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영국의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축구 대표팀으로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1872년 11월 30일 잉글랜드와 세계 최초로 국제 경기를 가졌으며 홈 구장은 햄던 파크이며 감독은 스티브 클라크이다.
스코틀랜드 | |||
---|---|---|---|
별칭 | The Tartan army | ||
연맹 |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스티브 클라크 | ||
주장 | 앤드류 로버트슨 | ||
최다 출전자 | 케니 달글리시 (102) | ||
최다 득점자 | 케니 달글리시 데니스 로 (30) | ||
홈 구장 | 햄던 파크 | ||
FIFA 코드 | SCO | ||
| |||
FIFA 랭킹 | |||
현재 |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
최고 순위 | 14 (2007년 5월) | ||
최저 순위 | 88 (2005년 3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스코틀랜드 파틱; 1872년 11월 30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1901년 2월 23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스위스 바젤; 1954년 6월 19일, 1954년 FIFA 월드컵)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195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리그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2회 (1992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리그 (1992년, 1996년) |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월드컵 본선에는 8번 출전했지만 8번의 대회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특히 1974년 대회 본선 1라운드 2조에서 1승 2무라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 브라질에 득실차에서 압도적으로 밀리면서 조 3위로 8강 진출이 좌절됐다. 또한 전 대회 준우승국인 네덜란드와의 1978년 대회 4조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3-2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고 이 경기는 영국 언론 '데일리 메일'이 선정한 역대 월드컵 10대 이변 9위에 등재되었다. 그러나 네덜란드전 승리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에 골득실차에서 3점 밀리면서 또 다시 8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했다. 그리고 1998년 대회 본선 이후 매회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승점 10점 이상을 거두며 선전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월드컵 본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하고 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유로 대회 본선에는 2번 출전하였지만 2번 모두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특히 1996년 대회 A조에서 1승 1무 1패로 네덜란드와 승점·전적에서 동률을 이뤘지만 다득점에서 밀리면서 또 다시 8강 문턱에서 주저앉았다. 이후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8승 4패를 기록하며 스코틀랜드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예선 역대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으나 본선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그러다가 UEFA 유로 2020 예선 I조에서 5승 5패·조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플레이오프에서도 이스라엘과 세르비아를 상대로 모두 승부차기까지 가는 혈전 끝에 꺾으면서 1996년 대회 이후 25년만에 유로 대회 본선 진출이자 1998년 월드컵 이후 23년만에 메이저 대회 본선 진출 티켓을 거머쥐었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 리그 C편집
첫 시즌 리그 C에 편입된 스코틀랜드는 조 추첨 결과 이스라엘, 알바니아와 함께 1조에 편성되었다. 그리고 첫 경기에서 알바니아를 2-0으로 꺾었고 이스라엘과의 2차전에서는 아쉽게 1-2로 석패했지만 이어 열린 알바니아와의 3차전에서 4-0 대승을 거두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최종전에서 3-2로 승리를 거두며 2차전 패배를 설욕했다. 이로서 스코틀랜드는 3승 1패·조 1위로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을 확정지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브리티시 홈 챔피언십에서 무려 41번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잉글랜드에 이어 2번째로 가장 많은 기록에 해당되는데 그 가운데 단독 우승은 24번, 공동 우승은 17번 차지했다. 또 1995년 라우스컵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06년 기린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메이저 대회가 아닌 다른 국제 대회에서만 총 43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불참 | ||||||||
1934년 | |||||||||
1938년 | |||||||||
1950년 | 기권 | ||||||||
1954년 | 조별리그 | 15위 | 2 | 0 | 0 | 2 | 0 | 8 | 0 |
1958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4 | 6 | 1 |
1962년 | 예선 탈락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조별리그 | 9위 | 3 | 1 | 2 | 0 | 3 | 1 | 5 |
1978년 | 조별리그 | 11위 | 3 | 1 | 1 | 1 | 5 | 6 | 4 |
1982년 | 조별리그 | 15위 | 3 | 1 | 1 | 1 | 8 | 8 | 4 |
1986년 | 조별리그 | 19위 | 3 | 0 | 1 | 2 | 1 | 3 | 1 |
1990년 | 조별리그 | 18위 | 3 | 1 | 0 | 2 | 2 | 3 | 3 |
1994년 | 예선 탈락 | ||||||||
1998년 | 조별리그 | 27위 | 3 | 0 | 1 | 2 | 2 | 6 | 1 |
2002년 | 예선 탈락 | ||||||||
2006년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합계 | 8회 진출(8/21) | 조별리그(8회) | 23 | 4 | 7 | 12 | 25 | 41 | 19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2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 | 불참 | ||||||||
1938년 | 불참 | ||||||||
1950년[1] | 3 | 2 | 0 | 1 | 10 | 3 | 6(기권) | ||
1954년[2] | 3 | 1 | 1 | 1 | 8 | 8 | 4 | ||
1958년[3] | 4 | 3 | 0 | 1 | 10 | 9 | 9 | ||
1962년[4] | 5 | 3 | 0 | 2 | 12 | 11 | 9 | ||
1966년[5] | 6 | 3 | 1 | 2 | 8 | 8 | 10 | ||
1970년[6] | 6 | 3 | 1 | 2 | 18 | 7 | 10 | ||
1974년[7] | 4 | 3 | 0 | 1 | 8 | 3 | 9 | ||
1978년[8] | 4 | 3 | 0 | 1 | 6 | 3 | 9 | ||
1982년[9] | 8 | 4 | 3 | 1 | 9 | 4 | 15 | ||
1986년[10] | 8 | 4 | 2 | 2 | 10 | 4 | 14 | ||
1990년[11] | 8 | 4 | 2 | 2 | 12 | 12 | 14 | ||
1994년[12] | 10 | 4 | 3 | 3 | 14 | 13 | 15 | ||
1998년[13] | 10 | 7 | 2 | 1 | 15 | 3 | 23 | ||
2002년[14] | 8 | 4 | 3 | 1 | 12 | 6 | 15 | ||
2006년[15] | 10 | 3 | 4 | 3 | 9 | 7 | 13 | ||
2010년[16] | 8 | 3 | 1 | 4 | 6 | 11 | 10 | ||
2014년[17] | 10 | 3 | 2 | 5 | 8 | 12 | 11 | ||
2018년 | 10 | 5 | 3 | 2 | 17 | 12 | 18 | ||
합계 | 125 | 62 | 28 | 35 | 192 | 136 | 214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31위 (유럽 15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 불참 | ||||||||
1964년 | |||||||||
1968년 | 예선 탈락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3 | 3 | 3 |
1996년 | 조별리그 | 12위 | 3 | 1 | 1 | 1 | 1 | 2 | 4 |
2000년 | 예선 탈락 | ||||||||
2004년 | |||||||||
2008년 | |||||||||
2012년 | |||||||||
2016년 | |||||||||
2020년 | |||||||||
합계 | 3회 진출(3/16) | 조별리그(2회) | 6 | 2 | 1 | 3 | 4 | 5 | 7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24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0년 | 불참 | ||||||||
1964년 | |||||||||
1968년 | 6 | 3 | 2 | 1 | 10 | 8 | 11 | ||
1972년 | 6 | 3 | 0 | 3 | 4 | 7 | 9 | ||
1976년 | 6 | 2 | 3 | 1 | 8 | 6 | 9 | ||
1980년 | 8 | 3 | 1 | 4 | 15 | 13 | 10 | ||
1984년 | 6 | 1 | 2 | 3 | 8 | 10 | 5 | ||
1988년 | 8 | 3 | 3 | 2 | 7 | 5 | 12 | ||
1992년 | 8 | 4 | 3 | 1 | 14 | 7 | 15 | ||
1996년 | 10 | 7 | 2 | 1 | 19 | 3 | 23 | ||
2000년 | 12 | 6 | 3 | 3 | 16 | 12 | 21 | ||
2004년 | 10 | 5 | 2 | 3 | 13 | 14 | 17 | ||
2008년 | 12 | 8 | 0 | 4 | 21 | 12 | 24 | ||
2012년 | 8 | 3 | 2 | 3 | 9 | 10 | 11 | ||
2016년 | 10 | 4 | 3 | 3 | 22 | 12 | 15 | ||
2020년 | 12 | 5 | 2 | 5 | 17 | 20 | 17 | ||
합계 | 122 | 57 | 28 | 37 | 183 | 139 | 199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15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각각 쪼개져서 나올 수 없으며 연합국 단일 팀 출전만 허용한다. 모든 올림픽 대회는 영국 단일팀으로 출전했으며, 따라서 자세한 내용은 영국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주요 선수편집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 ↑ 월드컵을 수준 낮은 대회로 보고 참가를 거부한 영국이 드디어 참여를 결정함에 따라 FIFA에서는 'British Home Championship' 우승, 준우승국을 본선에 진출하도록 하였다. 2위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마지막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0:1로 패하자 잉글랜드에 진 것에 자존심 상한다는 이유로 결국 기권했다.
- ↑ 전 대회에 이어 'British Home Championship' 우승, 준우승국을 본선에 진출하도록 하였다. 또다시 2위를 했지만 전 대회에서 잉글랜드가 무너지는 것을 본 탓인지 이번에는 그대로 진출했다. 대신 본선에서 우루과이에 0:7로 대패하고 무득점 2패탈락하며 종주국의 자존심을 제대로 무너뜨렸다.
- ↑ 두대회 연속 영연방 지역이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자 이 대회부터는 다른 유럽국가와 섞어서 지역예선을 치르게 되었다.
- ↑ 8조에 속해 체코슬로바키아와 3승 1패로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2:4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스코틀랜드 지역예선 사상 첫 탈락이었고, 골득실에서도 8점이 밀려 지금이라면 플레이오프 없이 곧바로 탈락했을 것이다.
- ↑ 8조에서 이탈리아에 밀려 조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7조에서 서독에게 밀려 조 2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8조에서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를 누르고 16년만에 본선에 올랐다.
- ↑ 7조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웨일즈를 누르고 본선에 올랐다. 62년 대회에서 체코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70년대에만 두 번을 되갚았다.
- ↑ 6조에서 스웨덴, 포르투갈, 이스라엘을 제치고 같은 영연방의 북아일랜드와 동반 진출에 성공했다.
- ↑ 7조에서 스페인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지만 2위 팀들 중 승점이 가장 낮아 오세아니아 1위(호주)와 플레이오프를 했다. 호주에게 1승 1무, 총합 2:0으로 앞서면서 본선에 진출했다.
- ↑ 5조에서 유고슬라비아에 이어 조 2위로 본선에 올랐다. 전 대회 4강팀 프랑스는 이 조에서 탈락했다.
- ↑ 2시드를 받고 1조에 들어왔지만 이탈리아, 스위스, 포르투갈에 밀려 조 4위로 탈락했다. 그나마 순위가 더 낮은 국가들도 최약체 몰타와 독립 후 첫 출전한 에스토니아여서 사실상 최악의 성적이었다. 5회 연속 본선 진출의 기록을 여기서 마감했다.
- ↑ 오스트리아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였으며, 조 2위 팀중 승점이 가장 높아 본선에 자동으로 진출했다. 전 대회 4강팀 스웨덴은 이 조에서 탈락했다.
- ↑ 크로아티아, 벨기에에 밀려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이탈리아, 노르웨이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94년보다 승점이 낮아 지역예선에 참여한 50년대 이래 가장 낮은 성적이었다.
- ↑ 네덜란드, 노르웨이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전 대회에 이어 최저성적을 또 한 번 갱신했다.
- ↑ 조별예선 초반 6경기에서 2무 4패라는 최악의 기록을 달성하면서 유럽 국가들 중 가장 먼저 탈락이 확정됐다. 점점 올라오기는 했지만 결국 4위에 그치며 역대 최악의 성적을 3연속 갱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