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 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대한민국)에서 넘어옴)
수도기계화보병사단(首都機械化步兵師團, Capital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상징명칭: 맹호부대)는 대한민국 육군의 제7기동군단 예하 기계화보병 사단이다. '수기사'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 | |
---|---|
首都機械化步兵師團 Capital Mechanized Infantry Division | |
![]() | |
활동 기간 | 1949년 6월 20일 ~ 현재 |
국가 | ![]() |
소속 | ![]() |
병과 | 기계화보병 |
종류 | 보병사단 |
역할 | 지역 방위, 전시 진격 |
규모 | 사단 |
명령 체계 | 제7기동군단 |
본부 | 경기도 가평군 |
별칭 | 맹호부대(猛虎部隊) |
표어 | 조국이 부르면 맹호는 간다! |
색 | 황색·백색·녹색·적색·흑색 |
군가 | 수도기계화보병사단가 |
마스코트 | 호랑이 |
장비 | |
참전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지휘관 | |
사단장 | ![]() |
주요 지휘관 | 중장 채명신 |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가장 먼저 기계화 편제를 갖춘 사단이다. 녹색 바탕에 호랑이 마크가 새겨진 부대 마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경례 구호는 "맹호"를 사용하고 있다.
역사
편집- 1949년 6월 20일: 서울특별시 용산에서 수도경비사령부로 창설
- 1950년 7월 8일: 수도사단으로 개명, 현 수도방위사령부 기능 흡수
- 1961년 6월 1일: 국가 재건 최고 회의령 제37호에 의거, 수도방위사령부가 재창설되면서 수도방위 기능 분리
- 1965년 10월 23일 ~ 1973년 3월 8일: 베트남 전쟁 참전
- 1973년 3월 지원받은 M113 APC를 기반, 대한민국 최초로 기계화보병부대로 개편 (제32사단 전력 인수)[2]
- 1983년: 제5군단에서 제7기동군단으로 배속 변경
- 1987년: K1 전차 전군 최초 배치
- 2006년: K1A1 전차 전력화
- 2012년: K-21 보병전투장갑차 전력화
- 2014년: K1A2 전차 전력화
장비
편집- 전차
- 장갑차
- 야전포
편제
편집현재
편집제133대대 2중대는 강재구 소령이 순직하기 전에 지휘하였고, 그의 이름을 따서 재구 중대로 별명을 지었다. 제102대대는 대한민국 국군이 가장 먼저 창설한 부대로서, 국군의 모체 부대로 알려져 있다.
|
|
이전
편집-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번개"[fn 3]; 2019년 12월 1일부 제8기동사단으로 예속전환.
- 신병교육대; 2016년 10월 21일, 맹호 762기를 마지막으로 해체됨.
- 제18전차대대 "왕호(王虎)" 수기사 제16기계화보병여단 "번개"로 전속함.
베트남 전쟁
편집- 사단 본부
- 본부중대
- 공병대대
- 기갑중대
- 수색중대
- 통신중대
- 군사경찰중대
- 의무중대
- 장비중대
- 보급중대
- 신병중대
- 항공반
- 기갑연대
- 제1연대
- 제26연대
- 포병연대 (제10, 60, 61, 628포병대대)
기록
편집계보
편집- 1949년 6월 20일, 수도경비사령부
- 1950년 7월 8일, 수도사단
- 1973년 3월 21일,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소속
편집- 제1군단, 1950년 7월
- 백야전사령부, 1951년 11월
- 제9군단, 1952년 3월
- 주월한국군사령부, 1965년 9월 25일
- 주월한국군사령부 야전사령부, 1966년 8월 15일
- 제5군단, 1973년
- 제7기동군단, 1983년
전쟁/전투
편집주요 인물
편집장교
편집- 강재구 대위 - 제1연대 제3대대 제10중대장.(1여단 133대대 2중대) 파월 훈련중 부하의 실수로 순직하여, 사후 소령(少領)으로 1계급 추서
- 채명신 중장 - 사단장. 초대 주월한국군 총사령관.
- 조남풍 대장 - 사단장(1986~88년). 재임시 K1전차(88전차) 최초 도입. 제1야전군사령관(1992~93년). 국군보안사령관. 육군교육사령관. 월남전 파병(1967년~68년). 대한민국재향군인중앙회 회장(2015~2016년). 동국대학교 겸임교수(정치학 박사)
- 이현부 중장 - 사단장. 제7기동군단장.
- 노태우 - 제1연대 3대대장으로 파월(재구대대) . 제9사단장. 국회의원. 대통령
- 김찬복 준장 - 주월한국군 맹호부대 포병사령관, 방공포여단장, 보병학교교장, 제36사단장, 국군연구발전사령부
- 김관진 대장 - 제203차량화보병대대 제3중대장, 제26기계화보병여단장, 제3야전군사령관, 국방부장관
- 엄기학 대장 - 사단장. 제1군단장. 제3군사령관
- 이석구 중장 - 사단장. 기무사령관. UAE대사
- 김선호 중장 - 사단장. 수방사령관. 국방부 차관
- 권혁동 소장 - 포병여단 제61대대장. 제11기동사단장
- 이승오-소장 - 제1기계화보병여단 제133기계화보병대대장. 제22보병사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부장 (2022.12. ~ 현직)
부사관
편집- 염순덕 상사 - 행정보급관. 의문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주
편집내용주
편집참조주
편집- ↑ 이영균 (2021년 12월 14일). “포항 출신 최장식 준장·김구회 대령, 각각 소장·준장으로 진급 영예”. 《세계일보》. 2022년 2월 5일에 확인함.
- ↑ “<기사> 이름만 바꿔 재배치한 美 제1기병사단과 韓 수도사단”. 《이코노미 조선》. 2020년 12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