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간선철도.
(수도권 전철 수인선에서 넘어옴)

}}

수인선
Suin Line.svg
Korail Suin Line.png
수인선의 위치
Korail EMU 351000 3rd A02.jpg
수인선에서 운영되는 351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지선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영업 중
기점수원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종점인천역
(인천광역시 중구)
역 수27
노선 번호30205
개통일1937년 8월 5일: 개통
2012년 6월 30일: 복선 전철화
2020년 9월 12일: 전 구간 개통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52.3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ATC(수원역 ~ 고색역)
설계 최고 속도90 km/h

</onlyinclude>

수인선
협궤철도
Korail Suin Line Handaeap Station Platform.jpg
한대앞역 선로부지 (좌측 2선:안산선)(2020년 복선전철 공사로 철거됨)
Ansan 173.JPG
고잔역 선로 (우측 고가:안산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상태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참고
기점수원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종점1937년: 인천항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1988년: 송도역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1994년: 한대앞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이동)
역 수1937년: 17
1988년: 13
1994년: 5
개통일1937년 8월 5일
폐지일1995년 12월 31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937년: 52.0 km
1988년: 46.3
1994년: 20.2
궤간762 mm (협궤)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수원시수원역인천광역시 중구인천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이며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일부이다. 전 구간에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운행한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과거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에는 수원역남인천역을 잇는 협궤 철도였으며, 1972년 수려선 폐선 이후 대한민국의 유일한 협궤 노선으로 남았다가 안산선 개통 이후 수원 - 한대앞 구간으로 단축되었으며, 1996년 1월 1일 운행이 중지된 이후 2015년 9월 4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2004년 12월 28일부터 표준궤 복선 전철화 사업이 시작되어 2012년 6월 30일 오이도 - 송도, 2016년 2월 27일 송도 - 인천, 2020년 9월 12일 수원 - 한대앞 구간이 점진적으로 개통하였다. 한대앞 - 오이도 구간은 안산선과 선로를 공용한다. 1973년 폐지된 남인천 - 송도 구간을 표준궤로 개궤하여 사용하던 동양화학선은 복선 전철화 착공과 함께 운행을 중지하였다.

역사편집

협궤 시대편집

표준궤 복선 전철 시대편집

운영편집

전철 이전에는 협궤열차로 운행하였으나, 현대에 운행하는 수인선은 전철로 운행되며, 배차 간격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는 7 ~ 12분, 평시와 주말, 공휴일에는 15 ~ 23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일부 열차는 오이도역과 지하 인천역 구간 / 지하 고색역 ~ 인천역을 운행한다. 급행 열차는 2017년 7월 7일부터 주중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되고 있으며, 이는 오이도역에서 안산선 급행과 연계되어 운행된다. 또한 비정기적으로 소래포구역까지 가는 특별열차가 운행중이다. 2020년 9월 12일에 전 구간이 최종적으로 완전 개통되었고 분당선과 상호 직결 운행되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고 있다.

차량편집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2020년 9월 12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수인선의 오이도역 ~ 한대앞역 구간을 공유함에 따라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

과거에 운행되었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특별열차 운행편집

미래편집

인천발 KTX가 운행될 예정이다.[27] 이를 위해 어천역경부고속선 연결선이 설치될 예정이다.

역 목록편집

수도권 전철편집

  • 4호선 색상( 하늘색)으로 칠해진 구간은 안산선과 노선을 공용하는 구간으로 수도권 전철 4호선 또한 운행한다.
수원 ~ 인천[28]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급행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비고
분당선 매교역 방면
K245 수원 Suwon 水原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0.0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K246 고색 Gosaek 古索 2.7 2.7 수원시 권선구
K247 오목천 Omokcheon 梧木川 1.6 4.3
K248 어천 Eocheon 漁川 5.1 9.4 화성시
K249 야목 Yamok 野牧 2.6 12.0
K250 사리 Sari 四里 4.7 16.7 안산시 상록구
K251 한대앞 Hanyang University at Ansan 漢大앞 수도권 전철 4호선 2.2 18.9
K252 중앙 Jungang 中央 1.6 20.5 안산시 단원구
K253 고잔 Gojan 古棧 1.4 21.9
K254 초지 Choji 草芝 수도권 전철 서해선 1.5 23.4
K255 안산 Ansan 安山 1.8 25.2
K256 신길온천 Singil oncheon 陵道 2.2 27.4
K257 정왕 Jeongwang 正往 2.9 30.3 시흥시
K258 오이도 Oido 烏耳島 1.4 31.7
K259 달월 Darwol 達月 2.1 33.8
K260 월곶 Wolgot 月串 1.5 35.3
K261 소래포구 Soraepogu 蘇萊浦口 1.3 36.6 인천광역시 남동구
K262 인천논현 Incheon Nonhyeon 仁川論峴 1.0 37.6
K263 호구포 Hogupo 虎口浦 1.3 38.9
K264 남동인더스파크 Namdong Induspark 南洞産業團地[29] 1.3 40.2
K265 원인재 Woninjae 源仁齋 인천 도시철도 1호선 1.0 41.2 연수구
K266 연수 Yeonsu 延壽 0.9 42.1
K267 송도 Songdo 松島 2.7 44.8
K268 학익
(미개통)
Hagik 鶴翼 미추홀구
K269 인하대 Inha Univ. 仁荷大 2.4 47.2
K270 숭의
(인하대병원)
Sungui 崇義 1.8 49.0
K271 신포 Sinpo 新浦 1.5 50.5 중구
K272 인천 Incheon 仁川 수도권 전철 1호선 1.1 51.6
- (종점) - 0.7 52.3

협궤철도편집

1937년편집

1937년 8월 6일자 관보에 고시된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기준으로[30], 개통 직후의 것이며, 이는 1981년 5월 28일자 관보에 고시된 철도청고시제17호까지 폐지된 구간을 제외하고 영업 거리의 변동 없이 그대로 이어진다. 1937년 당시의 행정 구역을 따랐다.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수원 水原 경부선 · 수려선 0.0 0.0 경기도 수원군
고색 古索 3.9 3.9
오목 梧木 1.9 5.8
어천 漁川 4.9 10.7
야목 野牧 3.0 13.7
빈정 濱汀 1.4 15.1
일리 一里 4.9 20.0 시흥군
성두 城頭 1.6 21.6
원곡 元谷 6.3 27.9
신길 新吉 1.3 29.2
군자 君子 3.2 32.4
소래 蘇萊 6.2 38.6 부천군
논현 論峴 2.9 41.4
남동 南洞 0.9 42.4
문학 文鶴 3.4 45.8
송도 松島 1.5 47.0 인천부
인천항 仁川港 5.0 52.0

1988년편집

1988년 10월 25일자 관보에 고시된 철도청고시제33호 기준으로, 안산선 개통 직후의 것이며, 반월지구 건설로 1982년에 이설하여 단축된 거리가 반영되었다. 1988년 당시의 행정 구역과 로마자 표기법(1984년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다.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수원 Suwon 水原 국철(경부선) 0.0 0.0 경기도 수원시
어천 Ŏch'ŏn 漁川 10.7 10.7 화성군
야목 Yamok 野牧 3.0 13.7
사리 Sa-ri 四里 4.2 17.9 안산시
한대앞 Handae-ap 漢大앞 안산선 2.3 20.2
중앙 Chung-ang 中央 1.7 21.9
고잔 Kojan 古棧 1.4 23.3
안산 Ansan 安山 3.4 26.7
군자 Kunja 君子 5.1 31.8 시흥시
달월 Tarwol 達月 3.7 35.5
소래 Sorae 蘇萊 2.5 38.0 인천직할시 남동구
남동 Namdong 南洞 3.8 41.8
송도 Songdo 松島 4.5 46.3 남구

폐역편집

논란편집

  • 당초 수원시 구간인 봉담 ~ 고색 구간을 지상으로 건설하고, 경부선과 수인선을 잇는 세류 ~ 고색 화물용 삼각선을 설치할 예정이었다. 이에 해당 주민들이 반발하였고, 수원시가 지하화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지하화 협약이 체결되어, 삼각선 계획은 폐지되었다.[31]

사진편집

수원시 구간편집

화성시 구간편집

각주편집

  1.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7.08.06)
  2.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 군정법령 제75호 조선철도의 통일 (1946.05.07) 제2조
  3. 인천역등개명, 《동아일보》, 1948.06.12.
  4.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17호 (1955.06.29)
  5.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34호 (1965.04.17)
  6.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64호 (1966.08.25)
  7.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5호 (1967.06.03)
  8.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4호 (1973.07.11)
  9.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4호(1974.05.22)
  10. 대한민국관보 건설부 공고 제2호 (1983.01.13)
  11.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2호 (1988.10.25)
  12.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3호 (1988.10.25)
  13. 수인철도 소래~송도구간 내년말까지 운행중단, 《동아일보》, 1992.07.15.
  14.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94-44호 (1994.08.23)
  15.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204호, 2012년 5월 7일.
  16.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327호, 2012년 6월 22일
  17.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77호, 2014년 10월 1일.
  18.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620호, 2015년 9월 4일
  19. 경인선·경의선·수인선·안산선 광역 급행 열차 확대 운영.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철도운영과. 2017년 6월 29일 작성.
  20. http://www.letskorail.com/etc/excel/170707_oido_incheon.xlsx
  2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2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586호, 2019년 10월 25일.
  23. 철도공단,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 착수, 출처: 파이낸셜뉴스
  24.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2020년 5월 29일.
  25. 국토교통부장관 (2021년 1월 20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33호”. 《대한민국 전자관보》. 대한민국관보 제19923호. 28-30쪽. 2021년 1월 20일에 확인함. 
  26.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27. '인천서 KTX 타고 광주·부산 가요' 인천발 KTX 확정, 《연합뉴스》, 2016.07.10.
  28.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2020년 5월 29일
  29. 이 역의 국한문혼용 표기는 ‘南洞인더스파크’가 돼야 하지만, 이 역의 공식 한자 표기는 ‘南洞産業團地’(남동산업단지)로 확정되었다. 또한 이 역의 축약 역명은 한글 표기와 한자 표기 모두 ‘남동산단(南洞産團)’으로 결정되었다. (우은식, 수인선 신설역사 8개역명 확정, 《뉴시스》, 2012.05.15.)
  30. 인하대학교박물관, 《水仁線-수원~인천간 복선전철 구간내 문화유적 지표조사》, 2002, p29 ; 여기서 재인용함
  31. 수원시-철도공단, 수인선 수원구간 지하화 협약, 《연합뉴스》, 201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