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역
수서역(Suseo station, 水西驛)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에 있는 수서평택고속선의 시점인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2012년 4월 체제 개편과 함께 분당선 수서역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관리역이 되었으며[1] 2016년 12월 9일 수서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이 역을 출발해 부산역, 목포역 방면으로 SRT 열차가 운행된다. SRT 수서역의 경우 동탄역 방면으로 6선의 수서주박기지가 있으며, SRT의 주박을 담당하고 있다.
수서
| |
---|---|
![]() 역사 | |
![]() 승강장에 정차중인 SRT 열차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SR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
좌표 | 북위 37° 29′ 6.4″ 동경 127° 6′ 15.3″ / 북위 37.485111° 동경 127.104250° |
개업일 | 2016년 12월 9일 |
승강장수 | 3면 6선(터미널형) |
거리표 | |
수서평택고속선 | |
수서 기점 0.0km | |
| |
| |
수서주박기지선 | |
수서 기점 0.0km | |
수서주박기지 →
(0.0 km) | |
| |
운행계통 | |
수서
| |
---|---|
대화 방면 승강장 | |
오금 방면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
좌표 | 북위 37° 29′ 14.8″ 동경 127° 6′ 7.6″ / 북위 37.487444° 동경 127.102111° |
개업일 | 1993년 10월 30일 |
역 번호 | 349 |
AFC 코드 | 0339 |
승강장수 | 2면 3선(혼합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
대화 기점 54.5 km | |
|
수서
| |
---|---|
![]() 역명판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수서관리역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
좌표 | 북위 37° 29′ 14.3″ 동경 127° 6′ 5.9″ / 북위 37.487306° 동경 127.101639° |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역 번호 | K221 |
종별 | 관리역 |
등급 | 2급 |
AFC 코드 | 1030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 | |
청량리 기점 15.7 km | |
|
한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사가 진행 중으로, 2024년 개통될 예정이다. GTX 수서역에서 수서평택고속선으로 합류할 예정이다. 향후 분당선 역은 급행열차 운행 일환으로 승강장에 대피선 설치 계획이 있다. 수서평택고속선은 이 역부터 동탄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SRT는 심야에 11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탄천 하저터널로 가락시장역과 연결된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탄천 하저터널로 복정역과 연결된다. 수서평택고속선은 탄천, 신갈천 하저터널로 동탄역과 연결된다.
연혁편집
- 1993년 10월 30일 :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 ~ 양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4년 9월 1일 : 분당선 수서 ~ 오리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03년 9월 3일 : 분당선 수서 ~ 선릉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
- 2010년 2월 18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 ~ 오금 구간 개통과 함께 중간역이 됨
- 2011년 6월 28일 : 수서고속철도 수서역 현 역사 착공
- 2012년 9월 18일 :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13.3km로 변경[2]
- 2016년 4월 29일 : 수서평택고속선 철도거리표 고시[3]
- 2016년 12월 9일 : 수서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SRT 정차 개시
역 구조편집
개통은 3호선이 앞섰으나, 당초부터 분당선 연장 개통 및 환승을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분당선 역은 기존 3호선 역에 연결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이후 개통된 SRT 역도 역사는 별도로 건설되었으나, 지하 1층 환승통로로 기존 3호선, 분당선 역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개찰구는 SRT 수서역이 지상 1층, 3호선과 분당선 역이 각각 지하 1층에 위치하며, SRT 역과의 환승통로는 지하 1층에, 3호선과 분당선 역 환승통로는 지하 3층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SRT가 지하 1층에, 3호선이 지하 2층에, 분당선이 지하 4층에 위치한다.
3호선 승강장편집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일원 ↑ |
2 | | 13 | |
↓ 가락시장 |
1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일원 · 도곡 · 교대 · 고속터미널 · 옥수 · 약수 · 충무로 · 연신내 · 구파발 · 지축 · 대화 방면 |
---|---|---|
2 | 경찰병원 · 오금 방면 당역 종착 | |
3 |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발[4] | 일원 · 도곡 · 교대 · 고속터미널 · 옥수 · 약수 · 충무로 · 연신내 · 구파발 · 지축 · 대화 방면 |
수인분당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대모산입구 |
2 | | 1 |
복정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모란 · 야탑 · 서현 · 기흥 · 수원 · 인천 방면 |
---|---|---|
2 | 구룡 · 선릉 · 선정릉 · 왕십리 방면 |
SRT 승강장편집
3면 6선의 두단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매표소와 승강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시·종착역 |
| 65 | | 43 | | 21 | |
동탄 ↓ |
1·2 | 경부고속선 SRT 호남고속선 SRT |
대전 · 동대구 · 부산 · 광주송정 · 목포 방면 |
---|---|---|
3·4 | ||
5·6 |
역 주변편집
사진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10,085 | 11,116 | 11,982 | 12,766 | 12,483 | 12,590 | 12,517 | 12,371 | 13,036 | 12,764 | [5] | ||
하차 | 8,685 | 9,500 | 10,402 | 11,392 | 11,263 | 11,477 | 11,455 | 11,308 | 13,350 | 11,843 | ||||
승하차 | 18,770 | 20,616 | 22,384 | 24,158 | 23,746 | 24,067 | 23,972 | 23,679 | 26,386 | 24,607 | ||||
분당선 | 승차 | 521 | 2,685 | 3,256 | 4,585 | 3,870 | 5,518 | 5,480 | 5,506 | 5,729 | 5,830 | [6] | ||
하차 | 441 | 2,685 | 3,284 | 4,635 | 3,940 | 5,359 | 5,379 | 5,405 | 5,598 | 5,677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3호선 | 승차 | 10,717 | 10,691 | 10,768 | 11,262 | 12,342 | 12,609 | 13,036 | 17,524 | 18,405 | [5] | |||
하차 | 10,755 | 10,863 | 11,007 | 11,461 | 12,506 | 12,882 | 13,350 | 17,229 | 18,206 | |||||
승하차 | 21,472 | 21,554 | 21,775 | 22,723 | 24,848 | 25,491 | 26,386 | 34,753 | 36,611 | |||||
분당선 | 승차 | 4,821 | 4,628 | 5,215 | 7,462 | 8,534 | 9,309 | 9,574 | 14,458 | 15,312 | 15,628 | 11,566 | 11,835 | [6] |
하차 | 4,681 | 4,629 | 5,280 | 7,629 | 8,640 | 9,475 | 9,762 | 14,415 | 15,386 | 15,697 | 11,746 | 12,132 |
인접한 역편집
SRT | ||
---|---|---|
시·종착역 | SRT 경부고속선 |
동탄 부산 방면 |
시·종착역 | SRT 호남고속선 |
동탄 목포 방면 |
광역전철 (서울 지하철 3호선) | ||
348 일원 대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3호선 |
350 가락시장 오금 방면 |
광역전철 (분당선) | ||
K220 대모산입구 왕십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분당선 급행 |
K222 복정 고색 방면 인천 방면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미루나무 간담회 개최 Archived 2013년 12월 28일 - 웨이백 머신《코레일 뉴스》2012.4.5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 2012년 9월 18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19호, 2016년 4월 29일
- ↑ 수서차량사업소 출고선으로, 3번 선로는 수서차량사업소 방향으로만 연결되어 있고, 오금역 방향으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3번 선로의 스크린도어 상단에는 전 역인 가락시장역이 표기되어 있지 않다.
-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가 나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4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