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우미양가(秀優美良可)는 대한민국중학교에서 학생별 학업성취도를 평가를 하는 한 방법으로, 각 과목별 성적을 다섯 개의 등급으로 평가를 내리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초기에 일제강점기의 학적부를 생활기록부로 바꾸면서 함께 사용되었다.[1] 1980년대 중반에는 학생을 성적과 석차 위주로 평가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기술식 평가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2] 예/체능 과목에서는 2009년부터 폐지되었고, 2014년에는 전 과목에서 폐지되었다. 2014년 2학기부터는 중학교 3학년까지 모두가 수우미양가 대신 S-A-B-C-D-E-F로 바뀌었다. 여기에서 S는 90~100점, A는 80~89점, B는 70~79점, C는 60~69점, D는 40~59점이고, E는 20~39점, 20점 미만은 F로 평가하는 방침도 검토 중이다(예체능 과목은 우수-보통-미흡에서 A-B-C, 선택교과는 이수 대신 P로 변경).[출처 필요] 한때, 대한민국고등학교에서도 사용된 적이 있었으나, 성적 부풀리기 등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2005년부터 스태나인(stanine)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기준

편집

절대 평가 방식에서는 점수대, 상대 평가 방식에서는 성적 순서대로 수·우·미·양·가를 나눈다.

  • 절대 평가의 예:
    • 100~90 수
    • 89~ 80 우
    • 79~ 70 미
    • 69~ 60 양
    • 59~ 0 가
  • 상대 평가의 예[3]:
    • 상위 10% 수
    • 상위 11-30% 우
    • 상위 31-70% 미
    • 상위 71-90% 양
    • 상위 91-100% 가

논란

편집

이 평가 방법은 일제강점기 조선 보통학교[4]에서 쓰던 방식[5]을 들여온 것이 시초이다. 그러나, 이 용어의 기원이 일본 전국(戰國)시대에 사무라이들이 누가 적의 목을 많이 베어오는가에 따라 수, 우, 양, 가를 매긴 것에서 비롯되었다는 논란이 있다. 이 유래는 정확하지 않다.

각주

편집
  1. 가르치다 보니 어느덧停年, 《동아일보》, 1981.8.29
  2. 國校성적표「記述式」으로, 《동아일보》, 1984.2.21
  3. 學校成績이 전부는 아니다, 《동아일보》, 1973.7.23
  4. 일제에서 1938년까지 시행되었던 교육 체계
  5. 일본 소학교 평가에서는 '수, 우, 양, 가'만 있음.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