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한민국)

한반도의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개성직할시를 함께 지칭하는 단어

대한민국서울·수도권(서울·首都圈)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경기도(군사분계선 이북 지역 제외)를 아울러 가리킨다.

수도권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주요 도시
인구
 (2024)
26,048,160[1]
1인당 GRDP[2]49,680 천원(KRW)

수도권의 면적은 11,856 km²로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11.8%를 차지하는데,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4년 7월 말에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604만2천여명이고 대한민국 총인구의 50.8%이다.[1] 이 지역은 일본의 수도권, 중국상하이,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인도델리에 이은 세계 5위대도시권이다. 경기 지방(경인 지역)이라고도 한다.

법률상 수도권

편집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수도권"이란 서울특별시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을 말한다.
제2조(수도권에 포함되는 서울특별시 주변 지역의 범위)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이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말한다.
제4조 (수도권광역행정의 조정) ① 법 제5조제1항에서 "수도권지역"이라 함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일원의 지역을 말한다.

역사

편집
 
한성부 행정구역 영역도

고려의 수도가 개경으로 정해지면서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경기 지방은 한국 전체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는 고려가 망하고 새로 들어선 조선에서도 이어졌으며 조선은 수도를 경기 지방의 한양(서울특별시한강 이북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도 이 지역은 조선의 중심지였고 남북 분단이 된 오늘날에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밀집해 살고 있다.

인구 집중의 현황

편집

행정안전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592만5799명에 이른 2019년 12월에 대한민국 총인구의 50%를 넘었다. 이러한 수도권의 인구 및 경제, 행정 기능의 집중 현상은 주거지 부족 및 지역 불균형과 같은 여러 문제를 유발하였다. 인구과밀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 전역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토지 및 주택의 매매, 담보 등에 제약이 따르지만, 인구 집중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어 왔다. 이러한 집중 현상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무현대통령200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충청권 수도 이전 정책에 대하여 공약하였다. 이에 따라 2004년에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10월에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 헌법이 존재한다며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 판결로 인해 청와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을 제외한 행정 부처만 세종특별자치시에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지리

편집

전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이 많지만 양평, 가평, 연천 같은 동북부 지역에는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남한강북한강경기도의 동쪽에서 만나 한강이 되고, 경기 지방을 완전히 가로질러 황해로 흘러든다.

지리상 수도권 권역

편집

상세 인구

편집

대한민국 수도권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대한민국 인구의 2분의 1, 남북한을 합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다음은 2024년 7월 말 주민등록에 따른 인구[1]로, 경기도의 시·군은 인구가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1. 수원시 (1,196,671 명) : 경기도청 소재지
  2. 용인시 (1,083,456 명)
  3. 고양시 (1,071,802 명)
  4. 화성시 (956,503 명)
  5. 성남시 (916,615 명)
  6. 부천시 (773,689 명)
  7. 남양주시 (733,244 명)
  8. 안산시 (624,788 명)
  9. 평택시 (594,712 명)
  10. 안양시 (548,005 명)
  11. 시흥시 (518,371 명)
  12. 파주시 (507,470 명)
  13. 김포시 (486,128 명)
  14. 의정부시 (460,663 명) : 경기도청 북부청사 소재지
  15. 광주시 (394,164 명)
  16. 하남시 (329,997 명)
  17. 양주시 (282,215 명)
  18. 광명시 (278,151 명)
  19. 군포시 (258,509 명)
  20. 오산시 (237,798 명)
  21. 이천시 (223,056 명)
  22. 안성시 (192,293 명)
  23. 구리시 (186,408 명)
  24. 의왕시 (155,329 명)
  25. 포천시 (142,135 명)
  26. 양평군 (126,668 명)
  27. 여주시 (114,696 명)
  28. 동두천시 (87,321 명)
  29. 과천시 (85,132 명) : 대한민국 정부과천청사 소재지
  30. 가평군 (62,445 명)
  31. 연천군 (41,035 명)

수도권 규제 지역 논란

편집
  • 인천광역시 옹진군서해 5도는 원래 황해도였지만, 현재 수도권으로 분류되어 규제를 받고 있다. 서해5도 등 인천광역시의 옹진군, 강화군경기도연천군을 수도권 규제 지역에서 제외하려는 정치권의 논의가 2011년에 있었지만, 경기도 가평군, 안산시 대부동, 화성시의 섬 지역 등이 잇따라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논란이 인근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되면 결국 수도권 규제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흐지부지되었다.[5][6]
  • 경기도 화성시국화도는 지리적으로는 충청남도 당진시와 훨씬 가깝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화성시에 속해 있어서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섬의 일부 주민은 충청남도 당진시에 행정구역이 편입되길 바란다.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청미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지만, 장호원읍은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고 감곡면은 수도권 규제 지역이 아니다. 따라서 청미천 동쪽의 감곡면 지역은 개발이 용이하나, 서쪽의 장호원읍은 개발이 제한된다.

교통

편집

고속도로, 도시고속화도로

편집

철도

편집

도시철도/광역철도

편집

항공

편집

교육

편집

국공립대학교

편집

국립대학

편집
전문대학
편집

공립대학

편집

사립 대학교

편집

여자대학교

편집

스포츠

편집

야구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홈 경기장
KBO 리그 LG 트윈스 1990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두산 베어스 1982년
키움 히어로즈 2008년 고척스카이돔
SSG 랜더스 2021년 인천SSG랜더스필드
kt 위즈 2013년 수원KT위즈파크
KBO 퓨처스리그 고양 히어로즈 2014년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한국야구독립리그 연천 미라클 2015년 연천 베이스볼파크
저니맨 외인구단 2017년 목동야구장
파주 챌린저스 2017년 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농구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홈 경기장
KBL 서울 삼성 썬더스 1978년 잠실실내체육관
서울 SK 나이츠 1997년 잠실학생체육관
수원 KT 소닉붐 1997년 수원KT소닉붐아레나
안양 KGC인삼공사 1992년 안양실내체육관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1995년 고양체육관
WKBL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1977년 용인실내체육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1986년 도원체육관
부천 하나원큐 1998년 부천실내체육관

축구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홈 경기장
K리그1 FC 서울 1983년 서울월드컵경기장
인천 유나이티드 2003년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5년 수원월드컵경기장
성남 FC 1989년 탄천종합운동장
K리그2 수원 FC 2003년 수원종합운동장
안산 그리너스 2016년 안산와스타디움
부천 FC 1995 2007년 부천종합운동장
FC 안양 2013년 안양종합운동장
서울 이랜드 FC 2014년 서울올림픽주경기장
K3리그 서울 유나이티드 2007년 마들스타디움
서울 FC 마르티스 2009년 강북구민운동장
중랑 코러스 무스탕 2012년 중랑구립잔디운동장
포천 시민축구단 2008년 포천종합운동장
고양 시민축구단 2008년 고양어울림누리별무리구장
이천 시민축구단 2009년 이천종합운동장
양주 시민축구단 2007년 고덕인조구장
파주 시민축구단 2012년 파주스타디움
김포 시민축구단 2013년 김포종합운동장
FC 의정부 의정부종합운동장
화성 FC 화성종합경기타운
WK리그 서울시청 2004년 효창운동장
서울올림픽보조경기장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1993년 인천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수원시설관리공단 2008년 수원종합운동장
이천 대교 2002년 이천종합운동장

배구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홈 경기장
V-리그 (남) 서울 우리카드 위비 2008년 장충체육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1986년 계양체육관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1992년 수원실내체육관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1976년 의정부체육관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13년 상록수체육관
V-리그 (여) GS칼텍스 서울 KIXX 1970년 장충체육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991년 삼산월드체육관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1995년 수원실내체육관
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 1970년 성남실내체육관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2011년 화성실내체육관

아이스하키

편집
리그명 팀명 창단년도 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안양 한라 1994년 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
대명 상무 2013년 목동 아이스링크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4년 8월 7일 확인.
  2. “2021년 서울 1인당 GRDP 4만달러 돌파…전년대비 3.4%↑”. 2024년 10월 23일에 확인함. 
  3. 서울 서남부와 접해있으며 주요 생활권이 서울 서남부인 김포시 고촌읍은 경기 서북부로 보기에 상당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고촌읍은 비교적 인접한 부천시와 시흥시 북부와도 교류가 상당히 많은 지역으로서 경기 서북부로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보통 김포시 고촌읍까지는 경기 서남부로 보는 이유에서 때문인지 고촌읍의 서울 편입이나 다른 도시로서의 편입론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4. 서울 서남부인 강서구와 접하며 서울 서남부 생활권인 김포시 고촌읍에 한해서 경기 서남부로 보기도 한다.
  5. 서해 5도 등 접경지역 '수도권'에서 빠질까 동아일보, 2011.12.6.
  6. 한나라당, 서해5도 등 수도권 범위 제외 추진 파이낸셜뉴스, 20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