 자격 정지가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기간 동안 동계 올림픽을 포함해 모든 ISU 선수권 대회와 국제대회에 출전할 수 없다.

세계 기록 편집

남자 편집

종목 선수 국가 기록 경신일 경신지
500m 우다징   39.505 2018년 11월 11일   솔트레이크시티
1000m 황대헌   1:20.875 2016년 11월 12일   솔트레이크시티
1500m 싱키 크네흐트   2:07.943 2016년 11월 13일   솔트레이크시티
3000m 노진규   4:31.891 2011년 3월 19일   바르샤바
3000m 계주 김태성
안현준
장성우
이정민
  3:55.494 2020년 2월 2일   보르미오
5000m 계주 리우 샤올린 샨도르
리우 샤오앙
콜 크루거
처버 부리안
  6:28.625 2018년 11월 4일   캘거리

여자 편집

종목 선수 국가 기록 경신일 경신지
500m 잔드라 벨제부르   41.416 2022년 11월 5일   솔트레이크시티
1000m 쉬자너 스휠팅   1:26.514 2022년 2월 11일   베이징
1500m 최민정   2:14.354 2016년 11월 12일   솔트레이크시티
3000m 정은주   4:46.984 2008년 3월 15일   하얼빈
3000m 계주 셀마 포츠마
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 케르크호프
산드라 벨제부르
  4:02.809 2021년 10월 23일   베이징

혼성 편집

종목 선수 국가 기록 경신일 경신지
2000m 계주 김지유
김아랑
김동욱
곽윤기
  2:35.951 2021년 10월 24일   베이징

주목할만한 선수들 편집

동계올림픽 개인종목 금메달리스트 또는 세계선수권 종합우승자인 선수들 중에서 올림픽 금메달+세계선수권 종합우승=3회 이상인 선수들 명단

굵은 글씨로 표시한 선수들은 아직 현역으로 활동하는 선수들이다.

남자 편집

이름 국가 출생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합계
      합계       합계       합계
빅토르 안  

 

1985 6 0 2 8 6 1 0 7 12 1 2 15
마르크 가뇽   1975 3 0 2 5 4 2 1 7 7 2 3 12
샤를 아믈랭   1984 3 1 0 4 1 3 3 6 4 4 3 11
김기훈   1967 3 0 0 3 1 2 1 4 4 2 1 7
이호석   1986 1 4 0 5 2 2 0 4 3 6 0 9
아폴로 앤턴 오노   1982 2 2 4 8 1 2 1 4 3 4 5 12
김동성   1980 1 1 0 2 2 0 1 3 3 1 1 5

여자 편집

이름 국가 출생 동계올림픽 세계선수권 합계
      합계       합계       합계
양양 A   1976 2 2 1 5 6 1 0 7 8 3 1 12
왕멍   1984 4 1 1 6 3 3 0 6 7 4 1 12
아리안나 폰타나   1990 1 2 5 8 0 1 2 3 1 4 8 11
전이경   1976 4 0 1 5 3 2 0 5 7 2 1 10
실비 데이글   1962 1 1 0 2 5 2 1 8 6 3 1 10
진선유   1988 3 0 0 3 3 0 0 3 6 0 0 6
최민정   1998 3 2 0 5 4 1 0 5 7 3 0 10
나탈리 랑베르   1962 1 2 0 3 3 2 2 7 4 4 2 10
최은경   1984 2 2 0 4 2 1 0 3 4 3 0 7
심석희   1997 2 1 1 4 1 1 3 5 3 2 4 9
박승희   1992 2 0 3 5 1 2 0 3 3 2 3 8
저우양   1991 3 0 0 3 0 1 1 2 3 1 1 5
쉬자너 스휠팅   1997 1 0 1 2 2 0 0 2 3 0 1 4

7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