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케라톱스
시노케라톱스(Sinoceratops)는 백악기 후기, 약 7200만년에서 6600만년 전에 현재의 중국 산둥성이었던 곳에 살던 멸종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2010년에 쉬싱과 동료들이 중국의 주청에서 발견된 두개골 세 개로부터 보고하였다. 학명은 발견된 곳의 지명을 따서 "주청에서 발견된 중국의 뿔 달린 공룡"이라는 의미다.
시노케라톱스 | ||
---|---|---|
화석 범위: 백악기 후기 72–66백만년 전 | ||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파충강 | |
아강: | 이궁아강 | |
하강: | 지배파충하강 | |
상목: | 공룡상목 | |
목: | †조반목 | |
(미분류): | †신조반류 | |
아목: | †각각아목 | |
하목: | †각룡하목 | |
과: | †케라톱스과 | |
아과: | †켄트로사우루스아과 | |
족: | †파키로스트라족 | |
속: | †시노케라톱스속(Sinoceratops) | |
종 | ||
|
시노케라톱스는 중간 크기 보통 몸집의 사족보행을 하는 초식동물이었다. 중국에서 발견된 최초의 케라톱스과 공룡이며 아시아에서 발견된 유일한 케라톱스과 공룡이다. 아마도 투라노케라톱스를 제외하면 시노케라톱스 외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및 모든 카스모사우루스아과 공룡들은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었다. 시노케라톱스는 가장 큰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들 중 하나로 원시적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들보다는 훨씬 크다.
시노케라톱스는 백악기 후기의 신거장 층 (Xingezhuang Formation)에서 발견되었다. 렙토케라톱스과 공룡, 사우롤로푸스아과 공룡, 그리고 티라노사우루스아과 공룡들과 함께 발견된다. 이 지층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것은 산퉁고사우루스다. 시노케라톱스 및 샨퉁고사우루스와 함께 살았던 공룡으로는 , 주청케라톱스, 후아시아오사우루스, 그리고 주청티라누스가 있다.
어원
편집속명인 시노케라톱스는 "중국의 뿔 달린 얼굴" 이란 의미로 발견지인 중국을 가리키는 "시노-" 와 "뿔"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 "케라스" (κερας), 그리고 "얼굴"을 뜻하는 "옵스" (ωψ)에서 온 것이다. [1] 시노케라톱스는 2010년에 쉬싱과 동료들에 의해 보고 및 명명되었다. 모식종은 S. zhuchengensis 로 발견지의 이름을 딴 것이다.[2]
특징
편집시노케라톱스는 비교적 큰 각룡류 조반류 공룡으로 몸길이는 약 5 미터, 몸무게는 약 2 톤 정도로 추정된다.[3] 코에는 짧고 굽은 모양의 뿔 (코뿔) 이 있었으며 눈 위에는 뿔이 없었고 짧은 프릴에는 앞쪽으로 굽은 일련의 작은 뿔들이 있어 프릴은 왕관처럼 보였다. 프릴의 위쪽 작은뿔이 늘어서 있는 사이사이에는 얕은 혹 같은 것이 있는데 다른 각룡류들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시노케라톱스는 짧은 프릴을 가지는 케라톱스과, 즉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해당한다. 완모식표본인 ZCDM V0010 은 불완전한 두개골로 두개골 위쪽은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고 뇌머리뼈도 일부 보존되었다. 시노케라톱스의 두개골은 약 1.8 m 정도 길이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두개골 중에서는 가장 큰 편이다.[2]
해부학적 특징
편집한 동물을 다른 동물들과 구분시켜주는 특징을 나열하는 것을 감별진단이라고 한다. 전부는 아니지만 감별진단의 일부 특징들은 독립파생형질이다. 독립파생형질은 다루고 있는 특정 유기체에서만 볼 수 있는 해부학적 특징들을 말한다.[4]
쉬싱에 의하면 시노케라톱스는 다음의 특징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소한 10 개 이상의 심하게 구부러진 뿔 같은 돌기들이 마루뼈의 뒤쪽 경계를 따라 돋아나 있다. 인상골에 최소한 네 개의 뿔 같은 돌기가 있다 전안와창 앞쪽으로 큰 구멍이 있다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 마루뼈의 바깥쪽 경계에 돌기 등이 없는 온전한 형태다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 밑둥이 넓은 에폭시피탈이 있다 (다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 [2]
발견
편집완모식표본인 ZCDM V0010 은 뇌머리뼈를 포함한 불완전한 두개골로 중국 샨동 지방 왕시 층군의 신거장 층에서 발견되었다.[2] 표본은 백악기 후기 샹파뉴절, 약 7200만년에서 6600만년 사이에 퇴적된 하천퇴적물에서 발견되었다.[5] 같은 지층에서 두 개의 표본이 더 발견되었다. ZCDM V0011 은 천장 부분과 뇌머리뼈의 대부분으로 구성된 두개골이고, ZCDM V0012는 뇌머리뼈 일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2]
시노케라톱스는 매우 중요한 발견인데, 중국에서 발견된 첫번째 케라톱스과 공룡, 아마도 아시아에서 발견된 유일한 케라톱스과 공룡이다. 그 외에 아시아에서 발견된 케라톱스과 공룡일 가능성이 있는 것은 투라노케라톱스가 유일한데, 최근에 투라노케라톱스가 케라톱스과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 상황이다.[2]
분류
편집쉬싱과 동료들(2010)은 두개골의 특징에 의거해 시노케라톱스를 원시적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으로 분류했다.[2] 시노케라톱스는 더 발전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인 켄트로사우루스나 스티라코사우루스 등에서 보이나 더 원시적인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인 디아블로케라톱스에서는 볼 수 없는 몇몇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잘 발달된 코뿔이라든가, 눈 위의 뿔이 없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런 특징들이 의미하는 것은 시노케라톱스가 북아메리카에서 베린지아를 거쳐 아시아로 이주한 계통을 대표한다는 것이다. 시노케라톱스는 또 카스모사우루스아과와 유사한 특징도 일부 가지고 있어 켄트로사우루스아과와 카스모사우루스아과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고 있다.[2][6]
아래의 분지도는 샘슨 외 (2013)의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따르며 켄트로사우루스아과 내의 분지군 이름은 피오릴로와 티코스키 (2012)를 따른다.[7]
케라톱스과 |
| ||||||||||||||||||||||||||||||||||||||||||||||||||||||||||||||||||||||||||||||||||||||||||||||||
고생태학
편집시노케라톱스는 중국 남부의 신거장 층에서 발견되었다. 두개골만이 알려져 있는데 신거장 층에서 발견되는 다른 공룡으로는 하드로사우루스류인 샨퉁고사우루스가 매우 흔하고,[2][8] 아시아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타르보사우루스와 관계가 있는 주청티라누스,[2] 아시아의 렙토케라톱스과 공룡인 주청케라톱스,[9] 그리고 샨퉁고사우루스의 나이든 개체일 수도 있는[5][10] 후아시아오사우루스[10] 등이 있다. 그 외에 주청고사우루스[9] 로 분류된 표본이 있으니 주청고사우루스는 샨퉁고사우루스의 동물이명일 가능성이 있다.[5] 잠정적으로 티라노사우루스로 분류된 표본도 있다.[8]
각주
편집- ↑ Liddell, Henry George and Robert Scott (1980).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Xu, X., Wang, K., Zhao, X. & Li, D. (2010). “First ceratopsid dinosaur from China and its biogeographical implications”. Chinese Science Bulletin 55 (16): 1631–1635. doi:10.1007/s11434-009-3614-5.
- ↑ Paul, Gregory S. (201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6쪽. ISBN 978-1-78684-190-2. OCLC 985402380.
- ↑ Futuyma, D.J. (2013). Evolutionary Biology Thi판. Sunderland: Sinauer Associaties Inc. 95쪽. ISBN 978-1-60535-115-5.
- ↑ 가 나 다 Holtz, T.R. Jr. (2012).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PDF). Indiana University Press. 47쪽. ISBN 0-375-82419-7.
- ↑ Glut, D.F. (2012). Dinosaurs, the Encyclopedia, Supplement 7. McFarland & Company, Inc. 866쪽. ISBN 0-7864-4859-8.
- ↑ Fiorillo, A. R.; Tykoski, R. S. (2012).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of Alaska”.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7 (3): 561. doi:10.4202/app.2011.0033.
- ↑ 가 나 Hu, C.C. (1973). “[A new hadrosaur from the Cretaceous of Chucheng, Shantung]”. Acta Geologica Sinica 1973 (2): 179–206.
- ↑ 가 나 Zhao, X.; Li, D.; Han, G.; Zhao, H.; Liu, F.; Li, L. & Fang, X. (2007). “Zuchengosaurus maximus from Shandong Province”. Acta Geoscientia Sinica 28 (2): 111–122. doi:10.1007/s10114-005-0808-x.
- ↑ 가 나 Zhao X.; Wang K. & Li D. (2011). “Huaxiaosaurus aigahtens”. 《Geological Bulletin of China》 30 (11): 1671–1688.
외부 링크
편집- “Sinoceratop zhuchengensis”. Paleobiology Database: Classic.